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image] '''인도네시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인도네시아 공화국'''
'''Republik Indonesia'''

[image]
'''국기'''
'''국장'''
'''Bhinneka Tunggal Ika'''
'''다양성 속의 통합'''
'''상징'''
'''국가'''
'''위대한 인도네시아'''
'''국화'''
'''보르네오 재스민, 난초, 라플레시아'''
'''역사'''
1945년 8월 17일 '''(네덜란드로부터 독립 선언)'''
1949년 12월 27일 '''(인도네시아 합중국 수립)'''
1950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공화국 수립)'''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한국어'''
인도네시아 공화국
인도네시아
'''영어'''
Republic of Indonesia
Indonesia
'''인도네시아어'''
Republik Indonesia
Indonesia
'''말레이어'''
Republik Indonesia
Indonesia
'''자위 문자'''
ريڤوبليق إندونيسيا
إندونيسيا
'''중국어(간체자)'''
印度尼西亚共和国
印度尼西亚
'''중국어(번체자)'''
印度尼西亞共和國
印度尼西亞
'''일본어'''
インドネシア共和国
インドネシア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Индонезия
Индонезия
'''프랑스어'''
République d'Indonésie
Indonésie
'''스페인어'''
República de Indonesia
Indonesia
'''베트남어'''
Cộng hòa Indonesia
Indonesia
'''필리핀어'''
Republika ng Indonesia
Indonesia
'''태국어'''
สาธารณรัฐอินโดนีเซีย
อินโดนีเซีย

'''지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수도/최대 도시'''
자카르타[112]
'''면적'''
1,904,569km²(15위)
'''내수면 비율'''
4.85%
'''접경국'''
[image] 동티모르, [image] 말레이시아, [image] 파푸아뉴기니[113]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단계'''
32개 주(provinsi)
1개 특별주(daerah istimewa)
1개 특별수도지역(daerah khusus ibukota)
'''2단계'''
416개 현(kabupaten)
98개 시(kota)
'''3단계'''
6543개 구(kecamatan/distrik)
'''4단계'''
75244개 리(desa)/동(kelurahan)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인구'''
'''총인구'''
276,361,788명(2021년) | '''세계 4위'''
'''민족 구성'''
자바인 40.22%
순다인 15.5%
기타 44.28%
(미낭카바우인, 마두라인, 브타위인, 부기스인, 발리인, 바탁인, 다약인 등 300여 종족)
'''인구밀도'''
123.76명/km²(84위)
'''공용 언어'''
인도네시아어
'''공용 문자'''
로마자
'''종교'''
'''국교'''
없음('''신앙 보유 의무''')
'''분포'''
이슬람 87.2%, 기독교 9.9%(개신교 7%, 가톨릭 2.9%), 힌두교 1.7%, 불교 0.7%, 유교 및 기타 0.2%
'''군대'''
인도네시아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정치 체제'''
단일국가, 대통령제, 다당제, 양원제, 공화제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64위'''(2020년)[결함있는민주주의]
'''국가원수'''
조코 위도도
'''대통령'''
'''정부 요인'''
'''부통령'''
마룹 아민(Ma'ruf Amin)
'''상원의장'''
라 냘라 맛탈릿티(La Nyalla Mattalitti)
'''하원의장'''
푸안 마하라니(Puan Maharani)
'''대법원장'''
무하맛 샤리풋딘(Muhammad Syarifuddin)
'''여당'''
인도네시아 민주항쟁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명목 GDP'''
'''전체 GDP'''
$1조 887억
(2020년) / 세계 15위
'''1인당 GDP'''
$4,038
(2020년) / 세계 108위
'''GDP(PPP)'''
'''전체 GDP'''
$3조 3,282억
(2020년) / 세계 7위
'''1인당 GDP'''
$12,345
(2020년) / 세계 95위
'''국부'''
$1조 8,230억 / 세계 23위(2019년)
'''수출입액'''
'''수출'''
1,794억 달러 (26위, 2014년 CIA 기준)
'''수입'''
1,786억 달러 (26위, 2014년 CIA 기준)
'''신용 등급'''
Moody's Baa2
S&P BBB
Fitch BBB
'''화폐'''
'''공식 화폐'''
루피아
'''ISO 4217'''
IDR

'''단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7, +8, +9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73년
북한: 1964년
'''국제연합 가입'''
1950년
'''무비자 입국'''
한국인 → 인도네시아: 30일[114]
인도네시아인 → 한국: 비자 필요
'''주한인도네시아대사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80

'''ccTLD'''
'''.id'''
'''국가 코드'''
'''360, ID, IDN'''
'''국제 전화 코드'''
'''+62'''
'''여행 경보'''
'''특별여행주의보'''
'''전 지역'''[코로나19]


'''위치'''
[image]
[image]


1. 개요
2. 국가 상징
2.1. 국호
2.2. 국기
2.3. 국장
2.4. 국가
4. 자연
4.1. 사라지는 만년빙
5. 지리
5.1. 자바의 '인구 폭발'
5.2. 기후
6. 행정 구역
6.1. 1급 행정 구역 목록
6.2. 사라진 특별 지역
8. 언어
9. 정치
13. 종교
13.3. 종교와 결혼
13.5. 미인정 소수 종교
14. 교육
14.1. 고등교육
15. 문화
17. 창작물에서
17.1. 인도네시아 출신의 캐릭터
18. 관련 문서
19.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인도네시아 공화국''', 약칭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의 사이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18,2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세계 최대 규모의 섬나라'''에 속한다.[1] 수많은 숫자의 섬으로 이루어져 나라 자체가 다도해이다.
북쪽으로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브루나이, 인도[2], 동쪽으로는 파푸아뉴기니, 남쪽으로는 동티모르, 호주와 매우 가까이 접한다.[3]
즉 호주와 싱가포르 사이의 나라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과의 거리도 꽤 멀어서 인천-자카르타 직항은 7시간 30분으로 아시아권에서 최장거리 중 하나이다.
한국에서는 인도네시아라 하면 그저 동남아시아 국가 중 하나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약 '''2억 6,700만 명'''으로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 4위'''이며, '''섬나라 중에서는 가장 인구가 많다'''[4]. 이 많은 인구의 약 87%가 무슬림인 덕분에 이슬람교가 시작된 아라비아 반도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세계에서 가장 무슬림이 많은 국가'''이기도 하다.[5]
국어는 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어이다.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적으나 대부분의 인니인들이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안다. 그 외에 수없이 많은 지방 언어들이 산재하고 있다.
땅 크기도 중국 - 인도 - 카자흐스탄 -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아시아에서 5번째로 크며,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넓은 나라다. 동남아시아에서 2번째로 넓은 미얀마와 3번째로 넓은 태국을 합친 것보다 더 넓다.
많은 인구와 넓은 영토, 지정학적 중요성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역내에서는 매우 강력한 국제정치적 권력(power)을 행사하고 있으며, 역내에서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지역에 개입하는 여러 강대국들도 대단히 신경쓰는 편이다.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는 세계의 여느 나라들이 그렇듯 별로 좋지 않은 편이다. 특히 같은 말레이계 인종이 주류인 말레이시아와 매우 사이가 안 좋은데, 건국 초기 영토 설정을 두고 전쟁까지 했다. 이후에도 영토 분쟁, 말레이시아에 가서 일하는 인도네시아 근로자들의 처우 문제, 말레이계 문화권의 정통성 논란 등을 이유로 툭하면 싸워댄다. 호주와의 관계도 동티모르 독립 문제, 해상난민을 둘러싼 갈등, 호주인 마약사범 사형 집행 등으로 갈등이 심각하다. 그나마 싱가포르와는 말레이시아 견제에 있어서 협력 등으로 관계가 좋은 편이다.
1957년부터 1998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독재정치가 이루어졌고 1998년에 민주화되었으며 정상적인 의미의 국가원수[6] 선거가 이루어진 것은 1999년의 일로 한국보다 12년 정도 늦었다. 이후에도 군부의 입김이 정치권에 잔존하는 것은 한국과 비슷했으나 최초의 직선제 정권교체는 2014년에나 있었다.[7] 투쟁민주당 출신의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이 그 주인공. 현행 헌법상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한 번의 재선이 가능하다.
한편 군부독재 시기, 특히 수하르토의 30년 철권통치 기간 동안 동티모르 강제 병합과 아체, 서파푸아 분리주의 운동 탄압 및 국내 공산주의자 색출 과정에서 최소 50만~100만 명이 학살당했으나 민주화 이후에도 별다른 조치는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과거사 청산이 미흡한 것과는 별개로 민주주의 자체는 개발도상국들 중에 그럭저럭(?) 굴러가는 편에 속한다. 2014년 최초의 정권교체 때도 한동안 긴장이 흘렀으나 결국 낙선한 후보와 세력들이 결과를 수용하고 평화적으로 선거가 끝이 났다. 공정한 선거를 통해 정권교체를 성공한다는 것만으로도 민주주의가 상당히 잘 정착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2014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 지수는 세계 49위였는데 이는 46위인 동티모르를 제외하면 동남아시아에서 제일 높은 것이다.
경제적으로 GDP 규모는 동남아시아에서 다른 나라들과 상당히 큰 격차로 역내 1위를 달리고 있으나 1인당 GDP는 4천 달러 정도로 상당히 낮은 편. 주변을 둘러보면 1인당 국민소득을 비교했을 때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브루나이, 호주보다는 낮고[8] 파푸아뉴기니, 베트남, 필리핀,미얀마, 라오스 등보다는 높으며 동티모르와는 비슷한 수준이다. 천연자원의 덕을 많이 봤다지만 수하르토 시기 인도네시아는 30년 간 연평균 7%의 매우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아직 별로 1인당 GDP가 별로 높지 않은 건 본격적 성장이 시작되기 전인 1960년대 중/후반에는 1인당 GDP가 파푸아뉴기니, 캄보디아, 파키스탄, 인도, 아프가니스탄 등보다도 낮아 역내 최저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이슬람이 전파되는 14~17세기 이전에는 인도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힌두교, 불교 문화의 뿌리가 깊으며,[9] 지금도 2% 남짓한 인구가 힌두교/불교 신자다. 이슬람 도래 이후에는 사회/정치/문화적으로 상당히 이슬람화되긴 하였으나 인구 과반이 거주하는 자바 지역에는 인도 문화와 융합되어 형성된 자바, 순다 토착 문화가 기층에서 정통 이슬람과 길항 관계를 형성하였고, 독립 이후 수하르토 시대에 이슬람 정치세력 및 이슬람 원리주의가 탄압 내지 견제를 받은 탓에 중동 국가들에 비하면 매우 세속적이다.
또 도서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네덜란드와 서구 국가들의 오랜 선교, 이주민인 화교들의 기독교 개종으로 기독교도 전 인구의 약 10%에 달한다. 특히 자바 섬 화교들의 경우 네덜란드에 동화되어 거진 루터교 신자이고 성명도 인도네시아식+영어 성명을 섞어 쓴다. 수마트라의 화교들은 아직까지 도교와 불교를 믿기도 하며 민남어로 된 성명을 사용한다.

2. 국가 상징



2.1. 국호


전통적으로 누산타라라고 불렸으며 인도네시아라는 국명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인 19세기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이 명칭은 1850년영국인 조지 얼과 제임스 로건이 동인도 제도를 지칭하기 위해 인도라는 뜻의 'Indo'와 섬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nesos'를 합성하여 창안한 것이다. 이후 독일의 인류학자 아돌프 바스티안이 이 용어를 마다가스카르타이완 섬 사이에 위치한 도서들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하면서 이 용어가 학술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20세기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체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인도네시아'가 점차 대중화되었으며, 1920년대와 1930년대의 토착민 민족주의자들에게 민족주의적 표현으로 전유되어 1928년 10월 28일 선언된 〈청년의 맹세〉에 쓰이기에 이르렀다. 이는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국명이 되었고 인도네시아인들의 정체성 및 민족 의식에 있어 중요한 명칭이 되었다.
인도네시아의 한자 준말은 '''인니(印尼)'''. 인도네시아를 한자로 표기한 인도니서아(印度尼西亞)의 준말이다.
한국인들 중 인도가 인도네시아의 준말인 줄 알거나 인도와 인도네시아를 헷갈리는 사람들[10]도 꽤 있는 편. 영어로는 인도가 '인디아(India)'라는 것을 생각하면 구분이 쉽다.
인도네시아 현지에서는 인도네시아를 짧게 '인도(Indo)'라 줄여 부르기도 하니 혼동하지 말 것.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인도네시아인들이 스스로를 영어로 인도네시아인이라 소개할 때 indonesian 대신 'ind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히 고유언어(bahasa)가 상당히 흡사한 데다가 외모도 비슷한 경우가 많은 말레이시아인들과 인도네시아인들이 서로 만나서 그냥 영어로 대화할 때 여러 명이면 서로 구별하기 힘드므로 '나는 indon', '나는 malay' 이런 식으로 서로 짧게 소개한다.

2.2. 국기




2.3. 국장


[image]
인도네시아의 국장은 일명 '가루다 판차실라[11]'라고 하며, 1950년 2월 11일에 제정되었다.
각각 17개의 날갯깃으로 구성된 양측 날개와 총 8개의 꼬리날갯깃을 가진 금색 가루다가 그려져 있는데 국장 가운데에는 인도네시아의 건국 5원칙인 판차실라를 상징하는 5개의 문양이 그려진 방패가 함께 그려져 있다. 8개의 꼬리날갯깃과 17개의 날갯깃은 인도네시아의 독립기념일인 8월 17일을 상징하며, 별은 신에 대한 믿음을 연결된 사슬은 인간의 이상을, 반얀나무는 민족단결을 물소는 인도네시아식 민주주의를 곡식은 사회정의를 상징한다고 한다.
또한 가루다가 발톱에 붙잡고 있는 두루마리에 쓰여진 인도네시아어는 "다양성 속의 통일"(Bhinneka Tunggal Ika)로 인도네시아의 국가 표어이다.

2.4. 국가



위대한 인도네시아 참조.

3. 역사




4. 자연


환태평양 조산대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12]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대규모의 자연재해에 빈번히 시달린다. 대표적으론 2004년 12월 26일에 강타하여 23만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쓰나미(지진해일). 그 외에도 화산 폭발, 지진, 태풍, 홍수 등 1년에 한번쯤 자연재해 관련으로 CNN부터 국내 9시 뉴스까지 세계 뉴스에 오른다. 자연재해로만 따지면 일본에 앞서면 앞섰지 절대 뒤지지 않는다. 게다가 인도네시아는 인프라가 일본에 비해 열악한 터라 한번 재해가 발생하면 피해가 어마어마하다. 집중호우로 인해 인도네시아 여러 지역에서 큰 홍수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때마다 현지 방송에서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온통 홍수 때문에 피해를 본 지역 이야기로 도배가 된다.
인도네시아는 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그 섬의 자연환경에 맞춰 진화한 동물들이 많다. 수마트라 섬에는 호랑이, 코끼리, 코뿔소, 오랑우탄이나 긴팔원숭이, 말레이맥, 승냥이, 사슴이 서식하며 보르네오 섬 남부에는 오랑우탄, 긴팔원숭이, 코끼리, 코뿔소, 들소가 서식한다. 자바 섬과 발리 섬에는 호랑이가 있었는데 멸종되고 자바 섬에는 표범과 승냥이, 들소, 코뿔소, 사슴, 공작, 긴팔원숭이가, 발리 섬에는 흰찌르레기와 문조가 서식하고 있다. 술라웨시 섬에는 아노아와 바비루사라는 원시적인 형태의 물소와 멧돼지의 일종이 서식하며, 뉴기니 섬 서부에는 화식조극락조, 앵무새, 캥거루, 가시두더지 등이 서식하고 있다.

