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4433
1. 노선 정보
2. 개요
정평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4426번에서 2대를 차출하여 개통하였다. 당시 배차간격은 30~55분으로 긴 편이었다.
- 2012년 4월 12일에 중복 노선의 효율적 관리를 이유로 4426번에서 4대를 추가로 차출하였다.
- 2013년 3월 19일부로 4426번이 폐선되면서 4426번 인가대수 2대가 모두 넘어왔다.
4. 특징
- 전 차량 중형버스로 운행한다.
- '양재역~구룡초교' 구간은 강남02번, '개포동역 - 현대우성1차아파트' 구간은 강남05번과 중복된다. 다만 구룡초교와 현대1차우성아파트를 양방향으로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이 쪽 수요가 고정적으로 있는 편. 다만 마을버스가 더 저렴하다보니, 두 노선에 비해 수요는 적다. 대신 앉아서 갈 수 있는 확률이 높아 나름 이용객이 있는 편.
- 2018년까지만 해도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안내방송이 마을버스에서 쓰는 버스티브이라는 회사를 사용했으나, 2019년 시기 미상부터 다른 지선버스 노선처럼 양진텔레콤으로 교체되었다.
- 과거 대치역에서는 쉬었다가 가는 경우가 많으니 선경아파트 쪽 회차 대기점에서 승차하는 것이 좋았으나 2017년 8월부로 비인가 정류장 승하차에 대한 서울시의 지침이 내려와 선경아파트 회차점에서는 더이상 승하차를 할 수 없다.
- 본 노선은 법인만 강서구 소속 본사와 같을 뿐 실제로 거의 독립되어 본사의 교류는 전혀 없다. 그렇다고 분리하자니 시내버스 차량 보유 최소한도인 40대에 미달하므로 그대로 두는 듯.
- 차량 주박 및 충전은 송파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강남10번과 마찬가지로 기점이 주택가 인근이라 기사들의 식사에 애로사항이 꽤 있다. 가끔 대치역을 지나가다 보면 기사들이 음식을 주문해서 차 안에서 먹거나 여름에는 노상에 앉아서 먹는다. 그러나 최근 일부 기사들은 대치동 상가 내 식당에서 식사하고 나오기도 하는 듯.
- 2018년 노선조정안에 이 노선의 폐선안이 나왔는데, 이 노선의 차량을 7737번에 공동배차한다는 내용이었다. '양재역~구룡초교' 구간은 강남02번, '구룡초교~개포동역' 구간은 강남05번으로 대체가 가능하긴 하나, 피크타임에는 가축수송이 발생하는지라 혼잡도가 높을 우려도 있고, 기사들의 출퇴근 문제도 있어 무산됐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대치역, 매봉역, 양재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포동역
- [image] 신분당선: 양재역
[1] 토요일 / 공휴일 6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