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준섭(권투)
1. 소개
대한민국의 前 아마추어 권투 선수이다.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권투 사상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다.
이전부터 한국이 복싱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딸 기회는 많았지만, 아쉽게 놓친 경우가 많았다. 1956 멜버른 올림픽에서 송순천은 결승에서 독일(단일팀)선수에 우세한 경기를 펼치고도 판정패하여 당시 중계아나운서가 국력의 약함을 들어 국민들의 아쉬움을 대변했고,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지용수도 결승에서 아쉽게 판정패한 바 있었다. 이런 가운데, 1984년 LA 대회는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 대한 미국과 서구권 불참에 보복으로 아마추어 권투 최강급인 쿠바와 동구권이 불참한 가운데 김승연 회장의 전폭적 지원에 각체급에 유망주 선수들이 즐비하여 다수의 금메달을 기대하고 있었다.
여담으로 신준섭의 올림픽 우승은 철도연표에 실려있는데, 당시 신준섭의 아버지가 철도청 선로원으로 근무 중이었기 때문이다.
2. 선수 경력
고등학교 때 복싱을 시작했으나 국내선발전에서도 번번히 탈락하는 평범한 선수였다. 전국체전과 아시안게임 선발전에서 번번히 고배를 마셨으나 83년 로마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수상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이후 결국 국가대표에 선발된다. 물론 미들급 신준섭은 체급이 체급인지라 동메달 정도 기대하던 선수였고 대신 라이트플라이급 김광선, 플라이급 허영모, 밴텀급 문성길, 페터급 박형옥, 라이트웰터급 김동길이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기대를 모았다.
우선 김광선은 1회전에서 미국의 폴 곤잘레스를 만났는데 초반 유효타를 많이 허용한 김광선이 2R부터 특유의 몰아치기를 하는데 미국선수가 코너에 몰릴때마다 주심이 김광선의 헤드기어가 조금 벗겨진 걸 지적하면서 서너차례 경기를 중단시키면서 제대로 인파이팅 경기도 해보지 못한채 심판전원일치 판정패를 당하고 말았다. 김광선은 4년 후 홈그라운드인 서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차지하여 이때의 아쉬움을 설욕했다.
문성길은 16강에서 미국 로베르토 샤론과 대결하는데 이 경기는 미국에서 육상 칼 루이스경기 말고 최고의 시청율을 보였다. 경기는 서로 다운을 주고받다 2R부터 문성길의 돌주먹이 상대를 제압, 8강에 진출했다. 문성길은 8강전에서도 특유의 돌주먹을 날리며 분전했지만 상대의 머리에 눈썹이 찢어졌다고 부상에 의한 RSC패, 탈락하고 만다. 문성길이 아마추어에서 유일하게 우승을 못한 주요 대회가 올림픽이었다. 결국 그는 서울 올림픽 직전에 프로로 전향한다. 그리고 기간을 못 채운 채로 프로 전향했다가 아시안 게임 우승으로 얻은 병역 특례가 취소되어 현역 입대한다.
박형옥은 8강에서 판정승했으나 심판진의 석연찮은 승부가 뒤집혀 탈락한다. 심지어 김동길은 상대인 미국 제리 페이지에 우세를 보이고도 홈그라운드의 텃세로 판정승, 관중들의 적막과 함께 제리 페이지의 어색한 제스쳐가 이어진다. 이런 노골적인 편파 진행이 계속되자 당시 대한복싱연맹 김승연 회장은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선수단 철수를 공언한다. 그러나 차기 올림픽 개최국의 입장에서 이는 실행될수 없는 일이었다.[1]
이에 비해 웰터급 이상 체급인 신준섭 등은 메달권에서 벗어난 것으로 평가되어 1회전 통과부터 한줄 기사에 불과했다. 그러다가 문성길, 김동길이 탈락한 이후에는 복싱의 메달 획득이 어렵다는 분위기가 나왔지만, 다크호스 신준섭, 전칠성, 안영수가 선전한다. 신준섭은 우간다, 캐나다, 나이지리아, 푸에르토리코 선수를 차례로 물리치고 결승에서 미국의 버질 힐과 만나 일대접전을 펼쳤다. 승부는 판정으로 결정되었는데, 미국이 홈인 상황에서 판정으로 간다는 것이 곧 패배로 인식된 것인지 결과발표 전 신준섭은 고개를 숙였고, 버질 힐은 의기양양한 표정을 지었다. 하지만 결과는 기대 밖으로 신준섭의 판정승이었다.
이렇게 대한민국 복싱 첫 금메달이 탄생했다. 이후 신준섭은 1986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은퇴하고 현재 미국에 이민을 가서 살고 있다.
3. 수상 기록
[1] 4년 후 서울올림픽에서는 입장이 바뀌어 복싱 라이트 미들급 결승에서 미국의 로이 존스 주니어가 한국의 박시헌에게 우세한 경기를 펼쳤지만, 박시헌이 금메달을 수상해 논란을 빚었다. 일각에서는 이 판정이 LA 올림픽 복싱에서 미국이 보였던 노골적 편파판정에 대한 복수였다는 평을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