블루홀

 


1.1. 개요
1.2. 위험성
1.2.1. 유리 립스키 사망 사고
2. 대한민국의 게임회사 크래프톤의 옛 이름
3. 크래프톤의 자회사


1. 바다싱크홀




1.1. 개요


[image]
위 사진은 벨리즈에 있는 그레이트 블루홀. 유네스코에서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한 곳이다. 이런 지형은 벨리즈, 바하마, 이집트,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있다.
해수면이 지금보다 100~120m나 낮았던 빙하시대에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던 육지가 비와 화학침식을 받고 카르스트 지형이 형성되었다가, 해수면이 상승하며 그대로 바다속에 잠겨 형성된 것이다.
육지에 형성된 것은 세노테 (Cenote)라고 부르며, 강이 거의 없는 멕시코유카탄 반도 주민들에게는 귀중한 식수원이었다.

1.2. 위험성


가장 유명한 블루홀은 단연 벨리즈의 그레이트 블루홀, 딘즈 블루홀, 이집트의 다합 블루홀이다. 이 중 딘즈 블루 홀(Dean's Blue Hole)의 수심이 가장 깊은데(202m), 프랑스의 프리 다이빙 챔피언 기욤 네리가 2010년에 이곳에서 113m까지 잠수하는 기록을 세웠다. 당시 여자친구이자 동료였던 줄리 고티에가 영상을 찍었다. (현재는 그의 아내이다.) 벨리즈에 있는 그레이트 블루홀은 폭이 300m로 블루홀 중 가장 넓은 폭을 자랑한다. 깊이는 124m에 내부 모습은 이렇게 생겼다.
현재 가장 수심이 깊은 블루홀은 중국남중국해 파라셀 군도에서 발견한 룽둥 블루홀이다. 수심 300m에 상층부에서 20여 종의 새로운 해양생물들이 발견됐다고 한다. 연합뉴스 기사
카르스트 지형으로 인해 복잡한 지형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잘못하면 바닷속에서 길을 잃기 쉽다. 특히 이집트의 홍해에 있는 다합 블루홀은 '아치'라고 부르는 터널을 잠수부들이 찾다가 강한 해류와 희미한 빛 등으로 인해 길을 잃고 사망하는 일이 많다. 가장 흔한 위협은, 좁은 곳에서 터널의 벽을 건드리거나 했을 때, 수중에서 흙먼지가 퍼지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시야를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당황해서 주변을 더듬거나 급하게 빠져나가려고 하면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또한 아치는 수심 52m 부근에 있는데 이는 레크리에이션 잠수시의 최대 잠수 깊이인 40m를 초과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압축공기는 40m 이상 잠수하면 질소마취 현상을 일으켜 매우 위험하다.
그래서 블루홀을 잠수할 때는 동굴 잠수 교육과 트리믹스(trimix, 헬륨과 산소, 질소를 섞은 가스)나 헬리옥스(헬륨과 산소를 혼합한 가스)를 사용하는 잠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실제로 1997년에 벨리즈의 그레이트 블루 홀의 밑바닥으로 내려가 표본을 채취하고 동굴 탐사를 했을 때 참여한 모든 잠수부들은 동굴 잠수와 특수 가스 사용교육을 마친 전문 잠수부들이었다.
[image]
[image]
또한 몇몇 블루홀들은 카르스트 지형의 특성상 위 처럼 좁은 입구를 가지고있지만 아래로 내려가면 거대한 공동이 나온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아래로 내려가는건 쉽지만 다시 올라오는건 매우 어렵다고 한다.

