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버스 3-3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성남시 마을버스 3-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삼정아파트)
종점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광주노인종합복지회관)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6:40
막차
22:30
막차
23:20
평일배차
7~8분
휴일배차
9~15분
운수사명
광성운수
인가대수
16대(예비 1대)
노선
삼정아파트 - 삼부아파트 - 태평역 - 모란고개 - 모란역 - 중원구청 - 아튼빌후문 - 대원사거리 - 상대원파출소 - 반포산업사거리 - 벽산테크노피아 - 이배재터널 - 목현동회관 - 성민교회 - 약수터휴게소 - 신일아파트 - 회덕동삼거리 - 탄벌부대앞 - 파라다이스아파트 - 광주노인종합복지회관

2. 개요


광성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1.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2년에 경기교통이 부도나기 직전에 광성운수가 인수하여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되었다.
  • 2015년 3월 15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16년 4월 9일에 '파발교 → 송정교남단 → 터미널 → 역동사거리 → 축협 → 우체국 → 파발교' 구간이 단축되었고 구 시청을 경유하여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1월 22일에 삼정아파트 첫차가 4시 50분에서 5시 20분으로, 보건소 첫차가 5시 30분에서 6시로 늦춰졌다.
  • 2018년 10월 1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0년 1월 6일에 이배재터널이 편도로 임시개방되어 기사가 이배재고개로 가는 승객이 있는지 확인한 후 없는 것이 확인되면 이배재터널에 진입한다.
  • 2020년 2월 17일에 정식으로 양방향 이배재터널 경유로 변경되고 기점 막차가 22시 30분, 종점 막차가 23시 20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모란역~회덕동' 또는 '보건소~목현동' 구간의 수요가 아주 많다.[1] '모란역~파라다이스' 구간을 이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없지는 않은데 같은 구간을 직통으로 운행하는 3-1번보다 요금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 배차간격이 불규칙하다. 경쟁 노선인 31-2번, 31-3번, 500-5번을 견제하기 위함이다. 모란역이나 광주노인종합복지회관에서 승객이 어느 정도 차면 출발한다.[2] 기종점 정류장의 경우 다른 정류장에 비해 승객이 많이 탑승하기 때문. 나머지 정류장의 경우 경쟁 노선과 겹치면 거의 타지 않는다.
  • 경쟁 노선들의 견제가 심하였다. 무전기를 통해서 서로의 위치는 물론이고 아이패드31-3번, 500-5번의 위치까지 공유하여 추격한 후 승객들을 가져가는 등 경쟁에서 이기려고 여러 수단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광성운수성남교통에 인수된 후부터 회덕동, 송정동, 목현동 인구가 대거 증가하면서 버스들의 수요가 많이 늘었기 때문에 경쟁의 의미가 사라져서 무전이나 위치 추적이 사라졌다.[3]

  • 마을버스이기 때문에 환승 없이 단독으로 타거나 다른 마을버스 및 지하철과 환승할 때 31-3번, 500-5번보다 저렴하다.[4]
  • 서류상으로는 파라다이스아파트가 종점이지만 실질적인 종점은 광주노인종합복지회관이다. 여기서 배차간격을 조절하여 경쟁 노선들을 견제하기 위해 기다렸다. 경쟁이 사라진 현재도 노인복지회관에서 대기한다.
  • 3-3번이 그간 경유해 왔던 이배재고개는 급경사가 심해 눈이 내리면 차량이 미끄러져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배재고개는 산을 깎아서 만들어 가드레일 옆은 절벽이다. 이 때문에 눈이 내릴 때 운행하면 추락하여 사고가 날 수 있어 눈이 녹을 때까지 해당 구간으로는 운행하지 않았다. [5] 지금은 이배재터널이 완공되어 이배재터널로 우회하고 있다.
  • 2015년까지 경쟁 노선들과 동일하게 자일상용차가 신차로 투입되었으나 성남교통에 인수된 후 현대자동차만 투입하고, 동시에 도색도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색에서 경기도 마을버스 도색으로 바뀌었다. 물론 2014년에는 무려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한 적이 있다.
  • 기사들의 식사와 차량 주유가 겹치는 점심 시간에는 배차간격이 2배로 벌어진다.
  • 타 계열사 출신 그린시티 차량이 3대 있는데 2대는 서울여객 출신이며 나머지 1대는 백운여객 출신 차량이다. 천연가스버스는 2020년 7월을 끝으로 모두 대차되어 전멸하였다.

5. 연계 철도역




[1] 이 노선은 3-1번과 더불어 경기교통 소속 노선들이 겪었던 상습적인 불법 감차나 파행운행의 영향권 밖이었다.[2] 대형 차량의 경우 중형 차량에 비해서 좌석이 많기 때문에 대기시간이 더 늘어난다.[3] 3-3번이 KD 텃밭에서 정말 잘 버틴 것이다. 말 그대로 고생 끝에 낙이 온 셈.[4] 그래서 그런지 특히 노인종합복지회관에서 연세가 지긋한 분들이 31-2, 31-3, 500-5번 대신 3-3번을 많이 타신다.[5] 이런 경우 '삼정아파트 - 성남동성당 - 대원사거리 - 성남소각장', '광주보건소 - 신일아파트 - 목현2통' 구간으로 나누어 운행하는 방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