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분석사

 


1. 개요
2. 응시자격
3. 시험과목
3.1. 시험공부의 팁
4. 쓰임새
5. 사건 사고






1. 개요


경영/경제 관련 자격증 중 하나. 한국금융연수원에서 금융권(주로 은행) 재직자, 취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여신 분야 국가공인 민간자격증. 접수 비용은 6만원이며 연간 3회 실시되며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시행된다. 1부에서는 기업회계기준, 2부에서는 재무비율/거시환경/현금흐름분석/신용평가 종합사례를 치른다. 객관식 5지선다,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영어로는 '''Certified Credit Analyst, CCA'''라고 한다.
유사자격증으로는 여신심사역(CLO), 신용위험분석사(CRA), 신용관리사 등이 있다. 이름이 비슷하므로 구분이 확실한 영어 약칭으로 부르기도 하는 편.

2. 응시자격


상위 자격증인 여신심사역과 달리 본 자격증에는 별다른 응시제한이 없다. 막말로 중학생도 취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인회계사(CPA)를 취득한 사람은 1부 시험이 면제된다.

3. 시험과목


  • 1부 (09:00 ~ 11:00)
    • 기업회계기준 29문항
    • 기업결합회계 15문항
    • 특수회계 15문항
  • 2부 1과목 (11:20 ~ 12:50)
    • 재무분석 21문항
    • 현금흐름분석 25문항
    • 시장환경분석 16문항
  • 2부 2과목 (14:00 ~ 15:30)
    • 신용평가 종합사례 29문항

3.1. 시험공부의 팁


1부의 경우 재경관리사 자격증을 사전에 취득했다면 연결회계, 지분법 등만 조금만 더 공부하고 거의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 재경관리사와 다르게 문제은행식 출제가 아니고 문제 난이도도 약간 더 높으나 문제와 답만 달달 외워 재경관리사를 취득한 것이 아니라면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다.
2부 1과목 중 재무분석과 시장환경분석은 경영/경제학을 전공한 사람들에게는 복습 수준, 그러나 현금흐름분석은 대학에서 잘 배우지 않는 현금수지분석표를 다루기 때문에 암기하는 수밖에 없다.
2부 2과목은 약 20 페이지 정도의 실제 기업 사업보고서를 준 뒤에 이 기업의 거시환경이나 재무비율 등을 분석하는 과목. 특히 재무비율 분석 문제가 많이 나오는데 어려운 재무비율은 안 나오고 그냥 개념을 이해하고 있고, 재무제표에서 그 항목을 찾을 수 있다면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총 수험기간은 재무회계와 거시경제, 경영학원론, 재무관리 기본을 알고 있는 대학생 수준에서 3~6개월 정도. 그러나 응시자 중 90%가 은행/캐피탈/저축은행 등에서 여신을 담당하고 있는 현직자이기 때문에 공부시간이 부족한 직장인들은 좀 더 여유롭게 수험기간을 잡는 게 좋다. 실제 고사장에 가면 60%는 처음 응시자, 40%는 재응시자이다.

4. 쓰임새


자격증을 기입하지 않는 시중은행 공채에서는 별로 도움되지 않으나 기타 신용정보, 신용평가, 캐피탈,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널리 쓰일 수 있다. 물론 기입이 가능한 시중은행도 있는 상황. 일부 금융공기업 채용시에도 기재할 수 있게 되어있다.[1]일단 자격증에 "신용"이 들어가는 몇 안 되는 자격증 중에 하나이고, 대학생 중에서 취득자가 드물기 때문에 이력서에 적어서 나쁠 것 없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후에 여신심사역 응시자격을 부여받는다. 다만, 여신심사역은 신용분석사보다도 응시자 수가 훨씬 더 적고 따라서 강의서비스를 하는 사설학원도 없기 때문에 실무지식이 전무한 대학생이 취득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있다.[2] 2019년 상반기부터 금융권 공채가 탈스팩전형을 탈피하여 자격사항을 적는 정량평가가 대두되고 있어 합격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학점은행제에서 20학점을 인정해준다.[3]

5. 사건 사고


3교시 시험에서 제공된 재무제표와 시험지가 일치하지 않아 시험 도중에 시험이 취소되고 전원 귀가 조치를 받는 황당한 일이 발생하였다. 관련 기사 이후 협회 측에서 귀가자들에게 교통비를 지급하고, 추가 응시기회와 추가 시험을 배정하는 것으로 사태는 일단 마무리 되었다. 물론 3교시와 상관 없는 1부와 2부 앞부분의 성적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졌다. 즉, 기존 2부 부분 합격자는 아무런 상관 없는 일.
[1] 다만 이런 채용 관련 자격 사항은 매년 바뀌기 마련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2] 즉 여신심사역을 응시하기 위해선 독학이 반강제적인 것. 신용분석사와는 달리 여신심사역을 가르치는 학원도 없고 인강도 거의 없다.[3] 회계 자격증들 중 전산세무 1급이 16학점인데 비해 엄청 후한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