1.2.1. 유리 립스키 사망 사고


이집트의 다합 블루홀에서 유리 립스키(yuri lipski)라는 베테랑 다이버가 혼자 스쿠버 다이빙 촬영을 나섰다가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2000년 4월 28일 사고당시 상황이 찍힌 영상자료가 있는데, 이걸 전문가들이 분석하는 동영상이 웹상에 뜨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다소 자극적이므로 시청시 주의를 요한다. 한글자막/티비플주의
영상 초반엔 급류에 휩쓸려 블루홀 내부로 가라앉는 듯한 모습이 보이고, 영상을 잘 보면 주변 모래입자가 상당히 빨리 지나가는 것으로 보아 굉장한 속도로[1] 가라앉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려갈 수록 패닉에 빠진 촬영자가 어떻게든 빠져나가기 위해 발버둥친다.[2] 그리고 이 시점부터 촬영자는 심각한 산소 중독으로 인해 온전한 정신상태가 아니었다.[3]
해저 바닥에 닿은 뒤, 산소 중독으로 의식 불명 상태에 빠져 몸부림 치다 호흡기를 입에서 놓치고 만다.[4] 촬영자가 죽는 순간은 영상에선 확인할 수 없으나[5] 이 부분의 영상이 수중촬영을 위해 렌즈 필름을 빨간색으로 바꾸었기 때문에[6] 전반적으로 붉은 색채를 띠어 공포감을 유발할 수 있다. 절대로 검색해서는 안될 검색어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유리 립스키의 시체는 사고 발생 하루 뒤 그의 동료들에 의해 회수되었으며, 해저 생명체에 의한 시체 손상은 없었다고 알려져 있다. 다합 블루홀에서 찍힌 발과 머리가 없는 다이버의 해골을 찍은 영상이 퍼져 있으나, 이는 유리 립스키의 시체가 아닌 다른 사망자의 시체다.
이 부분은 2012년 3월 26일자 스펀지 2.0, 2015년 10월 25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었다.
유리 립스키를 블루홀 저층으로 끌고 간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하강 조류나 부력조절조끼 고장이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하강 조류일 경우 빠른 속도로 수심 90m까지 끌려간 것은 설명이 되지만, 주변 입자들이 같이 하강하지 않고 유리 립스키 자신만 하강하고 있었다는 점이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력조절장치 고장으로 유리 립스키가 손을 쓸 수 없었다는 말이 얼추 맞게 된다.

2. 대한민국의 게임회사 크래프톤의 옛 이름




3. 크래프톤의 자회사


크래프톤의 자회사(스튜디오). 테라ELYON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1] 추측상이지만 '''1분에 30~40m'''씩 가라앉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인간이 내거나 버틸 수 있는 잠수 속도가 아니다.''' 보통 인간이 낼 수 있는 잠수 속도는 빨라야 1분에 15~20m 수준이고, 그마저도 잠수병의 위험이 있어 실질적으로는 이보다 더 느리게 잠수한다.[2] 끙끙대는 신음 비슷한 소리가 나는데 이 소리는 호흡기 내지는 다른 장비에서 나는 소음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3:20에 나오는 헬프같은 빠른 소리가 들리는데 이것은 말소리가 아닌 레귤레이터랑 연결해서 쓰는 수중 다이빙 부저소리다. 중간에 탁탁탁 다이빙스틱 치는 소리나 부저는 물 속에서 서로 신호할때 쓰는 일상적인 장비음이다.[3] 보통 스쿠버 다이빙은 고급자도 수심 40m까지가 한계이나 이 사람은 제대로 준비 없이 90m까지 내려갔다. 하지만 이 사람의 경력을 볼때는 바닥까지 끌려갔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4] 호흡기를 자의적으로 빼버렸을 가능성도 있다. 인간이 압력에 적응할 시간 없이 심해로 잠수하면 큰 고통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은 대부분 호흡기가 갑갑하다 느껴 공기통을 분리해버리는 일이 잦았다.[5] 최초로 이 영상을 업로드한 사람이 편집해 올렸거나, 녹화 중에 일시정지 버튼이 눌려서 촬영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6] 이는 적색광이 파장이 길어 바닷물을 잘 투과하지 못해 수중촬영 사진과 영상이 눈으로 보는것과 다르게 창백하게 나온다. 때문에 빨간색 필터로 색을 더해주는 것. 그리고 이 필터를 끼웠다는 건 유리 립스키가 10~20m 정도의 수심을 촬영할 예정이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