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실수)

 


1. 개요
2. 기호
3. 소수의 종류
3.1. 유한소수


1. 개요


xxxx.xxxxx... 형식으로 이루어진 수.
자릿수가 유한한 유한소수와 자릿수가 무한히 계속 이어지는 무한소수가 있다. 소수점 아래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 순환소수, 그렇지 않으면 비순환소수라 한다. 무리수는 늘 비순환소수이며, 유리수는 (기약분수꼴로 나타냈을 때의) 분모에 따라 유한한 소수표현을 갖거나 순환소수이다.
규칙이 있지만 '''대수적인 방법으로 구할 수 없는 수'''는 무리수이면서 그중에서도 초월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서, 0.1234567891011121314...와 같은 소수가 있을 때, 이 소수는 소수부분이 1부터 시작하여 1씩 큰 자연수를 이어 적어나가는 규칙이 있지만, 이 수를 근으로 갖는 계수가 유리수인 다항식이 없다. 0.110100100010000100000...와 같은 소수도 마찬가지 이유로 초월수에 해당한다.

2. 기호


처음으로 소수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를 사용한 사람은 스테빈(1548-1620)이다. 스테빈은 소수점 대신 숫자 위에 작은 숫자를 적어 자릿수를 표기했다. 3.14를 나타내기 위해 314(0 1 2라고 쓰는 식이다.

3. 소수의 종류



3.1. 유한소수


有限小數
무한소수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정한 한계가 있는 소수를 말한다. 즉, 쉽게 말해서 일정하게 뚝 끊어지는 소수를 말한다. 이해가 안 되면 유한소수의 예시로 0.1, 0.2, -0.1, -0.2 등이 있다. 유한소수는 유리수다.

어떤 분수를 소수로 변환했을 때 유한소수인지 무한소수인지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은 간단하다. 분수를 기약분수로 고치고 소인수분해한 후 분모를 봤을 때 분모의 소인수가 25밖에 없으면 유한소수, 2나 5 외에 다른 소인수가 존재하면 무한소수다.
유한소수는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일단 정수 부분은 무시하고, 소수 부분은 0.xxxx...xxx(소수점 아래의 자릿수가 n자리)와 같은 형태가 되는데 a=0.xxxx라고 하면 a=xxxx/10n=xxxx/(2n×5n)이다. 정수 부분은 분모를 10n으로 바꿔 소수 부분과 더할 수 있으므로 결국 유한소수는 분모를 10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분모에 2나 5가 곱해져 있다면 기약분수에서 약분되지만, 결국 유한소수의 분모에는 2와 5만 남게 된다.
유한소수를 분수로 바꾼 뒤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분모의 소인수는 2나 5밖에 없다. 그래야 10의 제곱, 즉 2X5의 제곱 꼴로 나타내어 유한소수로 나타내어지기 때문이다.

3.2. 무한소수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