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나이트/무기/기타 무기

 


1. 진홍색 와인잔(Crimson Wine Glass)
2. 위성 부양 총(Satellite Floating Gun)
3. 물뿌리개(Watering Can)
4. 비료(Fertilizer)
5. 희망(Hope)
6. 괴물 요리(Monster Cuisine)
7. 쇠지레(Crowbar)
8. 농구공(Basketball)
9. 축구공(Football)
10. 폭약 포대(TNT)
11. 우산(Umbrella)
12. 무쇠 클로(Iron Claw)
13. 보행용 지팡이(Trekking Pole)
14. 톱날 프리스비(Deadly Frisbee)
15. 고성능 공학 계산기(Advanced Scientific Calculator)
16. 리터치 방지 카메라(Retouch-free Camera)
17. 상자(Box)
18. 트럼펫(Trumpet)
19. 해피 뉴 이어(Happy New Year)
20. 스크래치 카드(Scratch Card)
21. 미니 나이트(Mini Knight Figure)
22. 빗자루(Broom)
23. 대파(Green Onions)
24. 고기(Meat)
25. 스피커(Horn)
26. 바람총(Blowpipe)
27. 천상의 검(Heavenly Sword)
28. 당근(Carrot)
29. 덩굴(Vine)
30. 재사용 가능 체력 물약(Reusable Health Pot)
31. 재사용 가능 에너지 물약(Reusable Energy Pot)
32. 녹색 대야(Green Basin)
33. 뚫어뻥(Plunger)
34. 물고기(Fish)
35. 배드민턴 라켓(Badminton Racket)
36. 야구방망이(Baseball Bat)
37. 둥근 방패(Buckler)
38. 재사용 가능 회복 물약(Reusable Restoration Potion)
39. 콩알탄(Pill)
40. 백년 당근(Centennial Carrot)
41. 플런저 플러스(Plunger Plus)
42. 불타는 입술 (Verbal Fire)
43. 레이저 물고기(Laser Fish)
44. 무지개 말(Rainbow Horse)
45. 방패(Shield)
46. 한 대(One Punch)
47. 부표 포(Floating Gun)
48. 레이저 부표 포(Floating Laser)
49. 추가 왕관(Extra Crown)
50. 황제의 새로운 총(The Emperor`s New Gun)
51. 열반의 십자가(Nirvana Cross)
52. 마법 장갑(Magic Gloves)
53. 죽음의 노트(Death Note)
54. 바위주먹(Fist Bump)
55. 위장한 시련(Ordeal in Disguise)
56. 힘 물약(Strength Potion)


예능용 무기거나 일상 생활속 도구를 무기로 마개조한 무기이다.
당근, 대파, 대나무, 물고기, 레이저 물고기, 천상의 검 등도 포함된다.

1. 진홍색 와인잔(Crimson Wine Glass)


[image]
흡혈귀의 기본무기이다. 치명타 시 박쥐가 나와 적을 공격한다.
업글 전에는 평범한 무기이지만 업글 후에는 데미지와 치명타가 늘어나며 마실 수 있는 버튼이 생긴다.
마시게 되면 최대 체력을 +1 늘려줘서 기본 체력이 약한 흡혈귀의 생존력을 조금 높여준다.
정원 왼쪽에 상주하는 판다 혹은 할로윈 시기에 나타나는 박쥐에게 먹여 펫처럼 데리고 다닐 수 있다.

2. 위성 부양 총(Satellite Floating Gun)


[image]
패치 후 각 캐릭터마다 고유 무기 추가로 생긴 로봇의 고유무기.
일반적인 레이저 부류들의 무기와 성능이 흡사하나 부표 포나 레이저 부표 포와 같이 들고 있지 않으면 주변에 두 개의 위성 부양 총이 나타나 주변 적에게 1 대미지의 탄환을 쏜다.
로봇 캐릭터를 8000젬을 주고 업그레이드하면 외형이 변경된다. 그냥 쓰면 중재인과 같은 2 에너지 7 뎀. 날아다닐 때는 적에게 2 대미지의 탄환을 쏘며 공속이 빨라서 매우 좋다. 거기에 플라즈마 독수리와 같은 탄을 쓰기에 기본적으로 벽 반사가 된다.[1]
일반적인 무기와 로봇의 능력과 위성 부양 총을 조합하여 쓰면 주변이 아수라장이 된다. 레이저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들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데미지가 낮아 다른 좋은 무기가 없다면 그냥 들고 싸우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
여담으로 로봇의 스킨인 배우자 유를 적용하면 무기의 이름이 작별로 바뀐다. 성능은 기존과 동일.

3. 물뿌리개(Watering Can)


[image]

행복한 정원사가 되십시오 -지하실

지하실에서 기본으로 있는 무기. 물을 쏜다. 작물에게 물을 줄 수 있다.
실제로 구닥다리 권총이랑 연사속도는 같지만 데미지가 1이 낮아서 데미지를 주는 무기 중에선 가장 최약체다.