4.1. 사라지는 만년빙


인도네시아 서뉴기니 지역의 마오케 산맥은 인도네시아의 최고봉인 푼착 자야(4,884m), 푼착 만달라(Puncak Mandala, 4,760m), 푼착 트리코라(Puncak Trikora, 4,750m), 응가 필림싯(Ngga Pilimsit, 4,717m), 푼착 야민(Puncak Yamin, 4,540m) 등이 늘어선 고산 지대로, 가장 높은 산악 지대에는 만년빙과 강설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로 인해 푼착 만달라, 푼착 트리코라, 응가 필림싯 등의 4,400m–4,760m 지역에서는 2000년대 초반까지 만년빙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1909년의 탐사 보고에 따르면 만년빙은 푼착 트리코라의 4,400m 지점까지 펼쳐져 있었다고 하지만, 점점 줄어들다 푼착 트리코라에서는 1939–1962년 사이에, 푼착 만달라에서는 1989–2003년 사이에 완전히 사라졌다. 푼착 야민 정상부에도 약간의 눈이 쌓이는 경우는 있지만 만년빙은 20세기에 이미 사라졌다.
현재 유일하게 만년빙이 있는 푼착 자야[13]에서도 빙하는 매우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미국 고기후학자 로니 톰슨(Lonnie Thompson, 1948–)이 이끄는 조사대의 2010년 조사 결과, 푼착 자야에서는 연간 7m의 속도로 만년빙이 사라지고 있으며, 2018년의 예측에 따르면 2020년대에는 푼착 자야에서 만년빙이 완전히 녹아 없어질 것이라고 한다.[14]

5. 지리



[image]
인도네시아의 인구밀도 지도. 출처는 인도네시아 통계청.
'''세계에서 가장 큰 섬나라'''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18,000개의 섬 중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하면 922개 섬에 사람이 살며, 이 중 가장 인구가 많은 자바 섬수마트라 섬에 인구의 80%가 산다. 따라서 동부는 국토 면적의 반 가까이를 차지하지만 인구 비중은 그야말로 공기.
수도는 자카르타(Jakarta). 국토 면적은 약 190만 4,000km²로 남한의 19배에 가깝고 세계에서 15번째로 넓다.
주요 섬으로는 자바 섬(Java), 수마트라(Sumatra), 술라웨시(Sulawesi), 칼리만탄(Kalimantan)과 뉴기니(New Guinea)가 있다.
다들 지진, 쓰나미,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해 관련 뉴스로 이름을 한 번쯤은 들어 봤을 것이다. 사실 인도네시아가 대한민국 국내 뉴스를 탈 만한 일은 거의 자연재해 발생 시뿐이라.
한 섬으로서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자바 섬(Java)은 크기는 남한보다 조금 크고 인도네시아 넓이의 20분의 1 정도만을 차지하는 그저 그런 섬이지만 인구가 1억 3,300만 명이다![15] 이 자바 섬 하나에 인도네시아 인구의 55%가량이 거주하고 있고 자카르타, 반둥, 수라바야 같은 대도시가 있으며 섬이 작아도 길이 600km의 긴 강인 솔로(Solo) 강이 있다. 더욱이 비슷한 인구밀도의 방글라데시중국의 양쯔강 하구와는 달리 이 지역은 수많은 화산이 존재하며 해발 3,676m짜리의 고봉도 있다! 한편 이 섬에서 쓰이는 자바어순다어는 인도네시아어를 제외하고는[16] 인도네시아에서 모어 화자가 가장 많은 2개 언어이다.
그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수마트라(Sumatra) 섬은 남한 넓이의 4.5배 크기의 큰 섬으로 인구도 5000만 명으로 보시다시피 자바와 수마트라 인구만 합치면 인도네시아 인구의 80%를 넘는다. 다만 자바 밖이 그렇듯 인구밀도는 아주 높지는 않아 수마트라에도 밀림이 있다.
칼리만탄(Kalimantan) 섬은 보르네오라고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보르네오 섬의 남부 인도네시아령을 "인도네시아령 칼리만탄, 그리고 그 북부의 말레이시아령은 "동부 말레이시아"라고 한다. 흔히 섬의 호칭을 말할 때는 보르네오, 그리고 인도네시아령에 한정하여 말할 때는 칼리만탄이라고 한다. 그 유명한 보르네오 가구의 상호가 이 섬의 호칭을 딴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열대 지방이라 나무가 잘 자라는 데다, 세계 제2위의 산림국이기도 하기 때문에 가구 제작 등을 위한 목재 등도 수출한다. 보르네오는 남한 넓이 7배가 넘는 큰 섬이지만 섬의 북쪽은 말레이시아브루나이가 차지하고 있다. 이 섬은 넓은 정글로 덮여 있어 인구가 적으며 말레이인 외에 중국인다약인도 거주하고 있다. 또 이 칼리만탄 섬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3개 나라로 나뉘어진 섬이나 대륙이다.
동쪽의 술라웨시(Sulawesi) 섬은 남한 1.7배 크기의 섬으로 인구는 1,500만 명 정도이며 이 섬 근처 부톤(Buton) 섬 일부 지역에서 찌아찌아어가 사용된다. 남부 소순다 열도에도 여러 섬이 있는데 경기도 반 정도 면적의 발리 섬이 한국에선 비교적 유명하다. 발리 섬은 힌두교를 믿는 지역이기도 하다. 소순다 열도 동쪽으로 가면 파푸아계 사람들도 많이 살아 피부색이 검어지며 롬복 섬 이동 지역은 기독교 세력이 강하다. 소순다 열도 동쪽의 유명한 섬이라면 코모도 국립공원이 있는 코모도 섬과 동쪽의 티모르(Timor) 섬이 있는데 동티모르가 이 섬의 동쪽을 차지하고 있다. 소순다 열도 북쪽에는 할마헤라, 부루, 모로타이, 암본 등 많은 섬이 있는 향신료의 산지로 매우 유명한 말루쿠 제도가 있는데 심각하게 낙후되어 있다. 2008년 기준 할마헤라(Halmahera) 섬이 속한 북말루쿠 주의 1인당 GDP는 444$, 암본이 있는 말루쿠 주는 524$로 인도네시아 평균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이런 동부 지역은 기독교와 이슬람이 반반 정도를 나타내 이슬람 일색의 서부와는 약간 다르다.
인도네시아 최동단엔 뉴기니 섬이라고 하는 매우 큰 섬이 있는데, 인도네시아에서는 이리안자야(Irian Jaya) 또는 서파푸아라고 한다. 남한 면적 8배 좀 안 되는 엄청나게 큰 섬으로 1,000여 개의 언어가 사용되며 지구상에서 거의 마지막으로 원시 부족이 남아 있어 인류학자들이 자주 가곤 하는 곳이다. 이 섬의 동반부가 파푸아뉴기니의 영토이기 때문에 실제로 인도네시아는 이 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 섬은 석유, 목재 등의 자원이 풍부하여 인도네시아에선 중요한 곳 중 하나인데, 독립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나 인도네시아 정부가 탄압하고 있다. 파푸아 섬은 기독교를 믿는 파푸아인이 다수여서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지역과는 차이가 있기도 하다. 그러나 뉴기니 섬의 인도네시아 부분의 인구는 약 290만 명 정도로 남한 3배나 되는 면적에 비해 인구가 적고 인구밀도는 자바 섬의 1/130밖에 안 된다. 그래도 오스트레일리아의 3배 가까이 되는 인구 밀도지만.
근대 국민국가가 형성된 지 얼마되지 않았고 중앙 정부의 행정력도 영 상태가 좋지 않다보니 예전부터 내려오는 작은 왕국들이 많이 있는 특이한 곳이기도 하다. 물론 인도네시아 정부 측에서는 이들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왕국을 인정하고 주민들의 뜻에 따라 자치에 맡기거나 명예직 형태로 남기는 편. 이런 왕국 중엔 '''솔로''' 왕국이란 곳도 있다. 반면 욕야카르타술탄 하믕쿠부워노 10세의 경우는 선거를 통해 주지사를 겸하고 있어서 정치적 권력이 실제로 있다. 더불어 원시적인 문명을 유지하며 자기들끼리 살아가는 부족들도 굉장히 많다. 그런 점에서는 인도와도 비슷하다.
또한 엄청나게 많은 섬이 있는 데다가 동서 아시아를 잇는 주요 항로가 있고, 대부분의 지하자원을 수로로 수송하는지라 2012년, 국제해사국 해적신고센터(IMB PRC, International Maritime Bureau Piracy Reporting Center)에서 인도네시아 해역을 '''소말리아 앞바다보다 더 위험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바다"'''로 지정했다. 뉴스링크
인도네시아가 자카르타에서 다른 곳으로 수도를 옮길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수도 이전 계획을 의결했다. 자바 섬 자체가 한국이나 일본 이상으로, 섬 크기에 비해 인구가 지나치게 집중된 데다 그중에서도 제일 밀집된 자카르타는 환경문제, 지반침하등의 여러 문제가 있어서 수도 이전을 오랫동안 논의해 왔는데 재선이 유력해진 대통령이 결심했다고 한다.[17] 인도네시아 언론은 이전 유력 후보지로 보르네오섬의 팔랑카라야 시, 그 다음으로 보르네오섬의 타나붐부와 프나잠 등이 유력 후보지로 꼽히고 있다. 일단 기획부 장관이 '''동쪽으로 가려고 한다'''고 했으므로 다른 섬으로 옮긴다면 인도네시아에서 인구가 2번째로 많은 수마트라 섬 쪽은 제외가 될 것이며, 현재 수도 자카르타가 있는 자바섬도 유력한 후보지에서는 대체로 제외된 상태이므로 보르네오 섬의 어딘가로 결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태다.
2019년 8월26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새 수도로 칼리만탄[18]섬 동부칼리만탄주(州)의 두 지역이 자카르타를 대신하는 새로운 수도의 부지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image]

5.1. 자바의 '인구 폭발'



자바섬은 19세기와 20세기에 겪은 소위 '인구 폭발', 즉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악명이 높은데, 1800년에 약 300만에서 500만 명 정도에 불과했던 인구가[19] 1900년에는 약 2850만, 2000년경에는 1억 3,000만 명으로 200년 만에 1억 명을 돌파, 적게는 25배에서 많게는 '''45배''' 가까이 증가하는 대기록을 세웠다는 것이다. 연평균으로 하면 2% 정도로 그렇게 높진 않으나, 이런 인구 증가세가 200년이나 계속되었다는 것이 놀라운 점이다.[20] 더군다나 이 인구 증가는 현재까지의 조사에 의하면 외부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은 자체적인 인구 증가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한다. 간단히 말해서 다른 섬 사람들이 자바섬으로 이주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인구 증가 때문인지 최후의 자바 호랑이는 굶어죽었다는 말이 있다.
단, 최근의 후속 연구에 따르면, 20세기 자바에서의 인구 폭증은 사실이지만, 19세기의 인구 폭증은 과장되었다는 주장도 제법 나오고 있다. 이상의 '인구 폭발' 주장은 1815년 자바의 총인구를 약 450만 명으로 추정한 래플스의 센서스에 기반한다. 이에 따르면 비교적 통계가 정확해지는 1900년의 약 2850만에 이르기까지 자바의 인구는 연간 2.2%의 비율로 증가한 셈이 되며, 이 증가율을 1815년부터 역산해서 1800년에 적용하면 300만에서 350만 정도의 인구가 있었다는 결론이 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래플스의 센서스를 참고하되, 다른 방식으로 1800년 전후 자바의 인구를 추정하여 이를 약 800만에서 1000만으로 보는 학자들이 생겨났다.[21] 만약 1800년 자바의 인구를 800만이나 1000만으로 가정하면, 오히려 1800년에서 1900년 사이 인구가 약 775만에서 3050만으로 변화한 잉글랜드보다 19세기 자바의 인구 증가율은 낮은 편이 된다.
현대적인 추정치는 대체로 1800년 자바의 인구를 600만에서 900만 사이로 추정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의 한 경제사 논문에서 다룬 바는 다음과 같다.[22] 제3차 자바 왕위 계승 전쟁이 1757년에 종결되기까지 자바에서는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 트루나자야 봉기, 반튼 술탄국의 내전, 운퉁 수라파티의 반란, 자바 왕위 계승 전쟁, 자바 전쟁 등 각지에서 격렬한 전쟁들이 벌어져, 민중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고 자바의 인구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약 550만 정도였던 1700년의 자바 인구는 전반적으로 18세기 전반에 감소세를 타고 1755년경(기얀티 조약) 약 450만으로 저점을 찍었고, 이후 자바에서 소규모 전쟁을 제외하면 오랫동안 평화가 유지되어 인구가 45년간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여 1800년에는 약 750만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5.2. 기후


엄청나게 넓은 나라지만 중앙에 적도를 끼고 동서로 긴 모양이라서 대부분 지역의 기후는 열대에 속한다.
다만 남북으로도 동서에 비해 짧을 뿐이지 2,000km에 이르며, 고산 지대가 있는 곳이 많고 해발 4,884m의 푼착 자야(Puncak Jaya) 산자락처럼 빙하가 있는 곳도 존재한다. 이런 빙하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고 있다. 물론 고지대의 경우 기후가 시원하다. 또 같은 열대라도 연중 강우량 분포는 지역마다 상당한 대비를 보여 자바섬 한 곳만 봐도 열대우림기후, 열대몬순기후, 열대 사바나기후가 모두 골고루 분포한다.
적도 바로 근처인 수도 자카르타의 경우 1년 내내 낮 기온 30℃, 밤 기온 23℃ 정도로 연교차가 적고 12월경에서 3월경까지 비가 집중되는 몬순 기후로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게 나뉘며 연 강우량은 1,800mm 수준이다.
오히려 자바보다 훨씬 넓은 수마트라는 거의 전역이 열대 우림 기후를 보인다. 수마트라 서부 해안선을 따라 길게 이어진 바리산 산맥의 고산 지대 일부에서는 서안 해양성 기후(Cfb)가 드물게 나타난다. 보르네오 지역은 기본적으로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이지만, 반자르마신 지역 등은 예외적으로 열대 사바나 기후를 띠며, 보르네오 섬 중북부 내륙의 고원 지대(인도네시아 영토는 일부이며 대부분 말레이시아 영토에 속함)는 온대 기후가 일부 나타나는 지역이다. 수마트라와 보르네오는 1년 내내 비가 주야장천 내리는 지역이 많아 드물지 않게 강수량이 2,000mm를 넘어 4,000mm 전후이거나 이를 상회하기도 한다. 반대로 소순다 열도는 기본적으로 열대 사바나 기후 지역이지만, 플로레스섬 서부는 예외적으로 열대 우림 기후를 보인다. 건조한 소순다 열도에서는 연간 강수량이 1,000mm 미만인 지역도 간혹 있는데, 숨바섬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인 와잉아푸(Kota Waingapu)는 연간 강수량이 810mm에 불과하여 동남아시아에서 매우 드문 스텝 기후(BSh) 지역으로 분류된다.[23]
술라웨시섬도 대부분은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이지만, 남부, 동남부, 동부 해안 지대에 열대 사바나 기후와 열대 몬순 기후가 일부 분포하며, 특히 남부의 몬순 및 사바나 기후대는 인구 밀집 지역이다. 술라웨시섬 중부의 고원 지대는 후술할 마오케 산맥과 더불어 인도네시아 전체에서도 드문 서안 해양성 기후(Cfb)가 넓게 나타나는 곳이다.[24] 서뉴기니 지역은 대체로 우림 기후 지역이지만 므라우케(Merauke) 등 남부 해안 지역에서는 사바나 기후가 나타난다. 뉴기니섬 중앙 고지대의 서뉴기니 부분인 마오케 산맥(Maoke Mountains, 'maoke'는 현지어로 ''이라는 뜻)의 넓은 고산 지대에서는 고도에 따라 기후의 변화가 극적으로 나타나며, 마오케 산맥 지역은 저고도에서는 열대 우림 기후, 중간 고도 지대에서는 서안 해양성 기후(Cfb), 가장 높은 고산 지대에서는 툰드라 기후(ET)를 띤다.
대부분의 도시가 해안, 분지, 평지에 위치하고 덥고 습하지만, 자바섬에서는 반둥, 말랑(Malang), 바투(Batu), 살라티가(Salatiga) 등 인구 10만 이상[25]의 고원 지대 도시도 많이 발달하였으며, 바투나 워노소보(Wonosobo) 등의 고산 도시는 서늘하여 일부 지역이 아열대 고산 기후(Cwb) 또는 서안 해양성 기후(Cfb)를 띠기도 한다. 자바섬 외에는 수마트라 서부의 부키팅기(Bukittinggi)나 북동부의 브라스타기(Berastagi), 술라웨시 북부의 토모혼(Tomohon) 등도 해발 고도 700m 이상의 고원 지대에 위치한 도시이다. 이런 고원 도시는 연교차가 적고 온화한 기온 덕분에 중산층 실버타운이 발달한 경우(반둥, 부키팅기 등)도 있다.

5.3. 시간대


국가가 넓은 관계로 3개의 시간대를 쓴다.
  • UTC+7: 수마트라와 자바 섬 전체, 칼리만탄 섬 서쪽 일부
  • UTC+8: 칼리만탄 섬 동쪽 일부, 소순다 열도 및 술라웨시 섬 전체
  • UTC+9: 뉴기니 섬 인도네시아 부분[26], 말루쿠 제도.
이 3개 시간대는 각각 서부 인도네시아 시간대[27], 중부 인도네시아 시간대[28], 동부 인도네시아 시간대[29]라고 한다.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은 한국과 시간대가 같으나, 인구로 치면 인도네시아 인구의 1% 조금 넘는 사람들만이 한국과 같은 시간대에 산다. 인도네시아인 대부분이 따르는 시간대는 UTC+7.
서머타임은 제안된 적도 없고 실시하지도 않는데, 인도네시아는 적도에 위치해서 1년 동안 일출과 일몰 시간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자카르타의 일간 일조 시간은 가장 짧을 때도 11시간 45분, 가장 길 때도 12시간 30분으로 별 차이 없고, 이마저도 인도네시아에서 비교적 고위도에 위치한 지역이라 이 정도로 벌어지는 것.
2012년 3월 12일 인도네시아 경제장관 하타 라자사는 온 나라에 하나의 시간대를 적용하면 거액의 돈을 절약할 수 있다고 했고 이 계획이 검토되기도 했으나, 아직까지 실행되지는 않고 있다.

