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한도

 


[image]
[image] '''대한민국 국보 제180호'''
'''김정희 필 세한도'''
金正喜 筆 歲寒圖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 산수화
'''수량/면적'''
1축
'''지정연도'''
1974년 12월 31일
'''제작시기'''
조선 헌종 10년(1844)
1. 개요
2. 내용
3. 문학적 가치
4. 2차 창작물
5. 기이한 역사
6. 바깥고리
7. 국보 제180호

[clearfix]

1. 개요


조선 헌종제주도에 유배 중에 있던 추사 김정희가 그린 그림으로, 국보 제18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원소유주로부터 기탁[1]받아다가, 현재는 완전히 기증받아서 소유하고 있다.

2. 내용


歲寒然後知 松栢之後凋(세한연후지 송백지후조) 한겨울 추운 날씨가 되어서야 소나무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비로소 알 수 있다.

논어 자한편

지금 그대가 나를 대하는 것을 보면, 내가 곤경을 겪기 전에 더 잘 대해 주지도 않았고 곤경에 처한 후에 더 소홀히 대해주지도 않았다. 그러나 나의 곤경 이전의 그대는 칭찬할 만한 것이 없겠지만, 나의 곤경 이후의 그대는 역시 성인으로부터 칭찬을 들을 만하지 않겠는가? 성인께서 유달리 칭찬하신 것은 단지 엄동을 겪고도 꿋꿋이 푸르름을 지키는 송백의 굳은 절조만을 위함이 아니다. 역시 엄동을 겪은 때와 같은 인간의 어떤 역경을 보시고 느끼신 바가 있어서이다.

김정희. 세한도 발문(歲寒圖 跋文) 中 출처

세한도의 크기는 23cm*69.2cm이다.[2] 이 그림은 추사가 귀양 시절 제자 이상적[3]이 북경에서 귀한 서책 120권 79책의 황조경세문편을 구해와 유배지 제주도까지 가져다 주었다. 그러자 추사 김정희소나무측백나무를 보고 "가장 추울 때도 너희들은 우뚝 서있구나" 라면서 자신의 처지를 표현한 그림이다. 그림을 받은 이상적은 청나라에 가져가 장악진(章岳鎭), 조진조(趙振祚)를 비롯한 총 16명의 청나라 문인들의 제찬[4]을 받았고 조선으로 가지고 돌아온 후 문인 3명의 제찬도 받았는데, 이것이 오늘날 세한도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고 있다.

우선[5]

이 김추사 선생이 그린 세한도를 보여주었다. 우선을 격려한 것이며 또한 자신에게 준 것이기도 하다. 그 뒤에 아울러 세상을 등져도 번민이 없다는 생각으로 추사옹의 뜻을 엿보다.

을사년[6]

초봄 양호 장악진이 쓰다.

청의 문인, 장악진의 제찬.

추사라는 이름 일찍 들어는 보았으나 아쉽도다.

한번도 만나지 못했네.

우여곡절 끝에 가시에 상처를 입고,

몸은 곤궁하나 도는 변함이 없네.

푸르름이 동심(冬心)을 품고,

꿋꿋이 서리와 눈에 굽히지 않네.

서로 만날 수 있을지 알 수 없어 먼저 이 시로 인사하노라.

청의 문인, 조무견의 제찬.

세한도(歲寒圖)라는 제목은 논어 자한편에서 따왔는데, 사람은 고난을 겪을 때라야 비로소 그 지조의 일관성이나 인격의 고귀함 등이 드러날 수 있다는 뜻이다. 시절이 좋을 때나 고난과 핍박을 받을 때나 한결같이 인격과 지조를 지켜야 한다는 추사의 다짐은 이처럼 여러 문인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세한도는 이상적 사후에 민씨 일가로 넘어갔다가 경성제국대학의 중국철학 교수로 고미술 수집가이자 완당 매니아(...)였던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隣)의 손에 들어갔다. 후지츠카는 완당의 서화나 그에 대한 자료를 매우 많이 소장하고 있었는데[7] 서예가 손재형(孫在馨, 1902년 ~ 1981년)이 그에게 간곡하게 부탁하여 세한도를 양도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손재형이 세한도를 양도받고 난 석달 뒤인 1945년 3월, '''도쿄 대공습'''으로 후지츠카의 서재가 모조리 불타버리면서 그가 수집한 완당의 수많은 작품들도 함께 사라졌다고 한다. 그야말로 운명적으로 살아남은 작품이라고 하겠다.