4. 비료(Fertilizer)


[image]
비료 포대에서 똥을 3개 꺼내 던진다. 치명타 시 기절이 걸린다.
무기로 쓸 일은 없고 농장에서 작물의 성장 필요 일 수를 하루 단축시킬 수 있다.
약간의 팁으로 농장 토양에 비료로 주고 한 판 돌리고 나오거나 게임 시작화면에 나갔다오면 식물이 바로 자란다. 또, 8번 얻어서 단조 작업대에 올리면 만들 수 있는데, 이 때 만든 비료도 사용할 수 있다. 재료는 유기농 물질 6개.

5. 희망(Hope)


[image]
용병 힐링 나이트의 기본 무기이다.
멀티 플레이의 링 그린과 효율이 같지만 에너지는 10이 든다. 링 그린 상위호환의 용병 무기.

6. 괴물 요리(Monster Cuisine)


[image]
모바일 게임 '암흑요리왕'과의 콜라보로 등장한 용병의 무기이다.
치명타 시 랜덤한 상태이상을 걸며, 의외로 산탄 수 증가 특성 효과를 받는다.

7. 쇠지레(Crowbar)


[image]
던전 진행 중 0원으로 고용 할 수 있는 과학자 용병의 무기이다.

8. 농구공(Basketball)


[image]

싸우는 대신 경기에 도전하세요! -지하실

축구공에서 탄환만 농구공으로 바꾼 무기. 들고 있으면 드리블을 한다. 연사속도가 느려서 좋은 무기는 아니다. 벽에 몇 번 튕긴다. 데미지가 축구공에 비해 1 높고 초반 속도는 축구공보다 느리다. 튕기면 튕길수록 빨라진다.
축구공과 비슷한 외형이었으나 사진처럼 바뀌었다.

9. 축구공(Football)


[image]

중국 축구를위한 시간이 거의 없다 -지하실

축구공 한 발을 쏜다. 적을 관통하며, 벽에 닿으면 한 번 튕긴다. 연사속도가 느려서 성능은 좋지않다. 농구공에 비해 데미지는 1 낮으나, 투사체 속도가 더 빠르다. 모티브는 아마 축구공이 나오는 코난 벨트인 것 같다.

10. 폭약 포대(TNT)


[image]
플레이어 위치에 다이너마이트를 하나 설치한다. 총알로 맞추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폭발한다. 공격받는 즉시 터지기 때문에 공격속도 +100% 챌린지를 켜면 폭발이 끊이지 않아서 폭발 그 자체가 된다.
광전사 3스킬 도약 후 설치 시 착지하는 순간 폭발하여 빠르게 딜을 넣을 수 있다.
가끔씩 오류로 인해 상점에서 1000~10000원대를 넘는 미친 가격을 보여주기도 한다. 실제 네이버 소울 나이트 카페에선 이런 글이 정말 가끔씩 보일 때도 있다.

11. 우산(Umbrella)


[image]
느리게 찌르기를 하며 빙결 효과가 있는 푸른색 탄환을 쏜다. 찌를 때 반동이 있어 뒤로 밀려난다.

12. 무쇠 클로(Iron Claw)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4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성능 표시엔 대미지 1로 나오지만 사실은 캐릭터의 기본 근접 공격 대미지 +1이다. 본격 맨손 플레이 보조장비. 도적이 사용하면 구르고 12 데미지라는 나쁘지 않은 성능이 된다.
또한 이 무기를 들고 공격하면 기본 근접공격을 하는것과 같이 누를 때마다 공격한다.
즉 최강 무기가 될 수도 있다는 뜻. 그러나 공격력 100% 챌린지는 클로 자체의 딜만 2가 되고 맨손딜은 여전히 1만 추가한다.
블루스택[2] + 매크로[3] + 거인증(근접데미지 1 추가) + 무쇠 클로(근접데미지 1 추가) + 광전사 조각상(일정시간 근접데미지 2 추가) + 맨손데미지가 높으며 이 데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캐릭터[4] 조합은 보스가 쳐다보지도 못하고 '''0.5초'''안에 녹는다.
특성이 필요 없어서 초반만 잘 맞게 짜고 가면 DPS 최강무기가 된다. 이 특성 다 안찍고 캐릭터와 무쇠 클로와 보행용 지팡이만 써도 보스 러시 기록을 '''최소 5분 12초'''까지 단축할 수 있다.

13. 보행용 지팡이(Trekking Pole)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4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이름 그대로 오직 보행용인 지팡이이다. 공격버튼을 누르는 동안 파란색 이동속도 발판을 밟았을 때처럼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효과는 이게 다다. 억지로 써먹는다면 빠른 이동속도로 몬스터에게 가까이 접근해서 근접공격으로 공격하고 빠지는 정도.
기록 단축을 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기사 2스킬 사용 시 속도가 배로 증가한다.
완전 자동 장치를 붙이면 편안하게 갈 수 있다.

