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

 



[image]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
''' ''Dorcus titanus typhon'' '''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왕사슴벌레속(''Dorcus'')

넓적사슴벌레(''D.titanus'')
'''아종'''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D. t. typhon'')
[image]
'''106.4mm'''가 공식 최대 크기로 기록 되어있는 술라웨시넓적사슴벌레.
이는 사슴벌레 중에서 굉장히 크게 자라는 타이타누스 종들 중에서도 매우 큰편이다.
1. 개요


1. 개요


인도네시아술라웨시(셀레베스) 섬 중남부와 그 부속섬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의 한 아종. 셀레베스왕넓적사슴벌레, 타이폰왕넓적사슴벌레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형태적으로는 큰턱의 큰이빨이 턱의 위쪽에 붙어있는 이른바 '상향내치'의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일본의 경우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에 밀려 전혀 인기를 얻지 못하지만, 1년내내 수입과 사육은 수천마리 이상 이루어지는 특이한 종.
예전에는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민다나오왕넓적사슴벌레 등과 함께 원명아종(''D.t.titanus'')으로 분류되었으나 2010년 일본 사슴벌레 학자인 후지타씨가 typhon이라는 아종으로 재분류하였다. 중요한 것은 술라웨시섬 북부 마나도(manado) 지역에 서식하는 하향내치 산지, 펠렝섬에 사는 하향내치 산지등 하향내치를 가진 개체들은 서식지가 겹침에도 불구하고 모두 원명아종으로 불린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는 술라웨시섬 전역이 서식지이지만 상향내치를 가진 산지만 typhon 아종으로 인정된다는 것. 따라서 후지타씨의 아종 기준에 논란이 있다.[1]
인기가 없는 만큼 채집자도 많이 없는 실정으로 자연에서의 생태는 크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보통 열대우림에 사는 넓적사슴벌레 종류들과 다를 바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육 기네스는 일본의 유명 브리더 Wood cutter(RTDT)씨의 106mm로 알려져 있다.
서식지는 술라웨시 섬 중남부이나 일본 전문 채집가 T-Top팀의 '비밀의 섬'산 개체들이 상당한 인기를 끌고있다. 자연계에서 100mm를 넘나드는 개체가 수두룩하게 발견됨으로써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의 잠재력을 일깨워주었고 이 덕택에 사육자가 상당히 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국곤충 사육이 불법이라 생체로 보기가 힘들다. 교잡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입되기 어려운 점도 있다.
[1] 한국산 넓적사슴벌레의 학명을 참넓적사슴벌레의 동물이명인 fasolt를 가져다 썼고, 오키나와섬을 포함한 일본 아종을 몇십개나 재분류했기 때문에 학자들 사이에서 인정하느나 마느냐의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