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곡

 

1.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부르는 노래
3. 가수 태진아의 노래
3.1. 가사


1.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부르는 노래


思母曲
지금은 이 세상을 떠나고 없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부르게 된다는 노래. 한자상 '''死母曲'''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死(죽을 사)가 아니라 思(생각할 사)다.
생전에 어머니에 대한 효도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거나 뒤늦게 불효를 하게 된 것을 후회하며 어머니에 대한 그립고도 참회하는 마음을 담은 노래의 명칭이다.

2. 고려가요


참고
7차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EBS 연계교재에서도 나온 유명한 고려가요다.

아버지의 사랑보다 어머니의 사랑이 지극하다는 걸 표현한 작품으로 '''아버지를 호미, 어머니를 낫으로 비유했으며''' 은근히 이걸 반대로 알고 헷갈려하는 사람이 매우 많다. 참고로 1대 100 468회 방송분에서 이 문제가 나왔는데, 이것 때문에 많이 낚여 '''1인 김창열과 남은 23명 중에서 우승자가 나온 사례가 있다'''.

3. 가수 태진아의 노래



1에서 제목을 따온 곡으로 1993년 가수 태진아가 불렀던 노래의 제목이다. 이덕상 작사, 서승일 작곡.
노래 구절상 돌아가신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애절한 마음을 담았기 때문에 슬프고도 가슴아픈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다. 천하의 불효자라도 이 노래를 듣게되면 눈물을 흘리게 만든다는 풍문이 있을 정도. 실제로 태진아는 매우 가난한 가정에서 어렵게 성장했기 때문에 노래가 더욱 절절히 와닿는다는 평이 많다.
태진아가 히든싱어에 출연해서 사모곡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해 주었는데, 그의 어머니는 그가 미국으로 떠난지 4개월 후에 돌아가셨다고 한다. 허나 그는 돈이 없어 가는 비행기표만 끊고 미국으로 떠났기 때문에 한국으로 올 수 없어서 어머니의 임종을 곁에서 지키지 못했다고 한다.
4년 후 귀국해 처음으로 어머니의 산소를 찾아가는 길에서 본 지역 신문에 사모곡의 가사가 되는 이덕상 시인의 '사모곡'이라는 시가 투고된 걸 읽자마자 자신의 어머니가 생각났다고 한다. 그래서 자신의 어머니 이야기 같다고 생각한 태진아는 시인을 직접 찾아가 노래로 만들고 싶다고 요청했고 승낙을 받아서 가사로 썼다고 하며, 본인은 이 노래를 부를 때마다 눈물이 났다고 한다.
참고로 가요차트에서는 정상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10~20위 권에서 꽤 오래 살아남았던 노래다.[1]

3.1. 가사


1절
'''앞산 노을 질 때까지 호미자루 벗을 삼아'''
'''화전밭 일구시고 흙에 살던 어머니'''
'''땀에 찌든 삼베 적삼 기워 입고 살으시다'''
'''소쩍새 울음 따라 하늘 가신 어머니'''
'''그 모습 그리워서 이 한밤을 지샙니다'''
2절
'''무명 치마 졸라 매고 새벽 이슬 맞으시며'''
'''한평생 모진 가난 참아 내신 어머니'''
'''자나깨나 자식 위해 신령님전 빌고 빌며'''
'''학(鶴)처럼 선녀처럼 살다 가신 어머니'''
'''이제는 눈물 말고 그 무엇을 바치리까'''
'''어머니!!!!!!'''[2]

4. KBS 드라마


1987년에 KBS-2로 방영된 드라마.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전해져오는 민담을 바탕으로 충청도 전의현(全義縣)에 조선 영조 시대에 살았던 실존인물 이만강(李萬江)이라는에 대한 이야기를 각색해 유명 사극작가인 임충이 극본을 맡은 드라마이다. 주인공 만강 역은 길용우, 보옥 역은 김혜수, 만강과 라이벌 관계인 달서 역은 정보석이 맡았다.
이후 SBS에서 1996년에 <만강>이란 제목으로 리메이크 되었는데, 만강 역은 임호, 보옥 역은 오연수, 그외 주인공 커플의 멘토가 되는 인물에는 임동진이 맡아 열연했다. 임호는 임충의 아들로, 아버지와는 장희빈, 사모곡 등에서 함께 작업했다. 정보석 또한 리메이크 작에 다시 출연했다. 유감스럽게도 시청률 저조로 조기종영해서, 마지막 회 마지막 부분은 단편적인 몇몇 장면이 나오며 나레이션으로 뒷이야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끝났다.

[1] 가요톱10 기준으로 '''약 2년간'''[2] 멜로디 파트가 아닌 태진아의 외침으로 곡이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