14. 톱날 프리스비(Deadly Frisbee)


[image]
투사체가 느리며 치명률이 높다. 4번씩 벽에 튕긴다.

15. 고성능 공학 계산기(Advanced Scientific Calculator)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5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0~9까지의 숫자를 발사한다. 데미지는 발사된 숫자를 따른다.
공격 키 위의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면 고성능 공학 계산기의 화면이 초록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고 5 에너지를 소모하며 6 데미지의 탄환을 3번 쏜다. [5]
또한 이 무기를 들고 스테이지를 넘어가면 코스트가 1로 바뀌며 성능은 2코와 차이가 없지만 무기를 바꾸면 다시 2코가 된다.

16. 리터치 방지 카메라(Retouch-free Camera)


[image]
공격력
2
에너지
2
치명타율
0
탄퍼짐
0
효과
화면 안에 모든적을 공격.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5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사진을 찍으며 공격을 하는데 연사속도가 조금 빠르며 적들을 살짝 밀어낸다. 탄막 제거는 못한다.
레이저 폭 증가 효과를 받는다. 데미지가 1 증가한다.

17. 상자(Box)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5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효과는 그저 맵에 등장하는 것과 같은 상자를 설치할 뿐 특별한 기능은 없으나 '상자를 부술 시 포션이 나오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면 에너지 소모를 체력으로 바꿀 수 있게 된다.

18. 트럼펫(Trumpet)


[image]
외형은 트럼펫 보다는 색소폰에 가깝다. 갈색의 외형을 띠며, 사용 후에는 회색이 되고 약 12초 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시 붉은 화살표가 여러 개 나오며 공격속도가 100% 증가하며 아군과 용병에게도 적용된다.
이론상 공격속도 증가 챌린지를 찍은 상태로 사용하면 특성과 중첩되어 공속이 100% 더 증가한다.
용병에게 들려주면 다른 소리가 작게 씹힐 정도로 난사하고 다닌다.
업데이트 전에는 공격속도 증가율이 40% 였기 때문에 업데이트 후 그 누구도 이를 편집하지 않아 꺼무위키라고 욕만 먹게 되었다.실험 영상

19. 해피 뉴 이어(Happy New Year)


[image]

그냥 사용하면 선물 상자 하나를 던지는 구데기 무기지만, 공격버튼 상단의 버튼을 누르면 무기로 변신한다.
외형이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되었다.

20. 스크래치 카드(Scratch Card)


[image]
2.9.0 업뎃으로 추가된 무기이다.
특수버튼은 따로 없고 그냥 공격 버튼을 누르면 확률적으로 일정량의 코인을 얻을 수 있다.
아래는 각 문구와 연결되는 드랍코인량 표이다.
- 0원
빙고 - 15원
럭키 독! - 50원
잭팟!! - 100원
RNGESUS를 찬양하라 - 666원
잘하면 엄청난 돈을 받을 수 있다. 한 번씩 뽑아본 다음 기원의 장에 가면 처음부터 포탑을 깔 수 있어 유리하다.
또 업적 '전문 광부'를 따기에도 유리하다.[6]
기원의 장의 홀로그램 포탑에 달 수 없다. 만약 달 수 있었다면...?
모든 무기를 들 수 있는 용병 '짐 스마일리'가 유일하게 들 수 없는 무기이다.

21. 미니 나이트(Mini Knight Figure)


[image]
작은 사령관 모드의 골드 트로피를 얻으면 보상으로 수령하는 도면에 1500젬을 주고 만들수 있다.
작은 기사를 들고 이동하는데 멈추거나 무기를 내려놓으면 3.0.0 이전의 기사가 쉬는것처럼 위아래로 머리를 움직인다.
하지만 정작 성능은 좋지 않은데, 미니 나이트가 작은 구닥다리 권총을 들고 있어서 원본 구닥다리 권총보다 탄속이 느리고 총알도 더 작다.
작은 사령관 골드 트로피 획득 난이도에 비해 성능이 매우 나빠서 실망감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여담으로 외형은 버전 3.0.0 이전의 기사 스프라이트를 사용하며, 영문 이름이 미니 나이트 피규어다!

22. 빗자루(Broom)


[image]
알록달록한 탄환을 빠르게 연사한다. 집탄율이 별로 좋지 못하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적들을 관통해서 집탄율 증가 특성과 벽 반사 특성을 찍으면 훨씬 성능이 좋아진다.
RYB 돌격소총과 매우 유사하며 치명타율이 좀 나쁘다.