6. 행정 구역


인도네시아는 총 34개의 1급 행정 구역으로 구성된다. 1급 행정 구역 가운데는 29개의 일반 주(provinsi)와 5개의 특별 지위 지역이 있다. 특별 지위 지역은 다음과 같다. 2010년대에 미낭카바우 지역(서수마트라)이나 발리 지역에도 특별 지역 지위를 부여해달라는 논의가 해당 지역 중심으로 있어 왔지만 중앙 정부가 별로 긍정적이지 않아 전망은 밝지 않다.
  • 자카르타 수도 특별 지역: 인도네시아의 수도 권역이다. 주(provinsi)와 동격이지만 명목상 주가 아니다. 파당, 사마린다, 자야푸라 등 넓은 시(kota)는 자카르타 전체보다도 넓지만, 전반적으로 2급 행정 구역 시의 권역을 넓게 설정하지 않는 인도네시아의 특성상 자카르타 수도 특별 지역보다 넓은 시는 많지 않다.
  • 욕야카르타 특별 지역: 주와 동격이지만 명목상 주가 아니다. 세습제 술탄이 지사로서 통치한다. 한국에서 관용적으로는 "욕야카르타 특별주"로 불리며 심지어 인도네시아인들도 '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공식적으로 2012년 욕야카르타 술탄이 명칭에서 "주"를 삭제하였다.[30] 전통 시대의 욕야카르타 술탄국(1755년 성립)을 그대로 계승한 곳이며, 사실상 인도네시아의 구성국이다. 인도네시아의 일반 주와 행정 구역 체계가 조금 다르다.
  • 아체주: 주이지만, 한때 분리주의 운동이 거셌던 곳으로 민주화 이후 자치권이 확대되어 2005년 이래 2020년 현재와 같은 폭넓은 자치를 누리는 지역이 되었다. 공식적으로 특별 지역에 해당하여 "아체 특별 자치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주 단위로 독자적인 법률 체계를 적용하는 곳으로, 민법과 형법 영역에서 이슬람 법 샤리아를 공식 시행하고 있다.
  • 파푸아주: 주이지만, 지금도 분리주의 운동이 있는 곳으로 2001년 이래 일반 주보다 조금 넓은 권한을 가진다. 파푸아주의 주지사는 법적으로 서뉴기니 지역의 파푸아인만이 맡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의 일반 주와 행정 구역 체계가 조금 다르다.
  • 서파푸아주: 2003년 파푸아주에서 분리되어 새로 생긴 주이다. 2008년 이래 파푸아주에 부여된 수준의 자치권이 서파푸아주에도 동등하게 적용되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의 일반 주와 행정 구역 체계가 조금 다르다.
2급 행정 구역은 동등한 시(kota)와 현(kabupaten)으로 나뉜다. 자카르타 특별 지역에 한해 시와 동격인 행정시(kota administrasi)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언론에서는 한국의 행정 구역 명칭에 대응시키기 위해 'kabupaten'을 '현'이 아닌 '군'으로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에, 자바 지역에서 오늘날의 '현(kabupaten)'과 동격이었던 'regentschap'와, 오늘날의 주와 동격이었던 '주(provincie)' 사이에 '군(residentie)'이라는 행정 구역이 하나 더 있어 당시 '현'은 2급이 아닌 3급 행정 구역이었으나 인도네시아 성립 이후 '군(residentie)'은 폐지되었다.
1급 및 2급 행정 구역 하위에 3급과 4급 행정 구역이 더 있으며, 표로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명칭
단위의 장
1급 행정 구역
주(provinsi)
특별 지역
(주)지사(gubernur)
2급 행정 구역
현(kabupaten)
현령(bupati)

시(kota)
시장(wali kota)

행정시(kota administrasi)[31]
시장(wali kota)
3급 행정 구역
면(kecamatan)
면장(camat)

궁성구(kemantren)[32]
궁성 행정관(mantri pamong praja)

행정구(kapanewon)[33]
행정관(panewu)

구(distrik)[34]
구장(kepala distrik)
4급 행정 구역
촌(desa)[35]
촌장(kepala desa, 선출직)

동(kelurahan)
동장(lurah, 임명직)

6.1. 1급 행정 구역 목록


인도네시아의 1급 행정 구역은 위치한 지역(주로 본섬)을 중심으로 이하와 같이 크게 7개 권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오른쪽에 부기한 것은 해당 주(특별 지역)의 주도(지사가 주재하는 행정 중심지인 2급 행정 구역)이다. 지역명 고유 명사의 표기는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다.

6.2. 사라진 특별 지역


이하는 인도네시아에서 과거에 일시적으로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사라진 특별 지역(daerah istimewa) 목록이다. 이들 지역은 일반 행정 구역보다 폭넓은 자치권이나 특수 권한을 법령으로 부여받았다. 대체로 오늘날의 욕야카르타 특별 지역처럼 네덜란드령 동인도 산하 반독립적 전통 국가들을 계승한 곳이었다.
  • 수라카르타 특별 지역: 수라카르타 지역에 1945년 8월 19일부터 1946년 중순까지 존재하였던 특별 지역이다. 당시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과정에서 독립파 인도네시아 공화국 정부가 특별 지역 지위를 부여하였다. 오늘날의 욕야카르타 특별 지역과 유사하게 전통 시대의 수라카르타 수난국(1745년 성립)을 계승하였지만, 수라카르타 수난국 군주(수수후난) 파쿠부워노 12세의 경험 부족으로 지역의 정치 위기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하여 특별 지역 권한이 회수되고 인도네시아 공화국 정부가 직할령으로 통치하게 되었다.
  • 서칼리만탄 특별 지역: 서칼리만탄 지역에 1946년부터 1950년까지 존속하였던 특별 지역이며, 당시 독립전쟁 과정에서 지역을 통제하던 네덜란드(정확히는 일시 복귀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정부가 특별 지역 지위를 부여하였다. 전통 시대 폰티아낙 술탄국, 삼바스 술탄국 지역을 비롯해 오늘날 서칼리만탄주 지역을 포괄하였으며, 서칼리만탄 특별 지역의 수장으로는 당시 폰티아낙 술탄이 임명되었다. 1950년 4월 5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가입함으로써 특별 지역 지위는 사라지고 칼리만탄주로 통합되었으며, 몇 년 후인 1956년부터 과거 서칼리만탄 특별 지역이던 곳은 인도네시아 공화국 서칼리만탄주가 되었다.
  • 칼리만탄계 특별 지역: 독립전쟁이 끝나고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과거 인도네시아 합중국의 자치 지역들을 흡수하여 서뉴기니를 제외한 지역을 포괄적으로 통제하게 되었다. 이 과정이 거의 완료된 1950년 8월 14일 오늘날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 전체를 포괄하는 거대한 주 칼리만탄주가 인도네시아 공화국 산하의 주로 창설되었는데,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대 보르네오주(보르네오 총독령)를 계승한 것이었다. 칼리만탄주 산하에는 전통 시대의 유산을 고려하여 이하에 열거하는 3개 특별 지역이 모두 1953년 창설되었다가 1959년 소멸하였다. 특이한 점으로, 이들 특별 지역은 오늘날에는 없는 현급 특별 지역, 즉 2급 행정 구역이었다.
    • 쿠타이 특별 지역: 오늘날 동칼리만탄 쿠타이현 지역, 즉 전통 시대의 쿠타이 술탄국을 계승했던 특별 지역이다. 쿠타이 술탄이 특별 지역의 수장으로 다스렸다. 1959년 법령으로 특별 지역 지위가 해소되고 동칼리만탄주 산하의 쿠타이현, 발릭파판시, 사마린다시가 되었다.
    • 브라우 특별 지역: 오늘날 동칼리만탄 브라우현 지역, 즉 전통 시대의 브라우 술탄국을 계승했던 특별 지역이다. 브라우 술탄이 특별 지역의 수장으로 다스렸다. 1959년 법령으로 특별 지역 지위가 해소되고 동칼리만탄주 산하의 브라우현이 되었다.
    • 불룽안 특별 지역: 오늘날 북칼리만탄 지역, 즉 전통 시대의 불룽안 술탄국을 계승했던 특별 지역이다. 불룽안 술탄이 특별 지역의 수장으로 다스렸다. 1959년 법령으로 특별 지역 지위가 해소되고 동칼리만탄주 산하의 불룽안현이 되었다. 나중인 1964년, 인도네시아 공화국 정부가 불룽안 술탄가와 알력을 빚어 술탄가의 재산을 공권력을 동원해 압류하다가 유혈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불룽안현은 나중인 2012년 동칼리만탄주에서 북칼리만탄주로 독립하였다.

7. 주민


인구가 '''2억 6,400만'''으로 '''세계 4위'''의 인구대국이다. 다만 인구 많은 나라치고 중국이나 인도, 미국보다 좀 국제적인 존재감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비슷한 사례라고 할 수 있는 브라질의 경우 1인당 GDP는 아직 개발도상국 수준이나 명목 GDP는 2014년 기준 1조 8천억 달러로 세계 9위에 이르며, 축구삼바, 아마존 강 등의 나라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통해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으나 인도네시아는 명목 GDP 기준으로도 한국의 절반 조금 넘는 9360억에 불과하다. 물론 이름이 인도와 비슷해서 묻힌 감이 있고 한국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동남아시아 문화에 비해 라틴아메리카 문화는 수박 겉핥기로나마 그럭저럭 알려져 있다 보니 남아메리카 대륙과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브라질이 더 익숙한 이유도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300여 개의 종족이 있지만 이 중 95%는 같은 문화권의 원주민[36]에 속한다. 나머지는 아랍인[37], 네덜란드인과의 혼혈인 인도(Indo)사람들[38], 진짜 인도계 인도네시아인들, 그리고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등이 있다. 이 중 중국계 인니인, 즉 화교들은 여러모로 이질적이라 구분이 쉽다.
인도네시아 파푸아 주에 거주하는 다니족의 일족인 다비마벨족은 지금도 돌도끼를 만들어 사용하는 석기 시대 문명의 원형을 가진 부족이다.
EBS 다큐, 인류 원형 탐험 - 석기 문명의 삶 파푸아 다비마벨족(Dabimabel)

인도네시아도 관광객들이 많이 오는 국가이다보니 인도네시아에서 한 부족이 지도에서 마을 위치와 관련 정보는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바두이족들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관광객수를 줄이는 제한을 합의했다.#

8. 언어


'''바하사 인도네시아[39]'''를 사용한다. 표기 문자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과거에는 이슬람의 영향으로 아랍 문자를 개조한 자위 문자 등이 쓰였다가 네덜란드인들이 보급한 라틴 문자가 쓰이게 되었다.
세계 최대의 도서국가답게 매우 복잡한 언어 생태계를 갖춘 것으로 유명하다. 인도네시아에 산재한 언어들의 수와 종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이 지역의 언어들은 대부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나[40]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데, 이런 언어가 대략 400개 이상 존재한다고 추정된다.[41]. 한편 2001년 SIL자료는 인도네시아의 지방 언어 수를 731개로 분석하고 있다.
같은 나라의 국민들이 말도 안 통해서야 나라가 제대로 굴러갈 리가 없으므로, 인도네시아는 건국 이전부터 언어의 통합을 위해 노력해왔다. 1908년 자바 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인들을 대상으로 단체 부디우토모(Budi Utomo)가 결성된 이후 민족주의 성향의 사회, 정치 단체가 각지에서 생겨나기 시작하자, 인도네시아 전역을 아우를 수 있는 언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처음에 민족주의 단체들은 결성된 지방을 중심으로 지방 언어를 활용했으나, 점차 지방 언어의 한계가 드러나자 1926년 용자바(Jong Java)라는 단체는 믈라유어(말레이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했다. 믈라유어가 선택된 이유는 7세기부터 이 지역의 교통어(lingua franca)로서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교역어의 특성상 배우기가 쉬웠으며, 특정 지역의 이익을 대표하지 않아 지역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자 여러 청년단체가 믈라유어를 쓰기 시작했고, 당시 발간되던 비앙랄라(Bianglala), 빈탕 티무르(Bintang Timoer), 카움 무다(Kaum Moeda), 느라차(Neratja) 등의 신문이 믈라유어를 더욱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1928년 10월 28일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인도네시아 청년회의에서 결실을 맺어, 청년의 맹세(Sumpah Pemuda)를 선언함으로써 공식적으로 북부 수마트라 리아우 지역에서 사용되던 믈라유어를 바하사 인도네시아(Bahasa Indonesia)[42]라 칭하고 국어로 채택하는 계기가 되었다.
헌법에서부터 인도네시아어의 지위를 못 박고 있는데, 헌법 “제15장 국기(國旗), 언어(言語), 국장(國章)과 국가(國歌)"에 관한 규정 제36절에는 “국가어(國家語)는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라고 규정되어 있다. 국어라는 명칭 대신에 국가어(Bahasa Negara)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 특이하다. 이러한 용어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국가통합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720여 종의 지방 언어와 천 개 이상의 종족들로 구성된 인도네시아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감안하면 국가통합을 위한 국가어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국가어의 법률적 기능과 지위를 헌법에 명시해 놓은 것은 다종족⋅다언어⋅다문화의 복잡성을 반영한 것이다.
헌법을 바탕으로 2009년 7월 9일에 제정된 법률 제24호에는 국가어이며 동시에 공식어인 인도네시아어의 지위, 기능 그리고 그 사용에 관한 내용이 제25절부터 제45절에 걸쳐 명시되어 있다. 법률에 따르면 바하사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어)는 민족어, 국어, 이종족간 통용어이며, 동시에 교육의 매개어, 문화발전을 위한 언어, 상거래 문서 장석을 위한 공식어이며, 또한 학문, 과학 기술, 예술 그리고 대중매체에서의 공식어로서의 기능을 지닌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렇듯 인도네시아어의 경제/사회적 지위는 확고한 것으로 보이나, 사실 1990년도 인구조사에서 나타난 통계 수치를 보면 아직도 총인구 1억 7천 900만 중에서 13%인 2천 400만 명 정도만이 일상생활에서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즉 국가의 공식 언어보다 지방 언어들을 모어로 쓰는 인구가 훨씬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도네시아어의 중요성을 간과하면 안 되는데, 30년간 일관성 있게 추진된 언어 통합 정책 덕분에 모어로 쓰는 인구가 적은 것과는 별개로 기초교육을 이수한 대부분의 인도네시아인들이 인도네시아어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 다음은 인도네시아 국민들의 인도네시아어 사용현황이다. 단위는 천 명.
구분
1980년
1990년

인구수
%
인구수
%
A
17.505
11%
24,042
15%
B
71.758
48%
107,006
67%
C
57,512
39%
27,154
17%
합계
146,776
100%
158,262
100%
A는 인도네시아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인구, B는 일상어로 사용하지 않지만 구사할 수 있는 인구, C는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집단이다. 전체 인구와 언어 사용 인구수가 약간 차이가 나는 것은 언어 사용 조사는 5세 이상 국민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
재미있는 것은 인도네시아의 무학자(無學者) 비중과 C 집단의 비중은 거의 똑같다. 10세 이상 인도네시아 국민들 중 무학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6% 정도다. 대부분의 인도네시아인들이 교육을 통해 인도네시아어를 습득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정책의 부작용으로 자바어 같은 비중이 큰 지방 언어 외에 소수 인구가 사용하는 지방 언어들은 문자를 포함해서 사멸될 위기에 처한다고. 한국 언론들의 설레발과 국수주의적 태도로 빈축을 샀던 그 악명 높은 찌아찌아어 떡밥도 바로 이런 배경이 존재한다.
더 자세히 예시를 살펴보면 남부 술라웨시는 46,717.48㎢의 면적에 8,034,776명(2010년 인구조사)이 거주하는 동부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지역으로, 이곳의 수도인 마카사르 시는 동부 인도네시아의 경제, 문화, 그리고 교통의 중심지다. 마카사르 시의 총 인구는 1,272,349명으로 부기스(Bugis)족, 토라자(Toraja)족, 만다르(Mandar)족 등 다양한 민족이 주로 거주하는 대표적인 다민족 도시다. 이 도시 주류민족의 언어인 마카사르어는 부기스어와 함께 남부 술라웨시를 대표하는 지방 언어다. 화자 수는 대략 2백만 명 정도이며, 다섯 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져 있다.
남부 술라웨시에서는 대체로 시골 지역에서는 인도네시아어와 마카사르어의 역할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공식적 상황에서는 인도네시아어를, 사적인 상황에서는 마카사르어를 쓰는 것이다. 이는 도시보다 외지 사람이 적고 경제적으로 뒤처져 있기 때문이다. 반면 도시에서는 지방 언어와 인도네시아어 간의 경쟁관계가 나타나는데, 이는 모어가 다른 타민족이 많이 있고 인도네시아어의 경제적 중요성을 깨달은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서 장려하는 영향이 크다. 그러나 도시와 지방을 막론하고 갈수록 지방 언어보다 인도네시아어가 더 우월한 언어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가 교육의 산물이자 경제생활의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마카사르시의 하사누딘 대학교 인문학과에는 마카사르어와 부기스어를 가르치는 지방어과(JurusanSastraDaerah)가 개설되어 있다. 하지만 지방어과의 학생수는 2009/2010년 기준 55명에 불과한데, 이는 742명의 영어는 물론이고 158명의 인도네시아어, 94명의 프랑스어에도 훨씬 뒤처지는 것이다. 결국 2008년부터는 지방 언어 교사 학사프로그램이라는 특수학과가 개설되기까지 했는데, 이 프로그램의 졸업생은 자신의 고향에 돌아가 지방 언어 교사로 종사하게 된다. 이런 프로그램의 존재만으로도 남부 술라웨시의 지방 언어들이 멸절 위기에 봉착해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현지 일간지의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어의 확대와 영어에 밀려 정부가 희귀 지방 언어를 보존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2099년에는 지방 언어의 숫자가 10%밖에 남지 않았다.[43]
인도네시아의 주요 모어와 사용자 수. 단위는 마찬가지로 천 명.


