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공영차고지
※ 2021년 2월 3일 부로 차고지 내 에서 승하차가 불가능하오니, 이용하시는 승객여러분들께서는 인근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복정역3번출구 (24-435) 정류소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1. 개요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걸쳐 있는 공영 차고지. '''서울 시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공영 차고지다.''' 이외에도 장지동에는 장지공영차고지가 있어서 은평구같이 한 구에 공영 차고지가 2개가 있는 드문 예가 되며, 마천3지구에 공영 차고지가 신설되면 3개로 늘어난다. 복정역에서 남한산성 방면으로 가다 보면 보이며, 이 차고지가 있는 곳이 시경계다.[1] 서울 시내의 버스 공영 차고지 중에서 가장 많은 주차 면수를 보유하고 있으며[2] 강동공영차고지, 장지공영차고지와 더불어 도장 시설을 갖춘 차고지이기도 하다.
2. 역사
1998년 10월 8일에 차고지 조성을 결정했다. 관련 기사
2.1. 차고지 이전
위례신도시 개발로 이 차고지는 이전될 운명에 처하였다. LH 측은 위례신도시가 개발되는 만큼 송파공영차고지를 존치할 경우 인근 송파IC와 복정역 사거리 등의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난이 발생할 수 있어 이전이 불가피하고, 부지 가격이 높아 버스 회사의 관리비 상승[3] 으로 인한 문제도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2013년 10월에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하 위례신도시 토지이용계획도에서는 송파공영차고지 부지를 송파IC 구조개선사업과 헌릉로 확장 이설 사업에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LH에서는 위례신도시 개발 일정을 고려할 때 2015년 전까지 송파공영차고지 이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었다. 관련 기사[4]
이전에 본 문서에서 현 송파공영차고지가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남한산성입구/을지대학교) 주민들이 현재 차고지를 강남과 잠실을 빠르게 가는 버스 환승경로로 많이 써먹고 있는지라 차고지가 이전되게 되면 성남 지역 주민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위례신도시 개발 계획과 맞물려서 복정역에 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설 예정이기때문에 성남 지역민 입장에서는 차고지 유무와 상관 없이 복정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진다. 또한 신도시 개발이 차고지 조성보다 늦었기 때문에 차고지를 옮기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도 서술되어 있었지만 이에 대한 법적인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강남구의 반대로 세곡동, 율현동 이전이 좌절된 이후 서울시와 LH공사 간에 아래와 같이 현 차고지 위치 맞은편 위례신도시 성남권역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협약을 체결하였다. 헌릉로 이설 공사의 진행과 함께 2단계로 나누어 이전되며, 완공은 2018년 목표라고. 하지만 이번에는 이전 예정지인 복정동 주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 위례신도시의 관문인 복정역 바로 앞 업무시설 부지에 차고지가 들어서게 됨에 따라 위례신도시 개발 계획과 복정역 상권 활성화에 큰 지장이 생길 전망이며, 버스 회사들이 복정역 일대의 높은 지가와 그로 인한 보유세를 감당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image]
결국 2018년 4월 1일 0시를 기점으로 길 건너편에 조성된 신 차고지로 이전하였다. 기존 차고지는 화물차 주차장으로 쓰다가, 2019년 여름부터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
3. 여담
한국brt가 여기에 본사를 두고 있고, 옛 금진교통의 후신이자 강남구 마을버스 업체인 계현운수, 스마일버스, 새롬교통의 노선들도 운행이 끝나면 이 곳에 주박한다. 또 광진05번 버스의 차량들도 이 차고지에서 주박한다.[5] 또한 4412번의 운휴 차량들과 송파상운의 일부 차량 역시 이 차고지에 주박하기도 한다.
그 외 특이점은 다른 공영 차고지들과 다르게 개방적으로 되어 있다는 게 특징이고, 성남시를 경유하는 일부 버스노선 때문에 24시간에서 한 시간이 부족한 23시간씩이나 돌아가는 유일한 공영 차고지이기도 하였지만 심야버스가 신설되고 나서는 24시간 풀 가동하는 공영 차고지가 되었다. 한때 남성버스이 성남시 양지동에서 이 곳으로 입주하면서 광역버스 9412번의 기점이 서울인 곳도 유일하게 이 곳이었지만 2006년 12월 19일까지였고 막차도 0시 30분에 나갔던 시절도 있었다. 지금은 간선 전환과 동시에 0시로 단축되었었고, 2018년 3월 16일 부로 462번이 흑석동으로 단축되고, 이후 452번 막차가 23시로 단축됨에 따라 이러한 역사는 22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이 곳을 이용하는 회사는 남성버스, 대성운수, 한서교통, 한국brt, 마을버스 업체 은곡운수, 계현운수(구 중원교통), 새롬교통 [6] 등이다. 동성교통도 소수 입주해 있고, 도선여객도 개포동차고지의 과포화로 일부 차량이 이 곳에 주박한다. 또한 정평운수 구룡영업소가 이 곳에 있으며, 정평운수도 이 곳을 이용한다.