3. 문학적 가치


문인화이므로 그림의 미술적 기교보다는 그 그림을 그리게 된 동기나 제목 부시등이 중요하다. 이 그림은, 추사 김정희가 문인화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사의(寫意)를 가장 잘 나타내는 그림이기 때문에 유명한데, 사의란, 그림은 그림 자체보다, 그 의미가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세한도는 추사가 이 그림을 그리게된 과정과 그 감정을 잘 나타냈다는 점에서 유명한 것이다. 제주도 대정읍에 있는 김정희 미술관인 추사관 건물은 이 세한도의 건물을 본따서 만들었다.



4. 2차 창작물


세한도의 숨겨진 내면적 의미 때문에 몇몇 시인들은 이를 시적 대상으로 삼아 시를 지었는데 대표적인 시가 도종환의 세한도이다. 세한도(시) 문서 참조.

5. 기이한 역사



일본에서 손재형 선생은 세한도를 받았으나... 손재형 선생은 정치에 투신해 재산을 탕진하자 고리대금업자에게 세한도를 담보로 맡겼는데 돈 갚을 길이 없자 세한도의 소유권을 포기했다. 그래서 이 작품을 개성 출신의 갑부 손세기가 사들이고 현재는 그의 아들인 손창근이 소유하고 있다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손창근 선생은 이 기증건으로 금관문화훈장에 수훈되었고 이후 2020년 12월 9일 청와대에 초대되었다.영상 이후 일본 학자의 아들은 추사 김정희의 그림 2000점을 기증했다.

6. 바깥고리



7. 국보 제180호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실학자로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금석학을 연구하였으며 뛰어난 예술가로 추사체를 만들었고 문인화의 대가였다. 이 작품은 김정희의 대표작으로 가로 69.2㎝, 세로 23㎝의 크기이다.

이 그림은 그가 1844년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을 때 그린 것으로 그림의 끝부분에는 자신이 직접 쓴 글이 있다. 이 글에서는 사제간의 의리를 잊지 않고 북경으로부터 귀한 책들을 구해다 준 제자 이상적의 인품을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유하며 답례로 그려 준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 채의 집을 중심으로 좌우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주위를 텅 빈 여백으로 처리하여 극도의 절제와 간략함을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위에는 세한도라는 제목과 함께 ‘우선시상’, ‘완당’이라 적고 도장을 찍어 놓았다. 거칠고 메마른 붓질을 통하여 한 채의 집과 고목이 풍기는 스산한 분위기가 추운 겨울의 분위기를 맑고 청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른 붓질과 묵의 농담, 간결한 구성 등은 지조 높은 작가의 내면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인위적인 기술과 허식적인 기교주의에 반발하여 극도의 절제와 생략을 통해 문인화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화로 평가되고 있다.


[1] 기증과는 다르게 소장자가 소유권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맡기는 것을 말한다. 원 소유주 손창근 옹은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세한도를 2년의 기한을 두고 국립중앙박물관에 기탁했었다.[2] 그림과 함께 청나라의 문인 및 김정희 제자와 손재형이 받은 초대 부통령 이시영, 정인보 등의 글월과 함께 두루말이로 표구되어 총길이는 10M에 달한다.[3] 1804년 ~ 1865년. 역관의 신분으로 12번이나 청나라에 다녔으며 많은 문인들과 교류하였다.[4] 일종의 감상평[5] 이상적의 호(呼).[6] 1845년[7] 원간본만 1만권에 달했고 총 3만여권의 장서를 보유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