1980년
1990년
1
인도네시아어
17,505
11%
24,042
15%
2
자바어
59,357
40%
60,267
38%
3
순다어
22,110
15%
24,155
15%
4
마두라어
6,914
4.7%
6,792
4.2%
5
미낭어
3,545
2.4%
3,552
2.2%
6
부기스어
3,322
2.2%
3,228
2.0%
7
바탁어
3,107
2.1%
3,120
1.9%
8
반자르어
1,661
1.3%
2,755
1.7%
9
발리어
2,481
1.69%
2,589
1.6%
10
기타 언어
26,771
18%
27,782
17%

합계
146,776
100%
158,254
100%
한편 수하르토의 강력한 반화교/동화 정책에 힘입어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은 말레이시아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과 달리 중국어를 전혀 못 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그러나 수마트라섬이나 칼리만탄섬에 거주하는 화교들은 민남어 계통의 중국어 방언으로 일상에서 서로 소통한다.
식민지 시절 언어인 네덜란드어는 한때 상류층의 언어로 취급받기도 했으나 지금은 인기가 없다. 한국의 노인들이 일본어를 아는 것처럼 식민지 시절을 겪은 노인들이 알고 있거나 인도네시아사를 배우는 역사학도들이 사료 해석을 위해 배우는 정도다. 제1외국어는 물론 두말할 필요도 없이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도 고등학교 때부터 경우에 따라 가르치고 있다. 특히 영어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파푸아뉴기니, 호주 등 영어권 둘러싸인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특성 때문에 중요시 여겨지는 언어이며 대도시 지역에서는 영어가 대체로 통하는편이며 TV프로그램등에서도 영어가 꽤 나오는편이다. 2000년대 이후부터 일본어의 인기가 굉장히 높아졌는데, 인도네시아 교육문화부 자료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고등학생 800만 명 중 일본어를 학습하는 비율은 10%에 이르며 학습자 수로는 한국을 넘어 중국 다음으로 일본어를 많이 배우는 국가가 되었다.
인구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는 데다가 아랍권과 이런저런 교류가 활발하기 때문에 아랍어아랍 문자[44]를 많은 학교에서 교육한다. 그러나 기독교 및 불교 계열 사립학교에서는 아랍어 및 아랍 문자를 교육하지 않는다.
2018년 6월 24일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6월 29일부터 비자를 받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어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는 외국인 근로자 고용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9. 정치


인도네시아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32점
2012년, 세계118위
민주주의지수
6.48점
2019년, 세계64위
미국처럼 러닝메이트방식의 정·부통령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정·부통령 선거는 직선제이고 임기 5년,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대선 후보 난립을 막기 위해 하원 총선에서 25%의 득표율을 얻거나 20%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만이 대선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2000년대에 단일 정당이 이 조건을 만족한 경우가 없다. 그래서 정당간 연합을 결성하여 대선 후보를 결정한다.

국회는 국민협의회(Majelis Permusyawaratan Rakyat, MPR)이라 불리며 양원제이다. 상원(Dewan Perwakilan Daerah (DPD), 지역대표회의)와 하원(Dewan Perwakilan Rakyak (DPR), 국민대표회의)으로 나뉜다. 임기는 양원 모두 5년이다.
하원(DPR)은 총원 575명으로 조직되며 34개 주, 80개 선거구가 있다. 각 선거구는 최소 3인 최대 10명을 뽑는 중대선거구인데 개방형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제도를 채택한다.
상원(DPD)은 총원 136명이고 34개 주로부터 각 4명씩 선출한다. 선거방식은 단기 비이양식이다.
공무원 봉급이 높지 않고 제도적 안전 장치가 미비하여 부정부패가 만연해 있다. 군부의 영향력이 없지는 않지만[45] 그나마 필리핀과 함께 동남아에서는 민주주의가 그래도(?) 기본은 굴러가는 수준이며, 현재는 조코 위도도와 민주항쟁당이 전 민주당 당수이자 군부 세력이었던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전 대통령에게 정권을 위임받음으로써 정권 교체를 이룩하여 최초로 선거를 통해 국민들이 지지한 문민 정부를 수립했다.
2019년 선거는 대통령선거, 총선거, 지방선거가 일제히 치러졌다. 대선과 총선, 지선이 하루에 치러지는 것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처음이다. 그 때문에 순직자가 발생자수만 600명이 넘는다.#
게다가 유권자만 해도 1억 9200만 명에 이른다.

9.1. 분리주의


인도네시아는 커다란 국토, 여러 섬으로 인한 지리조건, 수많은 민족들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네덜란드에 의하여 최초로 통합되었다는 역사적 요인으로 민족갈등과 분리주의 운동이 매우 심한 편에 속한다. 심지어 지역별로 자치권이 강해 정치 제도가 본토와 다른 곳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아체 주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달리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 사법부에 의해 법을 집행하고 있으며, 욕야카르타 특별주는 선거를 통해 주지사를 뽑지 않고 세습을 통해 선출된 왕이 주지사 역할을 한다. 동티모르 같은 곳은 아예 이미 별개의 나라로 독립해버렸다.
동티모르의 분리 독립 문제는 잘 알려진 이슈이기도 하다. 동티모르는 원래 포르투갈 식민지였다가 카네이션 혁명으로 독재정부가 붕괴한 뒤 해외 식민지를 모두 포기했으나 독립 승인 도장을 찍기도 전해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에 군대를 보내서는 합병하고 인도네시아의 일개 주(州)로 격하해 버렸다. 이후 20여 년간 독립운동이 산발적으로 계속되었고, 수하르토가 퇴임하여 인도네시아의 권위주의 통치가 소멸함에 따라 독립운동이 커졌다. 결국 2001년 UN의 관할을 받아 동티모르는 독립을 얻었다.
한편 이전에도 말루쿠 제도, 수마트라의 북쪽 끝의 지역인 아체, 뉴기니 섬의 서쪽 반인 이리안 자야(서파푸아) 등지에서도 분리주의 운동이 일어나고 있어 인도네시아 정부를 긴장하게 하고 있다. 이 가운데 말루쿠 제도 주민은 상당수가 기독교도였던 터라 동티모르와 비슷하다. 1950년대에 독립하고자 하다가 인도네시아 정부의 가혹한 탄압을 받아 4만 명이 넘는 말루쿠 기독교인들이 네덜란드로 이민을 가야 했다. 1970년대에는 인도네시아 측의 군사적 지원을 요구하며 말루쿠인들이 네덜란드인을 인질로 잡고 인질극을 벌이다가 소탕된 적도 있을 정도이다.[46]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는 더이상 독립은 허용할 수 없다며 말루쿠, 아체와 이리안자야의 독립에 강경 반대하며 국제적 논란이 빚어질 정도로 가혹하게 탄압하고 있다. 결국 아체는 2005년 외교, 국방을 제외한 자치 정부 수립을 조건으로 인도네시아에 항복해버렸고 말루쿠는 가혹한 탄압으로 인해 현재 기독교를 포기하고 이슬람으로 개종한 무슬림들의 수가 많아졌다. 현재 이리안자야만이 외롭게 독립 투쟁을 벌이고 있다.

10. 군사




11. 경제



화폐단위는 루피아로 통화기호는 Rp이며, ISO 4217코드는 IDR이다.

12. 관광




13. 종교


[image]
인도네시아는 2억 3,000여만 명의 인구의 87%가 무슬림으로 그중 절대다수가 수니파이다. 동시에 오랜 유럽의 통치로 무려 2500만여 명[47]에 달하는 기독교 인구도 있으며 발리 섬에는 힌두교도 잔존하고 있다.
땅덩어리가 넓고 섬이 많은 만큼 지역마다 주가 되는 종교도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역별로 종교적인 편차가 클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의 거의 모든 가족은 종교를 집안 전통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매우 종교적인 국가로 분류되며, 실제로 종교는 인도네시아인의 인생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헌법상 종교 선택의 자유를 보장한다. 다만 종교를 선택하는 자유가 있는 것이지, '''종교 유무의 자유가 있는 게 아니다'''. 즉 인도네시아에서 공식적으로 무종교인일 수는 없는 것이다. 공식 종교는 이슬람, 불교, 힌두교, 개신교, 가톨릭(천주교), 유교, 그리고 토속신앙[48]이 인정되며, 신분증에 종교를 기재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인도네시아의 무슬림 수가 굉장히 많다고는 하지만, 그 일부는 종교를 선택해야 하니까 마지 못해 제일 흔한 이슬람을 고르기도 한다고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슬람주의 성향의 무슬림의 수 자체는 굉장히 많은 편이다. 이러한 정책은 수카르노 시절 중국의 지원을 받은 극좌 성향의 장교들이 일으킨 쿠데타를 진압하고 수카르노까지 이들의 배후라는 누명을 씌워 몰아낸 뒤 2대 대통령이 된 수하르토가 군대 내 공산주의자를 색출해내는 과정에서 평범한 무신론자까지 공산주의자와 동등하게 취급해 온갖 불이익을 주는 병맛같은 종교정책을 냈는데, 이것이 민주화 이후에도 시정되지 않아 지금에 이른 것이다.
5가지 건국 이념(Pancasila) 중 하나가 '''유일신에 대한 믿음'''이다. 인도네시아 불교 신자 수가 200만 명에 약간 못 미치는데 인도네시아 인구가 2억 5천만 명을 넘기므로 극소수이고, 어차피 네덜란드인이나 화교 등 기독교인 외래민족이나 가톨릭으로 개종한 동티모르, 암본 등 소수민족을 포섭하려는 거였다. 동티모르가 독립한 현재는 암본섬이 가톨릭 지역으로 남아 있는데 포르투갈가톨릭 전파를 적극적으로 했기 때문이다. 다만 보통 다신교로 인식되는 힌두교는 각종 신들이 유일신 '아친탸(Acintya)'의 화신이라고 주장하고, 불교는 태초에 우주를 창조했다는 본초불을 유일신으로 내세우고, 유교공자가 유일신 '천(天)'의 계시를 받은 사도라고 주장하며(...) 로컬라이징해서 규칙을 우회했다.#
최대 주류 종교인 이슬람교 명절뿐만 아니라 힌두교신년인 타이 푸샴, 부처님오신날, 크리스마스(Hari Raya Natal), 부활절[49], 예수 승천일[50] 등이 법정공휴일로 인도네시아의 부처님 오신 날은 한국에 비해 1주일 가량 늦다.