송파차고지에도 성북구 면허를 가진 차량들이 꽤 있다.[7] 특히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회사가 현대자동차를 많이 쓰는 업체지만 대성운수, 한국brt가 자일대우상용차도 쓰다 보니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랑 BS106, BS110이 공존한다. 한때는 고급좌석버스인 BH116도 많이 있었다. 지금은 대우차의 비중이 훨씬 낮아졌다. 오히려 반대쪽에 있는 장지공영차고지는 서울버스의 영향으로 자일대우상용차가 늘어나고 있다.그러나 현대로 전항할 가능성이 있다
중랑공영차고지처럼 포화 상태라고 한다. 설상가상으로 이동식 충전소 철거에 인근의 타 충전소 사용 허가를 받지 못한 302번과 303번은 송파공영차고지의 포화까지 겹쳐서, 8km 떨어져 있는 송파공영차고지를 놔 두고 상대원1동에서 무려 15km 떨어져 있는 분당구 구미동차고지까지 가서 충전한다. 그래서 303번에 전기버스가 먼저 도입된 것이다.
게다가 장지동에 있는 공영 차고지들이 모두 포화 상태인지라, 2017년 8월 말 거여마천뉴타운 때문에 제대로 치고박고 싸운 송파상운 차고지 봉쇄 사건이 터지자 서울특별시청은 마천3구역에 공영 차고지를 하나 더 만들기로 했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비상대기차량 몇 대를 이곳에 주차시켜 두고 있다.
2021년 2월 3일 부로 송파IC 개량공사 완료에 따라 차고지에서 복정역 방향으로 좌회전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송파공영차고지 정류장이 폐쇄되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차고지에서 복정역환승센터로 진입하는 도로를 개설하여, 복정역환승센터에서 노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단, 3425번은 도로구조 및 노선경로 상 복정역환승센터를 이용하지 못하므로 복정역 3번출구에서 승차해야 한다.
4. 노선 종류
4.1. 심야버스
해당 노선들은 한국brt 소속의 노선만 해당된다. 단, 진관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N37번은 이 회사와 관련없다. 진관 측은 제일여객이 내려오기 때문이다.
- N13(한국brt, 상계측 흥안운수)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상계주공7단지
- N37(한국brt, 진관측 제일여객)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진관공영차고지
4.2. 간선버스
장지공영차고지와 마찬가지로 300번대 노선과 400번대 노선이 공존한다.
- 320(남성버스)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상봉터미널(중랑구청)
- 333(대성운수)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올림픽공원[B]
- 343(대성운수)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수서역[B]
- 350(한서교통)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노들역
- 360(한국brt)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여의도환승센터
- 362(대성운수)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여의도 국회의사당[B]
- 440(대성운수)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압구정동[B]
- 452(남성버스)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중앙대학교병원[A]
4.3. 지선버스
- 3012(남성버스, 동성교통, 한서교통)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성촌공원.포르쉐센터용산[B]
- 3313(대성운수, 한서교통)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잠실역.롯데월드[B]
- 3322(한서교통)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503) - 서울종합운동장[문정동, 경찰병원, 배명중고교, 새마을시장 경유(구 3418번 단축)]
- 3425(남성버스, 동성교통) : 복정역3번출구 (24-435) - 삼성역[8]
- 4419(남성버스) : 복정역환승센터4번승강장 (24-506) - 압구정동[A]
[1]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외에도 은평공영차고지, 상암공영차고지, 진관공영차고지(이상 고양시계), 양천공영차고지, 온수공영차고지(이상 부천시계), 강서공영차고지(김포시계), 중랑공영차고지(구리시 및 남양주시계), 도봉공영차고지(의정부시계)가 시경계 근처에 있다.[2] 이에 따라 많은 업체와 많은 시내노선 차량들이 상주 및 주박하고 있다.[3] 매년 보유세를 내야 하는데, 위례신도시 조성이 끝나면 금싸라기 땅이 되므로 공시지가 상승으로 보유세가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4] 거여동 지역 군부대 이전이 늦어진 관계로 위례신도시 개발 일정이 전체적으로 밀리게 되었기 때문에, 2017년 시점에도 송파공영차고지는 멀쩡히 잘 돌아가고 있다.[5] 원래 광진05번은 자양동 신흥기업 차고지에서 주박했으나, 오케이버스로 매각된 후 한빛운수로 넘어간 지금까지도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주박한다. 새벽이나 운행 차량 부족시 '''송파공영차고지-잠실대교-뚝방길-신자초교'''의 경로로 투입시킨다.[6] 2019년 1월 1일 362번을 대성운수로 넘기면서 철수. 8441번만 남았다.[7] 대성운수의 경우는 성원여객이 과거 대성운수의 계열이었고, 남성과 동성은 계열은 아니지만 '''대진여객과 대표들이 형제 관계이다. 동성과 대진은 성북구 업체로 취급하나, 남성은 사명을 바꾸며 송파구 업체로 변경. 그러나 대표는 삼남 체제 그대로 유지.[B] A B C D E F 위례신도시 경유[A] A B 성남 경유[8] 위의 3322 노선과 경로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