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대토

 

'''고사성어'''
'''守'''
'''株'''
'''待'''
'''兎'''
지킬 '''수'''
그루 '''주'''
기다릴 '''대'''
토끼 '''토'''
1. 개요
2. 유래
3. 여담


1. 개요


'나무 그루터기에 앉아서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 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요행으로 일이 성취되기를 바라거나 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 우리 속담의 '감나무 밑에서 감 떨어지기 기다린다'와 비슷하나, 수주대토는 단순히 요행수를 바라는 것 뿐 아니라 자신의 좁은 식견만 믿고 아둔하게 구는 경우를 뜻하는 때도 가끔 있다.
도박이나 복권 등으로 대박이 나자 생업을 포기하고 그쪽에만 몰빵하는 사람들의 심리도 이와 비슷할 것이다. 원전은 한비자. 한비자는 이 고사를 통해서 요순시대를 이상으로 보는 '왕도정치'는 낡은 복고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그런데 현대 중국어에서는 어째서인지 좀 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단순히 막연하게 우연을 기다리는 게 아니라, 나름 계획을 짜고 적들이 걸려들기를 대기한다는 의미.
하지만 어찌 보면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을 손으로 움켜쥐기 위해서 펄쩍펄쩍 뛰고 있는 모습이 연상되는 고사성어이기도 하다.

2. 유래


송나라에 한 농부가 있었다. 하루는 밭을 가는데 토끼 한 마리가 달려가더니 밭 가운데 있는 그루터기에 머리를 들이받고 목이 부러져 죽었다.
횡재한 농부는 그때부터 농사는 접어둔 채 하루종일 나무 밑둥만을 바라보며 토끼가 와서 부딪혀 죽기를 기다렸지만 농부는 그 후 한마리의 토끼도 얻지 못했다. 결국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 밭에 가 보았지만 이미 잡초가 우거져 있었으며 이렇게 일년 농사를 망친 농부는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3. 여담


수주대토나 송양지인 같은 고사는 사실 상나라(은나라)의 후예인 송나라에 대한 당대의 비하적 인식도 담겨 있다고 해석되고 있다. 비슷하게 망한 왕조인 하나라의 후예인 기나라기우 같은 우스꽝스러운 고사성어가 전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한 번의 큰 이익을 목격한 후 같은 일이 반복될 것을 기대하며 가진 재산을 몰아넣은 뒤 무작정 기다리는 행위를 "존버"라 일컫기도 하는데, 이 또한 수주대토. 비슷한 의미로 '인디언 기우제'도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인디언)들이 기우제를 지내면 꼭 비가 오는데, 이유는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기 때문이란 말에서 나온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