13.1. 이슬람교


무슬림의 수가 압도적이라는 이유로 세계 최대의 이슬람 국가라고 흔히 불리지만 사실 국교가 이슬람인 것은 아니다. 그저 이슬람이 주류일 뿐. 다만 인도네시아가 넓다 보니 아체처럼 상당히 보수적인 지역도 존재하며 이 지역에서는 소위 쿠란 벨트 같은 분위기가 난다. 수마트라나 자바에서는 서부로 갈수록 보수적이고 동부로 가면 진보적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인데 인도네시아라고 해도 산업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서 이촌향도가 진행된 동네도 있기 때문에 꼭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수마트라의 경우 최남단 람풍(Lampung) 지역은 역사적인 자바–순다 식민 지역으로, 자바–순다계 세력이 오래 지배하였고 자바–순다인 이주의 역사도 길어 주 이름이 유래한 람풍인[51]보다도 자바–순다인이 훨씬 많다[52]. 사실상 자바 문화권으로 봐도 될 정도다. 이 때문에 예외적으로 종교적 관습 등이 기타 수마트라 지역보다 자바에 가깝다.[53]
이슬람이 주류인 국가라고 해도 걸프 연안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이나 신정 공화국인 이란, 탈레반 잔재가 남은 아프가니스탄처럼 니캅이나 차도르 같은 걸 쓰고 돌아다니는 여성은 찾기 어렵다. 히잡이 대부분이며, 가끔 니캅이나 차도르를 착용하는 여성들이 있지만 굉장히 극소수이다.[54] 예를 들어서 인도네시아 내 보수적인 무슬림 여자들은 히잡 등을 착용해 몸을 가려야 하지만 인도네시아 내 화교나 외국인의 경우 길거리에서 민소매에 핫팬츠 입고 하이힐 신고 맨살 맨다리를 내놓고 다녀도 모스크에 들어가거나 할 때 말고는 별로 터치가 없다. 하지만 수마트라섬 북부의 아체라는 특별 자치주는 특별하게도 복장의 자유가 제한되는데 여자들이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거나 어느 정도 노출이 있는 옷을 입으면 종교경찰에게 제재를 받거나 끌려간다. 원래 아체는 인도네시아에서 유일하게 이슬람법인 샤리아가 '''엄격하게 적용된다.''' 그 이유인즉슨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때문에 아주 큰 피해를 봤기 때문에 이슬람에 대한 믿음이 강해져서 안 그래도 계속 독립 운동이 일어났던 곳인데 샤리아를 공식 발효시키기 이르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아체는 2001년만 해도 독립투쟁을 벌이던 곳으로 2005년 공식적으로 독립을 포기한 대신 자치주가 되어 샤리아가 적용되는 곳이 되었다. 아체 내전은 나름대로 잔혹한 전쟁이라 이 때 인도네시아가 뒤지게 욕먹었기도 했다.
자카르타같은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히잡을 착용한 여성들이 상당히 많이 눈에 띈다. 시골로 가면 갈수록 10명 중 7명 꼴로 히잡을 착용한 여성들을 만날 수 있는데 히잡을 착용한 여성들에게 그 의미를 물어보면 100퍼센트가 신앙심이 깊고 신실한 여성만이 히잡을 쓸 수 있다고 대답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확실한 듯. 젊을 때는 쓰지 않다가 결혼 후에 쓰는 경우가 많다. 이는 남편이 쓰기 원하면 써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안 써도 된다고 하면 안 써도 된다. 그래서인지 아이들이나 젊은 여성들이 입는 옷은 레깅스미니스커트도 심심치않게 보이는 편이지만 중년 여성들이 입는 옷은 팔과 다리를 전부 가리는 형태의 옷들이 많다. 또한, 히잡의 경우 아체 등의 일부 지방을 제외하면 착용이 자유로운 편이고 패션으로써 히잡을 착용하거나 히잡 디자이너도 있을 정도이다.#1#2
손바닥만한 동네에서도 신발, 식료품과 함께 히잡만 취급하는 히잡 전문점이 늘어서있는 것을 심심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는 이슬람이 주류인데도 주말은 토요일일요일이다. 대신 금요일에는 점심시간을 늘려 무슬림들의 예배권을 보장하고 있다.
무슬림의 수가 압도적이라곤 하지만 이슬람이 전 국민적으로 보급된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이 확고한 우세를 점한 시기는 17세기 이후이며 그 전에는 불교나 힌두교가 우세했고, 본문의 국장도 불교/힌두교 전설에 나오는 새 가루다 문양이다. 3대 불교 성지 중 하나인 보로부두르 사원도 인도네시아에 있다. 스리위자야 왕국은 불교 국가였으나 스리위자야 이후에 건국된 마자빠힛트 왕국에서는 불교와 힌두교가 융합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힌두교가 우세를 점했다.
하지만 결국 17세기 이후부터 이슬람이 대세가 되면서 불교는 수마트라섬 동부의 일부 해안 지역, 힌두교는 발리섬과 칼리만탄 내륙 지역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힌두교도와 불교도 모두 합쳐 전 국민의 2%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음주 등이 만연하고 무슬림들 중 예배법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드물다. 보통 아랍권에서는 쿠란 전체를 외운 사람들이 예배를 집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도네시아에서는 '''예배를 집전하는 이맘들 역시 가장 기초적인 예배문 이상을 외우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산간지방에 가면 이슬람과 접목된 주술 행위가 만연하다. 아이라 라피두스가 지은 '이슬람의 세계사'란 책을 보면 마을마다 있는 무당들이 주술에 쿠란을 사용하면서 이슬람을 보급한 이야기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지금도 빠왕[55]이나 두꾼[56]들이 많이 활약한다. 이 점은 튀르크 문화권과 비슷해서 튀르크권 중앙아시아에서도 이슬람과 무속을 결합한 경우가 많으며 알레비파라는 터키 특유의 종파는 대놓고 불교와 조로아스터교, 샤머니즘에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다.[57]
그러나 철저히 샤리아 원칙에 따라 사는 무슬림들도 절대 적지 않다. 이슬람 교리에 따라 철저하게 사는 무슬림은 국민의 20~30% 정도로 추산되며 상당수다. 그리고 이슬람의 사회적 영향력도 다른 세속 국가에 비해 매우 막대하다. 라마단 기간에 대도시에서는 문을 열지만, 특정 지역에서는 낮시간에 영업이 금지되는 경우도 있다.# 거기에다 최근 이뤄진 조사에서 인도네시아 인구의 9.2%는 인도네시아는 칼리프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비율이 나왔다.#
또 인도네시아의 이슬람이 이렇게 온건해진 데에는 1980년대1990년대 독재정부의 극단주의 탄압도 한몫을 했다. 수카르노와 수하르토 정부는 이슬람 극단주의 정당들을 강제로 통폐합시켜 버리거나 국정에 대한 발언권을 박탈하는 데 힘썼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극단주의자들은 폭력시위를 벌이거나 타종교 시설들, 보로부두르 사원 등지에 폭탄세례와 방화를 가했지만 정부는 전혀 굴하지 않고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견제와 탄압을 계속해서 극단주의자들을 진압했다.
발리 같은 관광지만 다니는 서구인들 입장에서는 간과하기 쉬운 사실이지만 여기도 이슬람 극단주의 문제에서 마냥 자유롭지는 않다. 특히 이슬람 보수주의적인 정당들이 상당한 세가 있는데다가 이슬람 극단주의적 파벌도 꽤 있기에 타종교와의 공존을 파괴하려 들고 이슬람 근본주의를 퍼뜨리며 테러를 벌이는터라 국가에 적지 않은 위협이 되고 있다.
비교적 세속적인 사람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20세기 후반부터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술라웨시나 아체 주, 몰루카 제도에서 기승을 떨치고 있다.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에 대한 트라우마랍시고 아주 기독교인들을 매국노처럼 보던 시절도 있었고,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에 초반 몰루카 제도나 술라웨시 등지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 의해 제노사이드 수준의 기독교인 박해와 추방이 있었다. 수천 명의 기독교인들이 강제 개종, 통혼, 혼혈당하고 강제 이슬람식 할례까지 치렀다. 술라웨시 섬의 포소 시에선 기독교도에 대한 살인과 교회 방화가 격화되면서 수 천명이 사망하고 수 만명이 피난민이 되었다. 2001년 12월에 인도네시아 정부의 중재로 무슬림과 기독교도의 평화합의인 <마리노 합의>가 체결되어 종교간 투쟁은 점차 진정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인도네시아 내부에서는 종교간의 긴장상태와 조직적 공격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인도네시아에서 복음주의 교단의 주도로 빠르게 증가하는 기독교 인구 성장에 적대와 혐오감을 드러내며 최근까지도 계속 신자들을 공격하고 종교갈등을 일으킨다. 가끔 자카르타에서 원정 나간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소수민족 기독교인을 학살하거나 교회성당에 방화나 폭탄 테러를 해대고 심지어는 미성년자 기독교인을 참수해서 참수된 목을 교회에 던져놓고 가는 만행까지 있었다.
거기에다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군과 국립경찰에서 수십년동안 여성이 군/경찰에 지원해 입대하는 경우, 처녀성 검사(!)까지 실시하고 있어서 현지 여성들과 국제인권단체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이렇게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타 종교에 대해서 대대적으로 억압하며 갈등을 조장하고, 인도네시아가 지방자치권이 강한데다가 국회의석에서 보수파 정당이 상당수 의석을 차지하는 것도 있기에, 제마 이슬라미야, 라스카드 지하드 등 이슬람 극단 테러단체들의 폭탄테러나 폭동사건이 발생하기까지 하는 등 비교적 세속화된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종교 문제가 상당한 고민거리로 남아있다. 또한 21세기 들어 동남아시아까지 휩쓰는 와하비즘이슬람 극단주의의 영향에서 인도네시아도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엔 이런 경향이 더 심해져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는데, 연평균 2~300건씩 일어나는 기독교 신자들에 대한 폭력사건도 계속해서 증가추세에 있고, 2016년엔 전국에 금주법을 대대적으로 추진하여, 대표적인 휴양지인 발리 등의 힌두교도들이 반발하기도 했다.
여기서도 미국이나 한국처럼 문화통제 여부를 가지고 이슬람 보수파들과 진보파들이 갈등을 벌이는 것은 마찬가지라서 심의기준이 오락가락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독실한 무슬림들이 동성애를 다루는 만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했을 때 심의 가지고 논란이 일었다거나 하는 일이 대표적인 예이다.
종교 간의 문제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강경 무슬림들의 행보는 비판을 많이 받는데, 서구 국가 대사관에 극단주의 무슬림들이 돌을 던져대는가 하면, 과거 독재정부 시절 대규모로 가해졌던 공산당에 대한 탄압과 학살에 대한 진상규명조차도 하지 말라고 시위를 벌여대기도 한다. 사실 과거 독재정부도 무슬림 강경파들을 탄압했던 건 마찬가지였는데 수하르토 독재 세력의 후신 정당들과 손을 잡는다는 점 때문에 이들 단체 가운데 상당수가 보수파 정당들의 어용단체가 아닌가 하는 의견도 많다. 1966년 학살 사건과 1998년 화교 학살 사건을 보면 그리 틀린 말까지는 아닌 듯하다. 참고로 1998년 화교 학살 때는 뉴기니인이나 몰루카인, 롬복인 등 기독교를 믿는 소수민족들과 자바인 기독교인들까지 싸잡아 같이 죽여서 암본 섬에서 이슬람 극단주의자가 군경과 전투를 벌이기까지 했다.
최근 들어 국가가 지정하지 않은 종교나 신흥종교들을 박해하는 경우도 있으며, 시아파 무슬림이나 힌두교, 불교, 무신론자에 대한 차별과 박해도 심한 편이다. 2012년에 인도네시아의 한 남성이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시물을 페이스북에 올렸다는 이유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는 일도 있었으며#, 화교 기독교인 주지사가 쿠란을 인용했다는 이유로 신성모독이라며 법정에 가게 되자 화합과 관용을 촉구하는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게다가 인도네시아에서 화교주지사가 신성모독을 했다는 이유로 법정에 가게 되면서 성탄절축제를 자유롭게 못하고 심지어는 크리스마스행사까지 취소하라는 압력도 하고 있다.# 이슬람 극단주의가 인도네시아에서 퍼지자 결국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슬람 율법해석을 사전에 규제하는 강경책을 내놓았다.#
여하튼 우파 극단주의자들이 시위를 자주 벌어나가자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학을 떼며 질색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 중 대다수가 2017년 지방선거 분위기를 타고 부패한 기득권층이 의도적으로 이슬람 과격세력과 연대해서 자신들의 부정부패같은 문제점들을 물타기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때문이다. 그래서 시위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가 날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주류 이슬람 단체에서도 냉대하고 있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고.[58] 하지만 그와 별개로 아혹 주지사에 대한 마타도어가 상당한 힘을 발휘했기 때문에 이슬람 강경세력을 정략적으로 이용한 업은 보수 세력들이 자카르타 주지사 선거에 당선되었다.
거기에다 최근인 2017년 인도네시아에서는 학생층들 사이에서도 이슬람 근본주의가 확산되고 있어 고교생과 대학생 5명중 1명이 성전에는 참전할 수 있고, 비무슬림은 지도자를 인정할 수 없다는 비율이 3분의 1에 육박하자 인도네시아 정부도 묵과할수 없어 종교 교육은 모니터링하고 민족주의 교육을 강화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고, 극단주의 이슬람 단체를 해산시키는 등 극단주의에 대해서 강경대응중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혼외 성관계를 금지하고 이를 어길 시에는 징역 5년형에 처하는 형법개정안을 추진하려고 하자 성소수자들의 인권문제도 대두되고 있고, 동시에 인권단체들의 반발도 커지면서 인권수준이 퇴보될 위기에 놓여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내 교도소는 제소자들의 수가 많고 거기에다 극단주의의 양성소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2018년 3월 13일에는 정부 전복을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선전선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해온 자생 이슬람 지하드 단체 소속 14명이 체포되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는 전직 대통령의 딸이 패션 관련 행사에서 시를 낭송하던 도중에 신성모독을 했다는 어처구니없는 이유로 강경 이슬람 단체들이 체포를 요구하는 등 신성모독법을 내세워 반대파들을 마녀사냥하는 행태가 끊이지 않고 있다.# 거기에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의회를 공격(!)하려고 했던 극단주의 3명이 체포되는 일도 있었다.# 인도네시아는 2014년에 할랄 인증 의무화 시기를 통과시켰지만, 식품업계 등이 반발하자 품목별로 길게는 7년까지 유예하는 초안이 마련되었다.# 2019년 4월 8일에 인도네시아 대법원이 모스크의 기도 스피커가 크다는 이유로 징역 18개월을 받은 불교도 여성의 상고를 기각한 일이 발생되었다.#
그래도 인도네시아에서는 이슬람 정당들이 민생 대책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다 보니 국민들의 실망을 사게 되었고 종교 문제보다는 민생을 우선하는 유권자들의 이탈로 원내 입성에는 실패하는 등 급격한 세력 위축을 겪고 있다.#
시아파아흐마디야를 따르는 사람들에 대한 박해는 오늘날까지도 상당한 수준이다. 특히 아흐마디야 무슬림들은 자타공인 무슬림임에도 불구하고 2010년대에 지방 정부가 전자 신분증 발급 조건으로 아흐마디야 신앙의 포기를 종용하는 사건이 터져 외신에도 알려졌다.[59] 특히 자바 서부나 수마트라에서 아흐마디야에 대한 사회적 박해가 심각하여, 2010년대에 이 지역에서 아흐마디야 모스크에 대한 공격이나 아흐마디야 신봉자에 대한 폭행 사건이 여러 건 보고되어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12세 초등학생을 4번째 아내로 맞은 40세 남성이 아동 착취 혐의로 붙잡혔다.#
쿠란 찢은 것을 신성모독죄로 징역 3년형 선고했다.#
2017년 초 급진 이슬람주의의 단체인 이슬람수호전선의 지도자 리직 시합이 한 여성과 음란물 공유(!)를 한 혐의와 사우디에서 돌아온 뒤에 체포됐다.#
아체 주 빼고 인도네시아 일부 학교에서 여학생에게 히잡 착용을 강요해 논란이 되자 정부가 교내 종교 복장 강요를 공식 금지했다.#
인도네시아의 한 결혼정보업체가 조혼을 조장(!)하자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13.2. 기독교


인도네시아의 기독교포르투갈네덜란드의 영향으로 포교되어 주로 화교들이나 소수민족들이 믿는다. 그래서 인도네시아에서는 '기독교 = 지역 섬들의 원주민&화교들의 종교'로 인식된다.
그 외 암본 섬이나 롬복 섬 등의 소수민족들도 기독교로 개종해 무슬림이 거의 전부인 자바인과는 대립한다. 이들의 인구도 무시 못 할 수준으로, 인구가 넘사벽인 두 섬 자바수마트라가 이슬람이 강세라 그렇지 동부는 기독교세가 크다. 이슬람교가 수마트라우타라 주에서는 55%, 말루쿠 주에서는 50%에 불과하다. 그리고 파푸아 주, 파푸아바랏 주, 술라웨시우타라 주, 누사틍가라티무르 주[60]에서는 기독교 신자 수가 이슬람 신자 수를 압도한다. 말루쿠주와 말루쿠우타라주는 인구 다수는 무슬림이지만 상당수의 개신교도가 존재하며[61], 포르투갈어권인 티모르가톨릭세가 크며 이리안자야는 양쪽이 골고루 분포한다.
그리고 소수민족과 외지를 벗어나서 최근에는 자바 등지에서도 기독교인들이 증가하는 중이다.
정교회는 극소수로, 자바, 발리, 수마트라, 술라웨시, 뉴기니 등의 제도에 13개의 성당을 갖추고 신자 수는 2천 명 이상 정도 된다. 개신교의 경우, 대다수는 네덜란드의 영향을 받아 개혁교회를 믿으며 한국과 달리 일찍이 시편(mazmur)을 찬송가로 부르는 관례가 정착해 있었다. 반면 수마트라에 사는 바탁족들은 루터교 비율이 높은 편인데 이는 루트비히 노멘젠이라는 독일인 선교사의 영향이 컸다. 또한 인도네시아 루터교 최대 교파인 HKBP는 '''아시아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큰 루터교단'''이기도 하다.[62] 그리고 포르투갈이 지배한 티모르 섬은 가톨릭이 대부분이다.
기독교인들은 대부분 화교나 몰루카, 티모르 같은 소수민족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소수민족 탄압 문제와 맞물리기도 한다. 아체 주와 같이 보수성향이 강한 지역은 타종교 시설 설립 허가에 심각한 제한을 두기도 하며[63] 사회적으로도 비무슬림에 대한 차별이 상당하다.[64]

13.3. 종교와 결혼


인도네시아 법률상 종교가 다른 두 사람은 결혼하기 어렵다[65]. 신랑 또는 신부 둘 중 한 명이 개종을 하면 결혼이 가능하다.
사실 "법적으로" 개종이 필요하다고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문제의 근원은 "결혼은 결혼 당사자들이 속한 종교의 규율에 따라서 이루어져야만 합법적"(제2조 제1항)이라고 규정한 1974년 결혼법이다. 이에 따라 합법적 결혼을 위해서는 종교적 인정[66]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이한 종교를 가진 배우자를 인정해달라고 성직자한테 호소해 승인을 얻어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절차적 간소화를 위해 그냥 한쪽이 개종해버리는 것이다.
'안디 보니(Andy Vony) 대 인도네시아 공화국' 재판(1989)이라는 사례가 있는데, 무슬림 안디 보니(여)는 개신교도 남편과 결혼식을 올린 후 무슬림 간 결혼 시처럼 종교 사무 관청(KUA, Kantor Urusan Agama)에 등록하러 갔다 거절당했고, 일반민사관청 KCS(Kantor Catatan Sipil)에도 등록하러 갔지만 종교적 승인이 없어 거절당했다. 결국 안디 보니는 자카르타 지방법원에 이상의 두 관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다가 결혼법 해석에 따라 패소했다. 이에 굴하지 않고 다시 인도네시아 대법원에 지방법원을 상대로 소송을 걸었는데, 마침내 여기서 승소하여 결혼을 인정받고 KCS가 사무를 처리하도록 하였다[67]. 이 판례가 있으므로 현재도 성직자들이 승인을 계속 거부할 시 소송을 걸면 이종교 간 결혼이 가능하기는 하다.[68]
숨바섬의 납치혼이 문제가 되면서 동누사텡가라 주 주정부와 숨바 섬 지방정부는 여성과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카윈 탕캅이란 납치결혼을 폐지하는 협약에 서명했다.#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조혼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내에선 조혼 문제가 심각하고 롬복섬에서 15세 소년과 12세 소녀가 결혼한 일이 발생했다.#

13.4. 무종교


무신론 이념을 공적인 자리에서 지지 선언 및 전파할 경우 그 강도에 따라 불법으로 처벌받을 수 있으므로, 인도네시아의 무신론자 및 불가지론자 커뮤니티는 주로 온라인으로만 활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대개 오프라인에서는 성향을 숨기는 편이나, 아주 친해서 믿을 만한 친구 또는 외국인과의 대화에서는 스스럼없이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무종교인은 편의상 속해 있는 민족 커뮤니티[69]의 주류 종교를 공식적으로는 택하고 있다.
종종 인도네시아에서 무신론자와 혼동되는 공산주의자 및 사회주의자의 경우, 공식적으로 종교를 포기한다고 선언하지 않는 경우라면, 압두라만 와힛 대통령이 1999년에 공산주의 이념 관련 논의의 자유화를 제안한 이후 현대 인도네시아에서 해당 사상의 지지 및 공적 표명 자체는 불법이 아니다.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도 인도네시아적 사회주의로서 '마르하엔주의'(Marhaenisme)를 제창하기도 했고, 학자나 사회운동가가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에 대한 연구서를 내거나[70] 지지 선언을 하는 것은 자유이다. 단, 인도네시아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반공 정서가 오늘날까지도 강한 편이므로 학계나 이념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밖에서 공산주의자임을 공표하면 경원시당할 수 있다.
한편, 무신론에 대한 논의 자체가 인도네시아에서 완전히 금기시되는 것은 아니다. 무신론에 대한 해외 학술서나 대중서 번역 출판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다. 대표적인 대중적 신무신론자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2014년 번역)[71], 샘 해리스의 《종교의 종말》(2007년 번역) 등을 비롯해 다양한 무신론, 불가지론 관련 서적들은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되어 있고, 절판 상태만 아니라면 자유롭게 구해 읽을 수 있으며 무신론 관련 외국어 서적을 구해 읽는 것 역시 자유이다. 실제로 인도네시아의 무신론자 커뮤니티는 이러한 서적 및 웹에 퍼져 있는 각종 정보로부터 자료를 수집 및 생산하며 활동하고 있다.