23. 대파(Green Onions)


[image]
휘두를 때 대미지 4의 반달 모양의 공격을 전방으로 쏜다. 당근보다 근접공격 사거리가 길고 공속이 느리다.
1스테이지 보스를 안정적으로 썰 수 있다.
2.5 패치로 음식류[A] 전용 부품인 휴대용 그릴을 부착하면 파 구이가 된다.

24. 고기(Meat)


[image]
공속이 근접무기 중에서 가장 빠르다. 대신 사거리도 제일 짧다. 휘두를 때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정신나간 공속 덕에 눈앞에 보이는 적의 탄막이란 탄막을 다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근접 스킬이 없거나 무적기가 없는 캐릭터들이 사용하면 편리하다.
다만 반경이 좁아 사방에서 공격이 들어오는 경우엔 오히려 다른 검들보다 효율이 좋지 않고, 적의 연사가 너무 빠르면 간혹 뚫고 들어오는 경우도 생긴다. 또한 리치가 매우 짧다. 공격속도 +100%, 공격력 -50% 챌린지가 있으면 고기의 빠른 공속이 두 배가 되어 보호막처럼 탄막을 다 막는다.(거기에 기사의 능력을 더하면.....)
2.5 패치로 음식류[*A ] 전용 부품인 휴대용 그릴을 부착하면 고기 구이가 된다.
공속이 너무 빨라서 근접 무기만 사용 가능 챌린지에서도 에너지 자루를 달면 일반 총급의 성능을 자랑한다.

25. 스피커(Horn)


[image]

没错 , 输出 全靠 吼 (예, 포효하는 것은 DPS입니다!) -지하실

느린 초록색 구형 탄환을 3발 쏜다. 적이나 벽에 닿으면 넓은 범위에 충격파가 터지면서 데미지를 준다. 이 충격파는 터진 지점으로 적들을 모아온다. 데미지가 너무 낮아서 메인으로는 도저히 써먹을 수 없고[7], 굳이 쓴다면 바주카 등 광역무기나 멀티 등에서 보조용으로 채용할 가능성은 있다.
생김새도 그렇고, 발사할 때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루시우의 패러디.

26. 바람총(Blowpipe)


[image]

小心 点 , 别 吸 回去 了 (조심해, 빨지마) -지하실

인디언들이 많이 사용하는 블로우파이프다.
1스테이지 잡몹인 고블린들이 들고 있는 무기.
적을 중독시킬 수 있는 투사체를 발사한다. 연사속도가 느리고 치명타율이 높아 저격총같지만 인게임 분류상 특수 무기이다.
원래 번역은 독 부메랑이라고 발번역돼있었다.

27. 천상의 검(Heavenly Sword)


[image]
이름은 멋있지만 생긴건 커다란 물고기. 사거리가 웬만한 검보다 길다. 얘는 다른 물고기 무기와 다르게 자세히 보면 울고 있다. 치명타 시 적을 얼린다.
2.5 패치로 음식류[*A ] 전용 부품인 휴대용 그릴을 부착하면 천상의 검 구이가 된다.

28. 당근(Carrot)


[image]
휘두르는 근접공격과 동시에 대미지 4의 반달 모양의 투사체를 전방으로 쏜다. 부활절 업데이트 때는 로얄 나이트 용병에게서만 얻을 수 있었다. 현재는 대기실 오른쪽 상점이나 던전을 도는 중 상자에서 씨앗을 얻어 키울 수 있다. 대파와 비교하자면 근접공격의 사거리를 줄이고 공격속도를 올린 느낌.
2.5 패치로 음식류[*A ] 전용 부품인 휴대용 그릴을 부착하면 당근 구이가 된다.

29. 덩굴(Vine)


[image]
대미지 8짜리 휘두르는 공격을 한다. 치명타 시 적을 중독시킨다. 대기실 오른쪽 상점이나 던전을 도는 중 상자에서 씨앗을 얻어 정원에서 키우면 얻을 수 있다.
유적 맵의 원숭이 중 하나가 이 무기를 들고 있다.

30. 재사용 가능 체력 물약(Reusable Health Pot)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6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사용 시 체력 2를 채워주고 빈 병이 되어 데미지 4짜리 투척무기가 된다.
포탈을 타고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면 재사용할 수 있다.

31. 재사용 가능 에너지 물약(Reusable Energy Pot)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6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사용 시 에너지 80을 채워주고 빈 병이 되어 에너지 0에 데미지 4짜리 투척무기가 된다.. 무기를 2개밖에 들 수 없는 특성 상 보조로 들고 다니기는 무기 칸이 아깝고 특성으로 무기 칸을 3개로 늘렸을 때 가지고 다닐만 하다. 다만 회복량이 40으로 빈약한 수준이...었으나 80으로 증가했고 보스전에서 에너지를 보충해주는 정도 외에는 그다지 쓸모가 없다.
포탈을 타고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면 재사용할 수 있다.