13.5. 미인정 소수 종교


무종교가 아니고 어떤 신앙을 가지고 있는 경우, 무신론처럼 신앙의 공적 표명 및 신앙 활동이 불법은 아니다. 그러나 동시에 해당 신앙의 지위가 공식 종교처럼 공적으로 보장되고 보호받는 것은 아닌 경우가 많다.
인도네시아에는 지역마다 공식 주류 종교 외 민족별 전통 종교가 있는 경우가 많다. 잘 알려진 것들만 예를 들어도 숨바섬의 마라푸(Marapu), 카로바탁인의 프므나(Pemena), 바탁인의 말림(Malim), 토라자인의 알룩 토 돌로(Aluk To Dolo, '선조의 길'), 다약인의 카하링안(Kaharingan)이 있으며, 서뉴기니의 토착 애니미즘, 토테미즘 계열 전통 종교는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이러한 전통 종교의 신봉자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공식 종교 중 하나를 명목상 택해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알룩 토 돌로의 경우 공식적으로 힌두교의 새로운 분파로 인정받는 데 성공하였는데, 이처럼 역으로 자신의 종교가 기존 공식 종교의 분파임을 적극적으로 피력하여 기존 정체성을 숨기지 않고 주류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카하링안도 국가적으로는 민속 힌두교의 일종으로 취급하여 카하링안을 따르는 다약인이 힌두교도로 집계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슬람교에서 유래한 사삭인의 전통 종교 웨투 틀루(Wetu Telu) 신봉자의 경우 이슬람교도로 자처하는 데 문제가 없지만, 시아파처럼 이단 취급을 두려워하여 타지에서는 정체성을 숨기는 경우도 있다.
2017년부터 인도네시아 토착민의 전통 종교가 법적으로 인정됨에 따라 신분증에 기재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더 이상 주류 종교 중 하나로 정체성을 위장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이는 법적으로 그렇다는 것뿐이며, 여전히 전통 종교 신봉자가 주류 종교 신봉자로 위장하는 경우도 많다.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외래 종교의 신봉자들도 있다. 이들 역시 불법은 아니지만, 경우마다 그 대우가 천차만별이다.
시크교의 경우, 신봉자들은 인도네시아에서는 큰 저항 없이 공식적으로는 힌두교의 분파로 주민 등록하고 있다. 미인정 외래 종교 중에서는 처우가 가장 좋은 편에 속한다. 많지는 않지만 여러 시크교도가 인도네시아 사회에서 별다른 차별 없이 인정받고 활동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시크교도 협회도 공식 활동 및 종교 간 교류 활동을 활발히 수행 중이다. 1962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인도네시아 육상 선수 구르남 싱(Gurnam Singh)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자유롭게 시크교 신앙을 드러냈다.
유대교의 경우, 주로 신봉자들은 기독교도로 주민 등록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슬람교도로 등록하는 경우도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유대교는 상당한 수준으로 사회적으로 혐오받는 종교이며[72][73], 유대교도는 주류 사회에서 신앙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유대교도 공동체는 비공식 시나고그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공개적으로 시나고그를 운영하는 경우도 조금 있었지만, 자바섬의 몇 안 되는 공식 시나고그였던 수라바야 회당은 2009년에 가자 전쟁으로 인한 이슬람 강경파의 시위로 폐쇄되었다. 2020년 현재 인도네시아의 유일한 공식 시나고그는 기독교 주류 지역인 술라웨시우타라주 톤다노(Tondano)에 있다. 인도네시아 유대인들의 조상은 크게 인도네시아와 중동 국가의 교류 과정에서 건너온 미즈라힘이나 페르시아계 유대인,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교류 과정에서 건너온 인도계 유대인,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절에 이주해온 네덜란드계 유대인으로 나누어지지만 이들의 후손들 모두 토착 인도네시아인들과의 잦은 혼혈로 인해 전형적인 인도네시아인의 외모를 가지고 있다.
바하이교의 경우, 신봉자들은 이슬람교도로 주민 등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대의 바하이교도는 시아파 등 비주류 이슬람교도처럼 사회적 차별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인도네시아에서 바하이교의 역사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되며 1950년대에 이란인 바하이교도 의사들이 인도네시아로 이주하여 바하이교를 전파하며 약간 교세가 늘었고, 1957년에 동남아시아 바하이교도 협회는 자카르타에 본부를 두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바하이교도는 수카르노의 정치 노선과 거리를 두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수카르노 정부와 점차 불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수카르노 정부는 1962년, "인도네시아의 사회주의와 사회 도덕에 반한다"는 명분으로 대통령령(제264호/1962)으로 인도네시아에서 바하이교의 활동을 금지하는 초강수를 두었다. 이후 2000년에 압두라만 와힛 대통령이 다시 합법화할 때까지 바하이교는 인도네시아에서 공식적으로 신앙 활동이 불법인 종교였다.

14. 교육


독립 직후 20% 미만의 낮은 문해율과 20%를 간신히 넘기는 초등학교 취학률을 기록했고, 중, 고등교육 인프라는 소수의 특권층만이 이용가능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수카르노, 수하르토 정부 시절에는 교육 환경 확충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였다. 필사적인 노력으로 80-90년대에는 보통교육 체제가 완비되었으며, 1990년 전후 문해율도 80%를 넘겼다.[74]

1945년
1968년
1980년
1990년
2010년
문해율(%)
~20
50~60
67
82
94
초등학교 수
15,000
63,100
95,000
136,600
165,491
초등학생 수(천 명)
2,500
12,300
21,166
26,528
30,340
중학교 수
322
5,891
12,000
18,000
43,888
중학생 수(천 명)
90
1,150
2,983
5,853
11,770
고등학교(인문/실업) 수
92
731
6,000
11,000
25,332
고등학생 수(천 명)
19
482
1,574
4,031
8,180
대학교(전문대 포함) 수
5
39
1,000
1,200
3,585
대학생 수(천 명)
~2
156
425
1,621
4,890
총인구(백만 명)
72.76
113.51
150.96
179.38
231.25
2017년 기준 국가 교육 예산은 312억 달러로 GDP의 3.1%를 차지한다. OECD 평균 GDP 대비 정부부담 공교육비 비율이 2016년 기준 4.5%이므로 아직 개선의 여지가 넓으며[75], 실제로 초중등교육 단계에서 지역과 교사의 편차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고등교육과 연구개발인데, 인도네시아는 GDP 대비 연구개발지출(R&D expenditure) 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 규모의 국가들 중에서는 최저 수준[76]으로, 역내 신흥공업국태국(2016년 0.78%), 말레이시아[77], 베트남[78]에 모두 뒤처지고 그나마 필리핀[79]보다는 다소 나은 수준으로 보인다[80]. 조코 위도도 정부에서 연구개발 지원을 늘리고 있어서 그나마 이 정도로 상승한 것이고,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0.1%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실제 국제 학계에서 인도네시아가 내는 실적[81] 역시 국가 규모에 비해 상당히 저조하다. 동남아시아 역내에서도 선진국 싱가포르와는 비교하기조차 미안하고, 전반적으로 같은 개발도상국인 말레이시아태국보다도 아직 처지는 편에 속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학계의 저발전 원인을 식민지 시대부터 내려온 국가의 학술 지원 독점과 이 동전의 양면인 민간 지원 전통의 부재, 이에 따른 학자의 관료화[82], 불충분한 국가의 기초연구 지원 등에서 찾고 있다.[83]
더운 기후로 인해 인도네시아 학교들은 수업을 오전 7시(!!!)에 시작한다.

14.1. 고등교육


근대적 고등교육 체제의 역사는 19세기에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현지 자바인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된 직업학교인 자바 의학교로 거슬러올라간다. 1853년에 설립된[84] 자바 의학교는 교육연한이 2년에 불과하고 졸업해도 의료보조 역할밖에 할 수 없었지만[85], 차츰 연한이 길어져 1875년부터는 7년 교육과정이 갖추어지고 졸업생에게 의무박사(M.D.) 학위를 수여하게 되었다. 1902년에는 동인도의 수도인 바타비아에 정식으로 의대 캠퍼스가 신축되었으며, 1913년에 동인도의과대학(School tot Opleiding van Indische Artsen, STOVIA)으로 개칭하였다. 이것이 인도네시아 대학교(Universitas Indonesia)의 전신이다.
그 외에 네덜란드 식민 시대에 반둥 공과대학교(ITB, 1920년 개교), 보고르 농과대학교(IPB, 전신인 보고르 농학교는 1876년 개교), 아이를랑가 대학교(전신인 수라바야 소재의 네덜란드령 동인도의과대학은 1913년 개교)가 개교하였다.
그러나 네덜란드 식민 정부는 스페인필리핀에서, 영국인도 제국[86]영국령 말라야에서, 프랑스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87], 일본타이완, 조선, 만주에서, 소련중앙아시아에서 그랬던 것과 달리, 끝끝내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종합대학을 창설하지 않았다[88]. 인도네시아 최초의 종합대학은 신생 인도네시아 정부가 독립파의 임시 수도였던 욕야카르타에 세운 가자마다 대학교(1949년 개교)였으며, 많은 기존 전문 고등교육기관들도 뒤이어 종합대학화되었다.
식민지 시대에 종합대학에서 근대적 학술 연구를 지망하는 동인도인은 부득이 네덜란드[89] 유학을 가야 했다. 이러한 문호는 20세기 초 윤리정책 시기에야 본격적으로 개방되었으나, 유학에 드는 경비를 충당할 수 있는 동인도인은 극소수의 상류층뿐이었다. 최초로 의무박사가 아닌 일반 박사학위(Ph.D.)를 취득한 동인도인은 후세인 자야디닝랏(Hoessein Djajadiningrat, 1886–1960)으로, 반튼주 스랑(Serang)현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1913년 레이던 대학교에서 《반튼사》(Sajarah Banten)의 연구로 동인도 어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 이후 고등교육기관은 양적으로 빠르게 팽창하였으며, 수하르토 시대에는 각 주마다 하나 이상의 국공립대학(전문대 포함)을 설치하는 정책이 의욕적으로 수행되었고 사립대 설립 규제도 대폭 완화되었다. 그러나 이 정책은 내실이 갖추어지지 않은 대학의 난립을 빚어, 인도네시아에서는 2019년 현재 대학 간에 교육과 연구의 질에서 편차가 매우 큰 편이다. 양적으로 보면 소수의 국공립대와 다수의 사립대가 공존하고 있는데, 대다수의 사립대는 부실하기로 악명이 높으나 일부 국립대는 동남아시아에서는 선도적인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90]. 2014년 기준 대학(종합대/전문대) 진학률은 31.1%이다.

15. 문화


외부 문화 유입이 빠르다. 주요 민영방송사에서 황금시간대에 외국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경우가 많으니 당연할 수밖에 없다.[91] 대중문화에서 한국일본의 영향을 매우 지대하게 받는 편이고, 홍콩이나 대만중화권의 영향도 적지 않게 받으며 2000년대 초부터 한국 온라인 게임과 드라마, K-POP등이 제법 활발하게 수출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아이돌 가수들만 봐도 한국 아이돌의 영향을 많이 받은 편이다. 중화권에서는 주로 화교 등을 통해서 홍콩/대만 드라마나 대만 게임이 수용되고 있으며[92] 일본의 경우에는 만화와 애니메이션, J-POP, 게임이 꽤나 광범위하게 펴져있으며 영향도 많이 받고 있는 중이다.
그 이외에 인기가 있는 콘텐츠로는 인도 드라마터키 드라마가 있는데 인도네시아라는 나라 자체가 종교는 다르기는 해도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인도로부터 문화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코드가 맞는데다가 터키 드라마도 이슬람교라는 공통적인 종교기반으로 문화적인 코드가 맞아 인기가 있어서 각 민영 방송사에서 인도 드라마와 터키 드라마의 수입량을 점점 늘리고 있는 중이다. 다만 한국이나 중국 등지에서 방영되는 드라마 같은 경우에는 불법 DVD로 감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내 업체들이 생각보다 큰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방송시장이 한국보다는 작은 편이지만 인구수에 힘입어 상당히 큰 편이다보니 드라마를 자급할 정도의 수준은 되기는 하다. 외국으로 수출은 별로 못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TV애니메이션은 인구수가 되는 편인데도 하청 위주에다가 정부 차원의 지원 미비, 방송사 매출액의 미달, 애니메이션 제작비용 감당 문제 등등의 문제로 인해 대다수의 애니메이션을 미국이나 일본에서 수입하며, 영화 애니메이션도 사정은 비슷하다. 여타 국가들이 그렇기는 하지만 정치적으로는 친미반공 노선을 오랜 기간 걸은 바 있다보니 미국 문화의 영향도 많이 받아서 영화관에 가면 상영되고 있는 영화 가운데 상당수가 미국 영화이며 실제 통계를 보았을때 미국 영화를 보려고 영화관으로 가는 사람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측면이 없지는 않아서 분명히 외국 문화에 분명 개방적이기는 하지만 한편으로 한국에 비해서 심의기준이 상당히 까다롭게 적용되기 때문에[93] 대략 한국의 1990년대와 비슷한 풍경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게임이나 영화, 드라마가 심의문제로 발매가 지연된다거나 하는 일들이 종종 벌어지고 있기 불법 복제 DVD로 영화나 게임을 하는 경우가 많기도 하며 심의문제 가지고 보수파와 진보파들이 충돌을 벌이는 경우도 왕왕있다. 예를 들어서 한류에 대해서 보수파들이 청소년들의 퇴폐향략적인 문화를 부추기고 종교에 불성실하게 만든다고 까서 심의에 압력을 가하게 만들어서 한류팬들이 반발을 한다거나[94] 하는 식이 대표적이다. 게다가 블랙핑크의 의상과 안무가 선정적이라는 이유로 블랙핑크가 나오는 광고의 송출을 방송위원회가 금지시키자 현지팬들이 반발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는 한테마파크에서 인어상의 상반신을 천으로 가리는 조치를 취하자 인어상의 조각가는 이를 비판했다.# 참고로 인도네시아 심의기준은 폭력 면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관대하지만 성적인 면에 있어서 엄격한 편이다. 물론 그와 별개로 불건전한 영상물이나 소설, 만화는 볼 사람은 다보기는 한다.
서구적 관점에서 보기에는 성문화가 보수적인 편에 속하지만 이슬람이 주류인 국가 중에서는 개방적인 편이다. 성문화는 노출만 자제한다 뿐이지, 오히려 우리나라보다 더 개방적이라는 평가도 많다. 경제적 빈곤이 불러온 안타까운 문제이지만, 자카르타 같은 경우 엽기적이게도 기차역의 플랫폼 바로 옆에 매춘부들이 우루루 임시 숙소를 차리고 영업하기도 한다.
1982년에는 성소수자 단체가 동남아시아에서 처음 시작되었고[95], 1993년부터는 동성애가 합법이었지만, 이슬람 우파단체의 주도하에서 성소수자 단체들이 탄압받고 성 소수자 관련 단체들을 공격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80%의 주민들이 동성애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2017년 5월 22일에 자카르타에서는 게이 파티를 했다는 이유로 141명이 체포되면서 2017년초에 성 소수자에 대한 탄압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지난 5일에 미혼남녀의 성관계를 전면 불법화하는 형법개정에 의회가 합의하면서 논란이 생기고 거기에다 동성애관련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TV에서 트랜스젠더 연예인들이 버젓이 활동하고 다닌다거나 주요 도시에서 와리아라고 불리는 트랜스젠더들이 제법 활발하게 길거리를 돌아다닌다거나 한다.
2019년 1월 8일에 인도네시아에서는 자국연예인들이 성매매로 적발된 사건이 일어나면서 파문이 일어났고, 현행 형법을 개정하는 작업에 착수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인도네시아에서도 대학교를 중심으로 미투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슬람 사회답게 미투 운동에 대한 인식이 아주 좋지 않다.
동성애와 혼전 성관계 등 부부를 제외한 커플의 성관계를 모두 불법으로 규정하는 인도네시아 형법 개정안이 외국인들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상당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
인도네시아에서 경찰이 트랜스젠더 여성을 남성 유치장에 수감한 것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15.1. 교통


영국이나 일본과 같이 좌측통행을 하기 때문에 차량 오른쪽에 핸들이 있다. 같은 말레이권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가 영국의 지배에 의해 영국 본토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좌측통행을 하는 것과 달리,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시절에 네덜란드의 영향으로 우측통행을 하다가 훗날 일본의 식민지로 바뀌면서 통행방향 또한 좌측통행으로 바뀌었으며 이 영향으로 인해 일본제 차량이 상당히 많다. 열에 여덟 정도는 일본제 차량인 셈. 철도 전동차량도 일본 도쿄에서 굴린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현재 고속철도 공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있다. 1차로 자카르타-반둥 간을 짓고 있다.# 차량은 중국제 차량을 도입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는 사실 한국인들의 오해와 달리 터키, 카자흐스탄, 폴란드, 멕시코, 브라질 등 선진 개발도상국 수준은 되는 나라라 고속철이 들어와도 이상할 건 없다.

15.2. 음식




15.3. 차와 커피


자바, 수마트라, 술라웨시 등 다양한 지방에서 커피를 재배한다. 베트남처럼 재배되는 품종 대부분이 로부스타이지만, 일부 아라비카 재배 지역에서는 고급 싱글 오리진 커피가 생산되기도 한다. 가장 유명한 것은 해외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는 수마트라 만델링(Mandheling)이며, 그 외에도 수마트라 아체 가요(Aceh Gayo), 술라웨시 토라자(Toraja), 자바 이즌(Ijen, '아라비카 자바'라고 하면 자바 동부 이즌 고원 지역에서 온 경우가 많음), 발리 킨타마니(Kintamani, '발리 블루문'Bali Blue Moon 등도 킨타마니 고원에서 재배한 것이다) 등이 있다. 최근에는 플로레스섬이나 서뉴기니 지역에서도 아라비카가 일부 재배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현지 도시의 카페에서는 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산지의 기후 탓에 종종 가공 과정에서 커피 열매를 세척 직후 완전 건조하지 못하고 거의 바로 까 버리기 때문에 생두에 수분이 많이 남게 된 상태로 판매하게 된다. 이를 현지어로는 길링 바사/영어로는 세미워시드, 웻 훌드(Wet Hulled)라 부르는데 이러한 과정 때문에 많은 인도네시아 커피들은 소위 '흙 향'으로 비유되는 특이한 풍미가 생기고 발효 과정이 짧기 때문에 산미가 약하다. 생두 상태의 품질에 좋지 않은 가공 방식이라 결점두가 많이 발생하는 편. 최근에는 길링 바사 이외의 가공법을 시도하기도 한다.
특이사항으로 코피 루왁(Kopi Luwak)[96]이라는 게 있다. 사향고양이에게 커피열매를 먹인 후 소화되지 않고 ''''''으로 배출된 커피콩을 세척, 로스팅하여 만든 것인데, 사향고양이의 배설강 근처에 있는 향낭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향취가 풍긴다. 가격은 굉장히 비싸지만 전 세계의 커피 마니아들이 이것을 탐내기 때문에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어 있고 구하기도 힘들다. 하지만 그만한 값어치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리고 현지에서도 비싼 가격 때문에 가짜가 많기 때문에 무조건 사 오지는 말자.
사실 저 코피 루왁은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 백인들이 현지인들에게 커피 농장 일은 다 시키고 정작 커피는 못 먹게 하니까, 현지인들이 어떻게든 커피를 맛보고 싶어서 사향고양이 똥까지 뒤지다가 탄생한 것이다. 그런데 그게 맛이 좋다는 것이 알려지자 백인 농장주들도 일부러 이런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고, 수요가 폭증하다 보니 저렇게 고가의 커피가 된 것이라고 한다. #
그래도 인도네시아 현지 카페에서 루왁커피를 마신다면 아주 부담되는 가격은 아니지만, 현지 카페에서 루왁 자체를 취급하지 않는 경우[97]가 많다.
로부스타 루왁이나 아라비카+루왁 블렌딩은 한국 카페 기준으로는 그냥 평범한 가격이다. 가령 자카르타에서 2018년에 방문한 한 카페의 아라비카+루왁 블렌딩 한 잔 가격은 3만 6천 루피아[98], 2010년대 중반에 발리에서 방문한 카페의 로부스타 베이스 루왁 한 잔 가격은 5만 루피아[99]였다. 아라비카 베이스 순수 루왁을 파는 경우에는 확연히 비싸기는 하지만 못 먹을 정도는 아니고, 대략 한 잔에 2010년대 후반 기준 5만~15만 루피아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단, 카페에서 파는 루왁의 경우 동물 학대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고, 고급 싱글 오리진 원두 재료로 생산한 루왁은 사실상 없어 맛도 좋다고 하기 어렵다.[100]
그 밖에도 인도네시아는 (茶)가 유명하다. 중국에서 들어온 전통적인 중국계 차인 녹차, 홍차, 우롱차 등도 물론 있지만, 특히 유명한 것은 토종 재스민 차다. 재스민은 페르시아로부터 중국인 상인들이 기원후 3세기에 이미 인도네시아 군도로 들여온 것으로 보이며, 적어도 5세기부터는 차 형태로 음용되기 시작하였다. SOSRO라고 하는 차 브랜드가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음료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는 코카콜라가 기를 못 펴는 지역으로 유명하기도 한데,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콜라 대신에 각종 차에 설탕을 왕창 부은 물건을 청량음료로 마시기 때문이다. 대신에 비만율이 낮은 건 좋은 점이다. [101]
SOSRO에서 생산하는 '테 보톨'(Teh Botol)이라는 제품이 가장 흔하다. 영어로 치면 Tea-Bottle이라는 말 그대로 '병에 든 차'란 뜻이며, 주로 차갑게 마시는 설탕을 넣은 재스민 차다. 요즘은 팩 형태가 더 흔하지만 제품명은 그대로이고 어디서든 찾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는 콜라 500ml 가격이 한국돈 400원 정도 한다. 2014년 6월 기준으로 3,950 루피아. 심지어 맥도날드 등의 패스트푸드점에서도 SOSRO의 청량차와 햄버거를 먹을 정도다. 인도네시아에 여행을 가면 선물로 차를 사올 때 보통 SARIWANGI를 많이 산다. 현지에서 차는 사야겠는데 뭘 사야 할지 모르겠을 때 국제적 대기업인 유니레버의 제품을 사는 경우가 많다.

15.4. 음악




15.5. 문학




15.6. 영화




15.7. 스포츠


필리핀을 제외한 다른 동남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가장 인기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그 중에서도 축구 열기가 아주 강하기로 유명한데 심지어 서포터즈간의 충돌로 인한 집단폭행, 살인 사건도 꽤 빈번하여 축구 관람하기에는 위험할 수도 있는 나라로 손꼽히기까지 한다. 인도네시아리그 축구 열기 그 중 최고 인기팀은 페르시야 자카르타로 2만 5천명 정도의 평균 관중을 불러모은다. 물론 더비전은 4만명씩 기록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리가 1(Liga 1)참조.
또한 아시아 대륙 최초의 월드컵 본선 진출국이라는 역사[102]가 있으며 동남아에서 유일하게 세리에 A 선수를 배출한 나라도 바로 인도네시아다.
그런데 2015년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인도네시아 축구협회를 간섭하였다는 이유로 FIFA가 인도네시아 축구협회를 징계하여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실격되고 AFC 챔피언스리그, AFC 컵 출전이 박탈되기도 하여 부침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는 워낙 인구도 많고 축구 인기도 높으며 축구에 대한 투자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동남아에서 태국 다음으로 축구미래가 밝다고 평가받는다. 게다가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 왕국의 식민지배를 받은 역사가 있어 인도네시아-네덜란드 혼혈이 꽤나 많은데 이러한 네덜란드 혼혈 선수들 수십여명은 현재 네덜란드 1,2부리그에서 뛰고 있으며 이 선수들이 점차 인도네시아로 귀화하고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만약 이럴 경우 혼혈 정책으로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력을 급상승 시킨 필리핀처럼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태국과 견줄 혹은 그것을 넘어설 전력을 갖추게 될 지도 모른다.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목 참조.
배드민턴도 인기가 폭발적이며 수준도 세계적인 레벨이다. 1970년대의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배드민턴 스타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Christian Hadinata)는 인도네시아의 배드민턴 전설로 통하고 있다. 배드민턴이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도입된 1992년부터 현재까지 2012년 런던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포함한 다수의 메달리스트를 매번 배출해 왔으며[103], 아시안 게임은 말할 것도 없다. 부산 아시안 게임 당시 100명도 안되는 인도네시아인들의 응원이 너무 열광적이라 대부분의 한국인들의 대-한민국 구호보다 더 컸을 정도로 인기가 많기도 하였다. 실제로 인도네시아 응원 구호도 대-한민국 응원과 같은 리듬이기 때문에(인-도네샤, 대한민국 응원 구호보다 정박자에 가깝다) 두 나라가 같이 경기하면 한국 응원은 종종 묻히곤 한다.
테니스는 아시아 국가 기준으로는 중상위권으로, 90년대에는 역사적인 선수 야육 바수키(Yayuk Basuki)가 등장하여 그랜드슬램 복식 4강(1993, US 오픈), 단식 8강(1997, 윔블던)이라는 업적을 세우고[104] 단식 랭킹 19위(1997년 10월), 복식 랭킹 9위(1998년 7월)까지 찍었던 전적이 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동남아시아에서 태국과 함께 확고한 2강 구도를 이루고 있다. 2019년 최근에는 동남아시아에서 복식 최고 랭킹을 보유한 크리스토퍼 룽캇(Christopher Rungkat, 2018년 아시안 게임 혼성복식 금메달) 정도가 유명하다.[105]
배구도 인도네시아에서 인기 있는 편이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과 함께 남자 배구 2대 강호로,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자 배구 최다 우승국, 최다 메달 획득국이다. 아직 세계 수준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아시아 국가 간 배구 및 비치발리볼 경기에서는 어느 정도 실적을 내고 있다. 단, 남자 배구, 남자/여자 비치발리볼에 비해 여자 배구는 아직 동남아시아에서도 최고 수준이라고 하기 어렵다. 프로배구 리그 '프롤리가'(Proliga)가 2002년부터 운영 중이며, 수라바야 사마토르(Surabaya Samator)가 남자부 리그 최다 우승팀이다. 대중적인 인기는 축구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역시 상당한 편이다.
농구는 동남아시아에서 태국, 말레이시아 등과 함께 2위권 경쟁 중이며, 그나마 이들 중에는 최근 농구 1부 프로리그(Liga Bola Basket Indonesia)의 성장세로 사정이 가장 나은 편이다. 2010년대에는 고등학생 등 젊은층을 중심으로 축구 못지 않은 상당한 인기몰이를 하는 중이다. 그러나 역내에 이들 2위권 국가와 압도적으로 실력 격차가 나는 필리핀이 있고, 필리핀을 제외하면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는 아시아 국제대회에서 실적을 거의 못 내는 실정이다. 향후의 발전은 기대되고 있다.
원래 양궁은 동남아시아에서 인도네시아가 절대적 우위를 보였던 종목이었지만,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등의 추격으로 2019년 현재는 과거처럼 압도적이지는 못하고 위 국가들과 함께 여러 대회 메달을 나눠 가지는 상태. 그래도 국제 랭킹 상위권을 보면 인도네시아 선수가 제법 많이 분포해 있다.
동남아의 대표구기인 세팍타크로도 역시나 인기가 있다. 1962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을 개최한 전적이 있다.
2020년 8월에 e스포츠를 스포츠로 인정하였다.#
단검 쓰는 실랏이라는 무술이 있다

15.8. 만화


독립 직후부터 1980년대까지는 의외로 만화시장이 상당한 규모로 발달해 있었고, 만화가 전체 출판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106] 이 당시 인도네시아 만화는 그림체나 표현방식에 있어서 유럽 만화와 미국 만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일상적인 내용이나 마하바라타무함마드의 이야기 같은 역사와 설화 같은 것을 다루는 만화가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때의 만화책은 대개 50쪽 안팎에 '''풀컬러로''' 출간되었으며 10개의 이슈를 묶어서 출간하는 형태의 만화책도 있었다. 그렇지만 소비시장이 빈약한 만큼 책방이나 도서관 같은 곳에서 보거나 빌려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인도네시아 만화의 황금기는 대체로 1960년대에서 70년대 정도로 꼽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이 당시 인도네시아에서 인기 많은 만화가들은 짭짤한 수익을 올릴수있었다고 한다. 당시에는 인기작가의 경우에는 6개월 정도 연재하면 오토바이 1대를 구입할수있었을 정도라고 하는데 인도네시아가 1인당 국민소득이 최빈국 수준이나 빈곤국 수준이었다는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먹고살만한 수치였던것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서 일본 만화, 유럽 만화, 홍콩 만화 등이 들어오면서 쇠락기에 접어들기 시작했고, 1990년대 들어서부터 신문사나 잡지사에서도 인도네시아 국산 만화대신 외국만화로 때우기 일쑤인데다가 일본 만화가 시장을 과점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면서 인도네시아 만화계는 큰 타격을 입었다. 물론 인도네시아만의 독자적인 색채를 지닌 만화를 만들어서 인도네시아 만화계의 위기를 극복하려고 한 적이 있었지만 점유율 면에서 큰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래서 현재까지 만화시장의 대다수이자 주류를 차지하는 것은 일본 만화이다. 참고로 인도네시아 오프라인 만화시장에서 일본 만화가 차지하는 비율이 70% 초반에 달하는 데다가 한국이나 프랑스, 미국 등에서 만들어진 다른 외국 만화까지 합하면 90%에 달하며, 인도네시아 만화는 10%를 넘나드는 수준이다.
한국 만화학습만화가 교육적인 내용과 흥미로운 줄거리로 인기를 크게 끌었지만 많이 수입된 수준은 아니기에 전반적인 점유율은 5% 아래로 추산된다. 그 영향으로 온라인에서도 불법번역된 일본 만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인도네시아 만화도 표현 기법 면에서 일본 만화의 기법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지만 2010년대 와서는 한국 웹툰이나 미국 만화, 프랑스 만화의 수입이 늘어나고 있는 데다가 인도네시아 자국 만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인도네시아 내의 인터넷 보급률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인도네시아에서도 웹툰이 흥하고 있다. 아래의 링크에서 국역된 인도네시아의 웹툰을 접해 볼 수 있으니 참고. 2010년대부터 LINE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면서 별도로 웹툰 서비스를 런칭하여 한국식 웹툰 연재 시스템이 도입되어 가고 있으며 여타 업체들도 속속 웹툰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웹툰시장이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한국웹툰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자체 웹툰도 작품에 따라 다르지만 한국웹툰보다도 인기가 높은 경우가 비일비재하다.[107] 물론 오프라인 시장에서는 일본 만화의 점유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데다가 만연한 불법복제로 수익을 생각보다 못거둔다는 문제도 있지만 그래도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이어져온 인도네시아 만화계의 시궁창스러운 상황을 생각한다면 인도네시아 만화의 부흥이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상황이 극적으로 역전된 것이기때문에 인도네시아 만화계에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시각이 많다.

15.9. 담배


애연가들한테는 담배로 유명한 나라로 손꼽힌다. 일단 높은 인구수와 자유로운 흡연문화로 인해 흡연 인구수도 전세계적으로 다섯손가락 안에 들어갈만큼 거대하다. 더구나 산업 비중으로 따져도 석유,가스,목재 다음으로 거대한 시장으로 꼽힌다.
정향을 넣어서 만든 담배로 나뭇가지가 타오르듯이 타닥 하면서 타고 특유의 냄새가 특징인 크레텍 담배의 주 원산지다. 현재 인도네시아 궐련산업의 약 80%~90%를 차지할만큼 거대하며 전 세계적으로 매니아층이 존재한다.
유명한 브랜드로는 자럼, 지삼수, 구당가람 등이 있으나 이 브랜드 말고도 수많은 브랜드가 난립하고있다. 심지어 말보로를 만드는 필립모리스도 자사의 브랜드로 크레텍을 만들고 인도네시아의 대형 회사중 하나인 삼푸르나를 인수하는둥 상당히 공을 많이 들이고있다. 또한 KT&G도 현지 회사를 인수했으나 생각보다 잘 안되는 모양. 던힐이나 말보로 버전의 크레텍도 있으며 멋모르고 면세점에서 사들여온 한국인들이 땅을 치고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 흡연으로 골치를 앓고 있다. 최연소 흡연자가 이 나라에서 나왔을 정도.(...) 이로인해 최근들어 정부 차원에서 규제를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위에서 서술했듯 흡연인구도 많고 담배산업의 비중이 워낙 커서 규제는 좀 힘들어 보인다. 게다가 담배규제기본협약을 비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15.10.


같은 경우에는 아체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마시는 경우도 많이 있다.
심지어 이슬람국가이면서도 술의 판매, 제조를 법적으로 허용하는데다가 비르 빈땅[108](Bir Bintang)[109]이나 발리 하이, 앙커, 쿠다 푸티, 프로스트 같은 자국산 맥주 브랜드들도 있을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술이 금지되어 있는데 아체나 서파푸아가 대표적이다. 이렇세 술판매를 규제 또는 금지하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독실한 이슬람 인구가 많은만큼 발리 섬을 포함한 인도네시아 전역에 술을 금지하려는 시도도 있고 실제로 법안이 제출되면서 반발도 생겼다.# 그런데 오히려 술이 금지된 지역일수록 밀주제조 및 밀주로 인해 사망자가 늘어나면서 곤혹을 치르고 있다.#
결국 술 판매 금지정책이 국회에서도 논란이 되었던 만큼 용두사미로 끝날 예정이다.#
아무튼 술을 마시는 게 불법은 아니지만 그래도 밀주 문제는 남아 있어서 술값이 너무 비싸서 밀주를 마시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110]에서는 일부 허용된 매장이나 호텔을 제외하고는 주류 구매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발리에서만 유일하게 편의점에서 주류를 구매할 수 있으니 참고할 것.[111]

16. 외교




17. 창작물에서



17.1. 인도네시아 출신의 캐릭터


※ 해당 국가의 작품에 나오는 캐릭터는 제외한다.