32. 녹색 대야(Green Basin)


[image]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666젬으로 만들 수 있다.
적이 가까이 있으면 대야를 휘둘러 근접공격을 하고 멀리 있으면 대야를 던진다. 등급과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데미지는 높은 편이나, 탄속이 느린게 단점.
무기를 제작하고 던전에 들어가면 업적 '마법 모자!'가 해금된다.

33. 뚫어뻥(Plunger)


[image]

别 打 我 , 我 投 翔! / 쏘지마, 똥을 쏴라! -지하실

작은 똥 모양의 탄환을 쏜다. 치명타 시 적이 잠시동안 기절 상태가 된다. 플런저 플러스도 안 쓰는 마당에 이걸 쓸 리가... 경직이 좋아서 그나마 보스 잡는 데에 좋긴 하다.

34. 물고기(Fish)


[image]

거품같은 파란 구체가 차징된다. 레일건 중에서 데미지가 제일 낮아 쓰레기였지만 빙결 효과를 주도록 상향되었다. 탄이 크기 때문인지 밀어내면서 두 번 타격하고 운이 좋으면 폭발 딜까지 넣을 수 있다.
기원의 장에서 미리 쏴두면 적을 끝까지 밀어내면서 중첩 딜을 넣는 기적을 볼 수 있다.
2.5 패치로 음식류[*A ] 전용 부품인 휴대용 그릴을 부착하면 생선 구이가 된다.

35. 배드민턴 라켓(Badminton Racket)


[image]
라켓을 휘두름과 동시에 대미지 8의 셔틀콕 한발을 쏜다. 딜도 괜찮게 들어가고 탄막도 지우기에 에너지만 신경쓰면 좋은 무기.
근접딜을 못 넣어도 2 에너지에 8 대미지 고효율, 근접 딜까지 넣으면 14 대미지라는 딜량이 나온다. 공격속도까지 빠르니 원거리 공격 + 탄막 제거를 무기 하나로 할 수 있다. 특성 도움 없이 2-5 보스까지 쓸 수 있을 정도.

36. 야구방망이(Baseball Bat)


[image]
휘두르면서 야구공을 발사한다. 야구공은 기본적으로 한 번 튕기며 데미지는 5다. 근접해서 쓰면 13 데미지에 치명타 시 최대 26까지 나오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공격속도도 빠른 편이다. 휘두르는 공격이 치명타가 뜨면 기절에 걸린다.

37. 둥근 방패(Buckler)


[image]

와, 하루 종일 할 수도 있어! -지하실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10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방패를 던진다. 부메랑처럼 다시 돌아오지만 경로에 있는 탄막을 지울 수 있다. 모티브는 딱 봐도 이분의 방패.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과 궁합이 좋다. 돌아올 때 몹을 끌고 오면서 강한 데미지를 주는 경우가 있다.
벽을 관통한다. 어떤 벽은 관통하지 못한다. 암살자 부메랑 버그처럼 얘도 버그가 있는데 스킬을 쓰고 공격하면 가끔 방패가 제자리에 빙글빙글 돌면서 돌아오지 않는다.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적용하면 한 번에 방패를 3개 던진다.

38. 재사용 가능 회복 물약(Reusable Restoration Potion)


[image]

빨간색과 파란색은 좋은 짝을 이룹니다. 보라색은 어때? IDK -지하실

조합식
재사용 가능한 에너지 물약 + 재사용 가능한 체력 물약
설계 작업대에서 설계도와 1000젬으로 만들 수 있다.
대용량 회복 물약처럼 체력 2 + 에너지 80을 회복시킨다.

39. 콩알탄(Pill)


[image]
기본적으로 투척 무기이나 흡혈귀의 기본 무기처럼 먹을 수 있는데 확률적으로 체력을 1 늘려주거나 감소시킨다.
이 콩알탄이 5개가 나오는 !방도 있다. 모든 무기에 부속물 부착 챌린지가 있으면 한 방에 등장하는 모든 콩알탄에 같은 부속물이 부착된다.

40. 백년 당근(Centennial Carrot)


[image]
정원의 당근이 모두 성장하고 나서 비료를 뿌리거나 하루가 지나면 수확할 수 있다.
데미지는 검기, 근접공격 모두 맞추면 딜이 20이 넘는 준수한 무기로 도적 등의 치명타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추가 수단이 있다면 3스테이지 클리어도 노려볼 수 있을 정도.

41. 플런저 플러스(Plunger Plus)


[image]
조합식
뚫어뻥 2개

폭발이야! 이거 ... 폭발성 똥이야?! -지하실

뚫어뻥을 마개조한 느낌의 무기. 발사하면 거대해진 똥이 나가는데 그 똥이 폭발한다(...?)
범위 기절이 가능해졌는데 피해량이 좀 약하다... 그런데 범위는 피해량이 더 높은 황금 저격총 프로보다 더 넓다(...)
공격력과 특징에 걸맞지 않게 공속이 꽤 빠르다.

42. 불타는 입술 (Verbal Fire)


[image]

공격 시 무지개색 글자들이 나간다. 각 글자들은 색깔마다 다른 상태이상을 건다. 들고 있지 않아도 다른 무기를 사용할 때 발사된다. 이 경우 손에 들고 있을 때보다[8] 치명타율이 낮아지나, '''손에 들고 있는 무기의 에너지 소모를 제외하면 불타는 입술 자체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는다!'''
패치로 다른 무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들고 있는 무기 한 방 한 방에만 발동하도록''' 변경되었다. 패치 이전에는 주 무기로 들고 있을 때처럼 쏟아져나왔던 걸 생각하면 하향 패치.
(다만 다른 무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 그라운드 워터처럼 연타시 주무기로 쓰는 수준으로 쏟아진다...)

43. 레이저 물고기(Laser Fish)


[image]
조합식
물고기 + 아이스 브레이커
지속형. 에너지 소모가 0이라는 장점이 있다. 패치 후 기본 공격력은 2로 상향되었지만, 대미지가 최대 3으로 고정되었다.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이후로 확률적으로 빙결시키는 효과도 추가되었다.
버그가 하나 있는데 정령의 스킬 전에 레이저를 쏘는 상태에서 정령의 스킬을 누르고 공격 키를 살짝 뗐다 누르면서 마법 화살을 쏘고 나면 대미지가 2배로 박힌다! 정확히는 두 줄기의 레이저가 나가는 거다.
2.5 패치 후 음식류[*A ] 전용 부품인 휴대용 그릴을 부착하면 레이저 물고기 구이가 된다.

44. 무지개 말(Rainbow Horse)


[image]
지속형 레이저 무기이다. 공격 버튼을 누르고 나가는 속도가 조금 느리다. 벽에 한 번 튕기는 효과가 있다.
간혹 포탑 방에서 포탑 대신 등장하며, 공격 위치 표시 후 지속 레이저를 발사한다.[9] 그리고 연결부가 뚫어뻥(...)


45. 방패(Shield)


[image]
성기사가 던전 시작 지점에서 자기는 좀 쉬고 싶다며 준다. 캐릭터 주위로 투사체만 막아주는 육각형 방어막이 생긴다.
근접 판정이 있는지 탄 튕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투사체를 튕겨낸다.
과거에는 무기 자판기에서 매우 낮은 확률로 나왔지만 패치로 무과금 플레이어는 빨강 쿠폰 이외에 방법으로 얻을 수 없게 되었다.
심지어 빨강 쿠폰은 한 개 밖에 없으므로 도감 채울 기회 한 번만 주는 셈이다. 패치로 스위칭만 누르면 실드가 발동되어 사용하기 편해졌다.
성기사의 스킨에 따라 방패의 모양이 바뀐다.
데미지가 있는 이유는 과거에는 전방향으로 탄을 발사하는 무기였기 때문이다.

46. 한 대(One Punch)


[image]
사이타마의 패러디. 소모되는 에너지에 걸맞게 무시무시한 대미지를 보여준다. 공격 형식은 풀차징해서 찌르는 형식.
일반 모드 3스테이지 보스들까지 종류 불문하고 한 방에 날아가고, 하드에서도 실피만 남기는 성능을 가졌다.[10]
단, 처음 한 번만 999 데미지고, 한 번 사용한 뒤에는 1 에너지 9 대미지의 구데기가 된다. 풀차징하지 않으면 공격 자체가 나가지 않아 한 번 쓰고 난 뒤엔 DPS가 최악이니 미련없이 버리자.
드물게 1-1의 상점에서도 볼 수 있으나 가격이 99...
한 대로 모든 보스를 잡는 영상
암살자 3스킬 사용 시 1.5배의 공격력과 100%의 치명타율로 인해 무려 2996데미지를 넣는다.
참고로 완전자동장치랑 조합하면 한 스테이지 한정으로 무지막지한 데미지를 노딜레이로 끝도없이 박아넣을수 있다.

47. 부표 포(Floating Gun)


[image]

나는 네 빛과 꿈으로 네 그림자처럼 너를 추구한다...... -지하실

거상 쥴란의 보스 무기 1.
들고 공격할 때는 대미지 4에 에너지 1을 먹는 기본 무기보다 못한 쓰레기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다른 무기를 쓸 때 발휘된다.
이 무기를 얻고 다른 무기를 쓰고 있으면 부표 포가 날아다니며 공격을 하는데, 공격력 4의 탄환을 1갈래로 발사한다. 연사속도가 느리지만 대충 펫 정도의 효율은 나온다. 산탄 수 증가 특성과 집탄율 특성이 있다면 훨씬 좋다. 왠지 환영의 지팡이로 복사하면 분신이 무기를 직접 들고있지 않고 맨손 상태로 데리고 다닌다.
과거에는 캐릭터가 죽어서 부활 여부를 묻는 창이 나왔을 때 부표 포가 계속 적을 공격하는 꼼수가 있었다. 펫이나 용병과 다르게 무적이라서 쉬지 않고 계속 공격하여 3스테이지 보스도 날먹할 수 있었는데 이런 사기성 때문인지 패치되어 캐릭터가 죽은 상태에선 더 이상 공격하지 않는다.