18. 관련 문서



19. 둘러 보기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1] 호주는 섬이라기보다는 가장 작은 대륙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그린란드는 상당한 자치권을 갖고 있지만 아직은 덴마크의 자치령이기 때문에 준국가로 분류된다. 오세아니아가 포함된 이유는 인도네시아의 영토인 뉴기니섬의 서쪽 부분이 오세아니아에 속하기 때문이다.[2] 수마트라 북서쪽의 안다만 제도와 니코바르 제도가 인도령이다.[3] 사실 호주가 문자가 사용되지 않아서 기록이 남아있지 않고 원주민들이 대규모 국가를 세운 적이 없어서 외딴 지역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호주 북부 지역은 인도네시아와 교류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4] 2위는 일본, 3위는 필리핀이다.[5] 무슬림 인구 2위는 파키스탄이다. 파키스탄의 인구 역시 2억 이상으로 인구가 매우 많은 국가이고, 그 중 90% 이상이 무슬림인데도 인도네시아가 앞선다.[6] 인니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다. 한국과 달리 정/부통령제로 부통령이 보좌한다.[7] 사실 이건 첫 직선제 대선이 2004년에야 치러졌기 때문이다. 참고로 민주화 직후에 처음 치러진 대선은 간선제로 치러졌다.[8] 사실 이 중 싱가포르와 호주는 선진국이라 넘사벽이기는 하다.[9] 그래서 인도와 문화적인 코드가 맞아서 인도 드라마가 많이 수입되곤 한다.[10] 한 예로 만화가 박인권페스카마호 선상 살인 사건을 다룬 그의 만화 '선상반란'에서 인도네시아 선원들을 인도인이라고 부른다.(...) 작중에서 인도와 인도네시아를 별개로 취급하는 부분이 없다. 아니면 인도네시아 선원들을 그냥 인도인으로 뭉뚱그려 불렀던 것을 고증한 것이거나.[11] 마인어: Garuda Pancasila[12] 북동지역의 섬들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있고, 수마트라 섬 등 남서쪽 섬들은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에 속한다.[13] 정확히는 푼착 자야 주봉 및 4,800m을 넘는 푼착 자야의 3대 부봉들이다.[14] Wang, Shan-shan, Veettil, Bijeesh Kozhikkodan, "State and fate of the remaining tropical mountain glaciers in Australasia using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Mountain Science'' 15 no.3 (2018): 495–503, DOI:10.1007/s11629-017-4539-0.[15] 자바 섬을 관할하는 행정 구역들의 인구를 다 합하면 1억 3,660만 명 정도이지만, 이 가운데 360만 명 정도는 자바 섬과 동시에 동자바 주에 관할되는 마두라 섬에 살고 있어 360만 명을 위 숫자에서 빼야 한다.[16] 순다어와 인도네시아어 모어 화자 수가 비슷한 수준이다.[17]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수도 이전을 발표하면서 '한국처럼 새로운 행정수도를 건설해야 한다'고 밝혔는데, 세종특별자치시를 염두에 둔 발언 같지만 한국은 실제로는 관습헌법 사태로 행정수도 건설이 무산되었다. 대통령이 착오가 있었던 듯 하다.[18] 보르네오의 인니 쪽 부분을 칼리만탄이라 한다.[19] 이 정도라고 해도 당시 기준으로 친다면 인구가 그렇게까지 적은 지역은 아니긴 했다. 물론 동시대의 조선의 인구가 대체로 1800만, 프랑스의 인구가 2700만 정도로 추산되는 것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20] 앞서의 조선이 이런 식으로 인구가 증가했다면 지금쯤 8억 명이 넘었을 거라는 얘기...[21] Peper, Bram. 1970. "Population growth in Java in the 19th century: A new interpretation." ''Population Studies'' 24 (1): 71-84.[22] 이하의 추정치는 다음 논문의 p. 168에서 인용하였다. Feenstra, Alberto. 2014. "Dutch Coins for Asian Growth: VOC-duiten to Assess Java’s Deep Monetisation and Economic Growth, 1724-1800." ''Tijdschrift voor Sociale en Economische Geschiedenis'' 11 (3): 153-183.[23]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동티모르까지를 통틀어 스텝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은 인도네시아의 소순다 열도 일부 지역과 마찬가지로 소순다 열도에 속하는 동티모르의 북부 해안 지대 일부(마나투토Manatuto 등지)뿐이다. 미얀마 만달레이 인근의 비그늘 지대에서 비교적 넓은 스텝 기후대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이 외에는 베트남의 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륙부 동남아시아에서도 스텝 기후는 나타나지 않는다. 근처인 호주는 반대로 해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스텝 기후 또는 사막 기후에 속한다.[24] 수마트라 서부, 자바 서부, 보르네오 중부의 고원 지대에도 서안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지만, 술라웨시 중부나 마오케 산맥만큼 흔하지는 않다.[25] 반둥은 인도네시아의 수위권 대도시이며, 말랑도 2017년 기준 도시권 인구 300만을 상회하는 대도시이다.[26] 파푸아뉴기니는 UTC+10을 쓴다. 나라가 달라서이다.[27] Waktu Indonesia Barat, 왁투 인도네시아 바랏[28] Waktu Indonesia Tengah, 왁투 인도네시아 틍아[29] Waktu Indonesia Timur, 왁투 인도네시아 티무르. 티무르는 마인어로 동쪽을 뜻한다.[30] Sultan Hapus Kata 'Provinsi' dari DI Yogyakarta[31] 자카르타 수도 특별 지역에서 시와 동격인 2급 행정 구역.[32] 욕야카르타 특별 지역에서 욕야카르타시 하위의 3급 행정 구역.[33] 욕야카르타 특별 지역에서 욕야카르타시를 제외한 현 하위의 3급 행정 구역.[34] 파푸아주와 서파푸아주의 3급 행정 구역.[35] 지역에 따라 다양한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36] pribumi, 네덜란드어로는 인란더스(inlanders)라고 한다.[37] 예로부터 인도네시아가 무역중계지로 이름을 날렸던 덕택에 아랍계 조상을 둔 인도네시아인은 상당수 있지만 중세와 근세 시절에 이주해온 아랍인들 대부분이 원주민에게 동화되었기 때문에 현재 아랍인은 38만 명 정도로 인도네시아 전체인구의 0.2%를 차지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38] 서쪽에 있는 인도사람인 인도인들과는 다르다[39] 바하사 인도네시아(Bahasa Indonesia), 혹은 인도네시아어라고 한다. 말레이시아 쪽은 바하사 말레이시아(Bahasa Malaysia)이며 마인어가 국어인 싱가포르와 공유한다.[40] 뉴기니 서부에서는 파푸아 제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특히 말루쿠 제도에서 사용되는 서파푸아어족에 속하는 트르나테어, 티도레어 등의 예외도 있다.[41] Dardjowdjojo,1998;Steinhauer,1994 인용[42] Bahasa는 인도네시아어로 '언어'라는 뜻이다. 즉 바하사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어를 뜻한다.[43] 인도네시아의 언어에 대한 내용은 다음의 논문들을 참고했다. <전태현, 인도네시아의 언어정책 -찌아찌아어 한글 표기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언어문화학』 제7권 제2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이주영, 인도네시아 양층어 현상 연구, 『LAK Journal 2014』 제22권 제3호, 대한언어학회>, <임영호, 자까르따 방언의 위치와 인도네시아 언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연구 2005』 제15권 제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김긍섭, 인도네시아어의 위상과 사용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국제지역학회보』 제1집, 한국국제지역학회>[44] 19세기 이전에는 말레이어를 표기할 때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를 썼다. 식민 지배기에 로마자로 표기 문자가 변경되었다.[45] 민주화 이전인 수하르토 정권 시절이야 말할 것도 없고 민주화 이후로도 뒤가 구린 기득권층들이 경찰을 이용해서 부패조사를 방해한다든가 청부업자를 이용해서 부패조사관들을 테러하거나 저주를 내리는 사건이 왕왕 벌어지기도 하며,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놓고 돈을 뿌리는 일이 왕왕 있을 지경이다. 심지어 1965년 대학살 진상규명단체 'YPKP65'도 군부의 방해로 활동에 난항을 겪고 있다.[46] 한국에서도 말루쿠 제도의 독립이 이현세의 만화 남벌에서 소재로 다루어진 적이 있다. 여기서는 일본이 말루쿠 제도 독립을 지원하며 인도네시아와 갈등을 빚는 와중에 한국이 얽히면서 생뚱맞은 전개로 이어진다.[47] 약 10% 정도다[48] 2017년 11월 8일에 정부에서 공식종교로 인정하기로 결정하였다.#[49] 인도네시아에서는 성금요일만 부활절 공휴일이다. 어차피 부활절 당일은 일요일이지만 말이다.[50] 부활 제6주 목요일.[51] 독자적인 람풍어를 사용한다.[52] 자바계와 순다계를 합하면 주민의 약 70% 이상이다[53]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수마트라 중서부, 중동부 4개 주(리아우, 잠비, 븡쿨루, 남수마트라) 역시 자바–순다계 주민이 20–30%를 차지한다.[54] 이런 사람들은 대게 아체 출신들이거나 서부 농촌 출신들이다. 홍콩의 가정부 중에서도 가끔 니캅을 쓰는 사람들이 눈에 띄는데 IS가 연상되는지(...) 현지인들이 좀 꺼림직하게 보고 가끔 홍콩 경찰이 불심검문해서 멈춰세워 귀찮게 군다.[55] 퇴마사 내지는 퇴마를 주로 하는 무당이다.[56] 저주를 주로 하는 흑마술사들이다.[57] 여담이지만 이 종파에는 깨달은 자, 즉 붓다와 비슷한 교리도 있고 알리=무함마드=알라라는 삼위일체 비슷한 교리도 있다. 몸을 흔드는 쿤달리니는 원래 힌두교가 유래인데 알레비파에서도 많이 보인다.[58] 물론 이들 기득권층 세력들은 과거에 세속주의 정책을 펼쳤지만 한편으로 화교와 공산주의자들을 아예 한 차례 박살내버린 적이 있었고 1998년 민주화 시위 국면에서도 화교에 대한 학살을 의도적으로 선동한 원흉이기도 하다.[59] Indonesian Islamic sect say they're 'denied state IDs' over their beliefs, 2017년 6월 21일.[60] 티모르섬 서부가 있는 지역[61] 말루쿠 주의 경우 거의 무슬림과 기독교(개신교+가톨릭)도 비율이 1:1에 가깝다[62] 출처[63] 심지어 건축 자격 요건을 다 갖추고, 소송까지 치르며 법원의 허가를 받았는데도 강경 무슬림들의 영향력이 센 지방정부에서 일방적으로 교회 건축 허가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64] 취업 제한 등은 예사이며 전술했듯이 맘먹고 테러해서 죽이는 경우도 많다.[65] 가톨릭-개신교 신자 간 결혼 정도만이 예외적으로 비교적 쉽다. 같은 종교이고 교파만 다르기 때문에 동일 종교라고 해서 쉬운 것이다.[66] 되도록 성직자나 종교 사무 관련 관청[67] 1989년 1월 20일[68] 양승윤, 인도네시아, 121-126쪽.[69] 가령 순다인이라면 이슬람교, 중국계면 기독교, 발리인이라면 힌두교 등[70]자본론》 등 관련 서적의 인도네시아어판은 자유롭게 구해 읽을 수 있다.[71] 2020년 현재 절판 상태이나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리처드 도킨스 재단 측에서 아랍어, 페르시아어, 우르두어와 함께 인니어판 번역본을 무료로 배포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72] 가령 와힛 재단이 2017년에 수행한 조사 결과를 참조하라.[73] 심지어 같은 처지에 처한 시아파, 개신교, 가톨릭 신자들도 유대교를 혐오할 정도다.[74] 이하의 데이터는 Anies Baswedan 교수의 2012년 강연자료에서 인용.[75] 출처[76] 2017년 기준 0.24%[77] 2010년대 들어 꾸준히 1% 이상, 2016년 1.44%[78] 2017년 0.53%[79] 2013~2014년 기준 0.1%을 약간 넘는 정도[80] 사실 필리핀의 경우 최신 통계를 찾기 어렵다[81] SCImago 랭킹, 국제 대학순위, 네이처 인덱스, Web of Science Group의 상위 피인용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s) 통계 등 기준[82] 단순히 분류, 관리, 통제 업무에만 집중하고 근본적인 탐구에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왔다.[83] 대표적인 관련 연구서로 앤드루 고스(Andrew Goss)의 ''The Floracrats''이 있다.[84] 관점에 따라 1849년[85] 자바 의사(Doctor Djawa)라는 학위를 받았는데 물론 정식 의사 권한은 없었고 천연두 예방 접종 같은 기초적 시술만 할 수 있었다.[86] 이미 동인도 회사령 시절 1857년에 캘커타 대학교, 봄베이 대학교, 마드라스 대학교가 개교.[87] 1906년 하노이 소재 인도차이나 대학교 개교.[88] 비교하자면 브라질에 전문 고등교육기관만 약간 설립하고 식민지 시대 브라질의 종합대학 진학 희망자는 코임브라 대학교로 유학하게 했던 포르투갈과 비슷하다(그래도 포르투갈은 1968년 모잠비크에 로렌수 마르케스 대학교(Universidade de Lourenço Marques)를 설립하긴 했다.) 사실 포르투갈네덜란드는 본토의 규모가 다른 식민 제국에 비해 작아, 애초 본토에 종합대학이 몇 없었기 때문에 식민지에까지 종합대학을 설립해줄 여력이 없었다고 보기도 한다. 가령 네덜란드의 경우 19세기 말까지도 본토에 종합대학은 5개(레이던, 흐로닝언, 위트레흐트에 각 1개씩, 암스테르담에 2개)뿐이었는데, 이는 동 시기 스페인(13개)보다도 훨씬 적은 수다.[89] 네덜란드어 이외의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유럽 언어를 마스터할 수 있고, 국적과 교육비, 생활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부유한 가정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네덜란드 외의 국가로 유학을 갈 수도 있기는 했다. 상대적으로 위 문제에서 여유가 있는 학생의 경우 프랑스독일, 스위스 등 다른 유럽 국가로 유학을 간 경우도 약간 있었다.[90] 2018년 기준으로 Times 및 QS 대학 랭킹 모두에서 언급한 최초 설립 5개교 중 인도네시아대, ITB, 가자마다대는 세계대학순위 1000위 내에 들었다. QS 랭킹에서는 5개교 모두 및 브라위자야 대학교(Universitas Brawijaya, 말랑 소재 국립대)가 1000위 안.[91] 인도네시아 방송법에 의하면 국내 방송산업의 보호를 위해서 지상파 방송에서 외국 프로그램의 편성비율이 40%를 넘기지 못하도록 되어있지만 전체 방송시간 기준으로 본다면 상당히 널널한 기준이기는 하다.[92] 주로 대만 드라마가 수용되는 편이다.[93] 사실 따지고 보면 필리핀이나 동티모르 정도를 제외하면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들도 사정은 다 마찬가지이기는 하다. 단지 정치적인 검열이 우선이냐, 문화 전반에 대한 심의가 우선이냐의 차이일 뿐이다. 싱가포르는 정치적 검열이 우선되어 조금이라도 사람들을 우울하게 만드는 뉴스는 죄다 컷되며 리콴유 일가에 대한 소식 및 각종 정치뉴스도 대부분 컷당한다.[94] 사실 이건 세계적인 레퍼토리이기는 하다. 베트남이나 미얀마에서도 한국 드라마를 깔 때 내세우는 대표적인 레퍼토리이기도 하며, 미국에서조차도 나오던 레퍼토리이다. 한국에서도 과거 신문에서 TV프로그램 다룰 때나 옴부즈맨 프로그램 보면 늘상 나오는 레퍼토리 중 하나이기도 했다.[95] 선진국인 싱가포르조차 보수적인 인민행동당 정권이라 성소수자 어쩌구는 꿈도 못 꿀 일이다. 동성결혼이 아직도 허용되지 않고 있는 곳이 싱가포르이다.[96] 'kopi'는 인도네시아어식 표기로, 네덜란드어 'koffie'를 외래어 'kopi'로 가져온 것이다. 실제 발음은 '꼬삐'에 가깝다.[97] 루왁 커피 생산 과정에 동물학대 논란이 있고, 고급 싱글 오리진 커피를 취급하는 카페는 루왁커피의 품질에 대해 비판적인 경우가 많다.[98] 2020년 6월 기준 약 3,100원[99] 2020년 6월 기준 약 4,300원[100] 동물학대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생산한 아라비카 루왁 원두 가격은 대도시 번화가의 카페도 감당하기 어렵다. 드물게 'Luwak Liar'로 명시하는 카페가 있지만 품종은 대부분 로부스타이거나 질 낮은 아라비카이고, 그나마도 최소한 한 잔에 5만 루피아 이상을 생각해야 한다. 적당한 품질로 야생 생산한 싱글 오리진(최고급은 아닌) 아라비카 루왁을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구하는 경우, 원두 1kg가 2020년, 인도네시아 전자 상거래 사이트 부칼라팍(Bukalapak) 기준 최저 50만~70만 루피아, 괜찮은 것이 150만~250만 루피아 정도인데, 루왁이 아닌 싱글 오리진 아라비카의 경우 30만~40만 루피아 정도로도 그럭저럭 괜찮은 상품을 구할 수 있다.[101] 애초 차 자체가 지방을 분해하는 카테킨이 있어 이뇨작용이 강하며 오래 마시면 살이 빠진다.[102] 자주독립국가로 치면 아시아에선 한국이 첫 번째다.[103] 인도네시아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이 이 종목에서 나왔다. 이전에는 올림픽 최초 메달도 배드민턴에서 나왔다고 했는데, 사실은 1988 서울 올림픽 여자 양궁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바 있다. 그렇다. 한국의 여자 양궁 단체전 8연패의 신화의 첫 제물이 바로 인도네시아였던 것이다. 하지만 그 이후에 올림픽 양궁에서 인도네시아가 메달을 획득한 적은 없다.[104] 이 여자 그랜드슬램 단식 8강, 복식 4강이라는 커리어는 동남아시아 테니스 역사상 야육 바수키가 최초로 달성한 고지이며, 2019년 2월 현재 아직 이를 넘어선 동남아시아 선수는 없다. 2000년대 들어 태국의 여자 선수 탬마린 타나수깐(แทมมารีน ธนสุกาญจน์)이 윔블던 단식 8강(2008), 윔블던 복식 4강(2011)에 오름으로써 타이를 이루었다. 남자 선수 중에는 태국의 테니스 영웅 파라돈 시차판(ภราดร ศรีชาพันธุ์)이 단식 랭킹 9위까지 올라갔던 적은 있지만, 이쪽은 단식 4라운드 진출이 그랜드슬램 최고 성적.[105] 그랜드슬램 기준으로 인도네시아 남자 선수의 최고 성적은 곤도 위조요(Gondo Widjojo)의 1971년 프랑스 오픈 복식 2라운드 진출, 아텟 위조노(Atet Wijono)의 단식 1라운드 진출(1970년 US 오픈, 1971년 프랑스 오픈)이다.[106] 비슷한 맥락으로 의외로 중국멕시코도 정부의 지원 하에서 한 동안 만화가 발달한 적이 있었으며, 심지어 만화에 대한 인식이 한국보다 좋았을 정도였다. 사실 동남아시아는 의외로 만화 산업이 발달한 편이다. 필리핀 역시 만화 산업이 발달했던 편.[107] TV광고도 많이 내고 있는 모양이라서 LINE WEBTOON이라고 검색해보면 라인 인도네시아 지사에서 낸 광고들이 꽤 많이 검색된다.[108] 하이네켄 현지법인이 만든 맥주 브랜드인데 외국인들조차 하이네켄 말고 이걸 찾을 만큼 맛있고 인기있는 브랜드다.[109] Bir는 인도네시아식 영어 표기로 Beer, 즉 맥주를 의미하며, Bintang은 인도네시아어로 별(Star)을 뜻한다. 그래서 비르 빈땅 병이나 캔에는 별 그림이 그려져 있다.[110] 발리 제외[111] 발리는 전통적으로 발리힌두라 부르는 힌두교 분파를 믿고있으며 이슬람 라이프 스타일이 아니다. 그렇지만 호주 출신이 주류인 외국인 취객의 잦은난동 등 여러이유로 증류주 류의 독주는 거의 팔지 않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