48. 레이저 부표 포(Floating Laser)


[image]
거상 쥴란의 보스 무기 2.
부표 포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쏠 땐 공격력 4에 에너지 소모 1인 쓰레기 무기지만, 들고 있지 않으면 주위를 날아다니면서 공격력 4짜리 레이저를 쏜다. 부표 포보다 연사 속도가 조금 더 빠르다.
과거엔 부표 포와 마찬가지로 죽었을 때 적을 공격하는 꼼수가 있었다.
환영의 지팡이의 특징이 적용된다.

49. 추가 왕관(Extra Crown)


[image]

보이지 않음 / (/// w ///) / -지하실

2-5 보스 중 망령왕을 쓰러트리면 일정 확률로 주는 무기다. 사용하면 몸이 반투명해지면서 어그로를 없애 보호막 채울 때 유용하다. 그리고 방패처럼 들기만 해도 사용된다. 다만 펫은 어그로가 끌리니 펫과 좀 떨어져 있자.
성기사가 쓰면 이것만큼 사기인 보조무장이 없는데, 스킬이 꺼지면 왕관들고 쿨타임까지 버틴 후 다시 스킬을 쓰면 사실상 무한 무적과 다름 없어진다.
문제가 하나 있다면 스킬 시전 중에는 사용이 불가능한데, 드루이드의 경우 1,3스킬을 한 번 사용하면 펫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스테이지를 넘어갈 때마다 스킬을 한 번이라도 시전한다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50. 황제의 새로운 총(The Emperor`s New Gun)


[image]
2-5 보스 중 '''머리 없는 기사와 그의 말'''을 처치하고 나오는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무기를 소지하고 있으면 지속적으로 깜빡거리고, 기본적으로 관통 능력을 가지고 있다.
레이저 강화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11] 다만 아쉽게도 벽 반사 특성은 적용되지 않는다.
성능은 보스 무기답게 딜링이 엄청나다. 집탄율이 매우 좋기 때문에 집탄율 증가 특성과 함께라면 산탄이 아니라 탄환 덩어리를 발사하는 수준이며, 대미지가 30, 산탄 특성이면 42인데 공격속도도 빨라서 dps가 어마어마하다. 5의 에너지 소모를 씹어버릴 정도의 강력한 공격력과 관통의 능력으로 모든 캐릭터들의 1티어 원거리 무기인 수준이다.
바닥에 내려놓고 줍지 않으면 점점 투명해지면서 사라진다.[12] 모티브는 벌거벗은 임금님.[13] 실제로 보이지 않는 허상뿐인 것에서 유래되었다.
어째서인지 작업대 특수 무기 칸에 있다.

51. 열반의 십자가(Nirvana Cross)


[image]
1스테이지 보스 부활절 토끼의 전용 무기로, 스탯이 싹다 0이라 이게 뭐하는 무기인가 싶지만 이 장비의 진가는 소지한 상태로 죽으면 '''한 번 부활'''하는 것이다. 숙련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의문사를 빈번히 보게 되는 소울 나이트 특성상 목숨 +1의 의미는 상상을 초월한다. 부활이라는 독보적인 효과 덕에 난이도가 오를수록 이 장비의 가치도 같이 오른다. 단점은 무기 슬롯을 하나 차지하기 때문에 조금 불편해진다는 것.
효과 발동 시 앙크☥기호가 나타났다. 현재는 패치되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부활절 시즌 한정으로 로비 왼쪽 밭 끝에 모아이 석상에 말을 걸면 얻을 수 있다. 모아이 석상은 열반의 십자가를 주면서 몬스터 부활 효과도 같이 준다. 몬스터 부활 효과는 왼쪽 상단에 보라색 ☥ 기호가 뜨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몬스터 부활 효과가 적용된 게임은 보스를 제외한 죽인 몬스터가 한 번씩 부활한다.

52. 마법 장갑(Magic Gloves)


[image]
2스테이지 기사 왕국 맵 보스 거대 슬라임의 보스 무기로 양손에 착용하는 무기이다.
기사의 스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손으로 불덩이를 쏜 후 다른 손으로 독 불덩이를 쏘고 마지막으로 양손으로 큰 불덩이와 큰 독 불덩이를 쏜다. 마지막에 쏜 큰 불덩이들은 각각 화염 장판과 독 장판을 남긴다. 보스 식물 2개의 특성이라 풀특성 얻기가 쉽다.
사용 효율은 좋으나 에너지 소모가 4로 큰 편.


53. 죽음의 노트(Death Note)


[image]

다음에 누구 이름이 나올까요? -지하실

데스노트의 패러디. 사용 시 책에 글을 쓰며 다 쓰면 몬스터 하나가 죽는다. 대상은 쓰여지는 동안 ×가 표시된다. 엘리트 몬스터나 템 선택방 터렛에게 효율이 좋다. 다만 보스한테는 전혀 효과가 없다.

54. 바위주먹(Fist Bump)


[image]
1스테이지 유적 맵 보스 중 하나인 원시 거인이 드랍하는 무기이다.
그냥 공격할 때는 찌르기 방식의 주먹 공격을 한다. 그러나 풀차징 공격 시, 적 혹은 캐릭터의 진행 방향으로 돌진한다. 돌진하며 적에게 부딪히면 일자로 충격파 4개가 나간다.
돌진 무기라고 하면 좋아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충돌 데미지가 있는 개구리 등의 몬스터에게 돌격하면 그 데미지를 그대로 받으며, 불안한 나무 몸통과 달리 돌진으로 총알이 지워지지 않는다! 차징 속도도 그닥 빠르지 않은 쓰레기 무기이다.
그냥 보행용 지팡이 대신 방 간 이동용으로 사용할만한 정도이다.
여담으로 풀차징 시 한쪽 손이 따봉이 된다.

55. 위장한 시련(Ordeal in Disguise)


[image]
설원 맵 보스방에서 확률적으로 출현하는 얼음 동굴 맵의 보스인 얼음 동굴벌레가 드랍하는 무기이다.
무기를 든 상태로 공격하면 얼음 동굴 맵 전반에서 떨어지는 고드름처럼 공격한다.
불타는 입술처럼 들고 있지 않아도 공격하는 보조무장인데 주무장일 때는 고드름이 무수히 떨어지지만 보조무장일 때는 고드름이 한 개만 떨어지는 아쉬운 무기.
보조 무기일 때 공격속도가 빠르거나 말거나 한 번 쏠 때 N의 게이지가 모이고 시간이 지나면 N번을 쏜다. 즉 주 무기의 공속이 느리면 이득.

56. 힘 물약(Strength Potion)


[image]
원래 신비한 상인이 체력 1을 대가로 팔고 바로 마셔버리는 포션이었지만 2.9.0 업데이트로 소지하면서 다닐 수 있게 되었다.
힘 물약이라는 이름이지만 마신다고 딱히 공격력이 세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건 아니다.
마시면 이 무기가 사라지지만, 도사 추가 특성을 잘 살펴보면 0데미지로 던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마시는 순간 다른 무기를 얻으면 재사용도 가능하다는 뜻.
[1] 부표 포 수준 공속에 2뎀을 주는 개체가 2마리.[2] 매크로 사용 중 이동이 불가능하나 블루 스택의 해킹 단축키 요법('''다른 앱 플레이어에는 없음. 사용 시 조종키는 이동하지 않으나 플레이어는 이동되는 기적을 볼 수 있다.''')을 사용하면 이동도 된다.[3] 1초에 100타 추천 1000타부터는 인식이 되지않아 데미지가 오히려 더 줄어든다.[4] 광전사, 늑대, 드루이드, 도적, 암살자가 맨손 딜이 가장 강하다. 그 중 광전사 2스킬, 도적 1스킬, 암살자 3스킬은 맨손 데미지를 강화한다.[5] 공격력 감소의 영향을 받지 않음.[6] 한 판에 800 코인을 가진 상태로 클리어하는 것이 업적 조건이다.[A] 고기,당근,파나 모든 물고기[7] 모아오는 범위가 꽤나 넓고 3발 모두 끌어오기 때문에 웬만하면 잡몹들이 한 곳으로 모인다. 끌리는 범위 안에 있는 몹들은 모두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보스를 제외한 잡몹들은 일반 모드에서는 2단계 중반에서 3단계 초반까지는 메인으로도 쓸 수 있다.[8] 여담이지만 이 무기의 장착 위치는 입 부분이다. 때문에 거인증이나 소인증 상태에서 해당 무기를 들고 있을 경우 위치가 어긋난다(...).[9] 무기와 달리 벽 반사 기능은 없고, 입에서 쏜다. 데미지가 없던 버그가 있었다.[10] 하드 3-5보스는 HP가 1000이 넘기 때문.[11] 탄환 크기는 커지지만 데미지는 증가하지 않는다.[12]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무기가 사라진다![13] 원제가 Kejserens nye Klæder(황제의 새로운 옷)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