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철/디스코그래피/정규 및 비정규 앨범
1. 무한궤도 시절
1.1. 1집 <우리 앞의 생이 끝나갈 때> (1989년 6월)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 앞의 생이 끝나갈때>는 타이틀곡의 제목으로, 앨범 자체의 이름은 아니다. 스테레오 LP, 카세트테이프, 스테레오 CD와 음원으로 발매되었다.
1989년 3월부터 5월까지 서울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1989년 6월에 제작된 음반이다.
총 10곡이 수록되어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1번 트랙 <우리 앞의 생이 끝나갈때>(3분 58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3번 트랙 <비를 맞은 천사처럼>(4분 58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조현찬)
4번 트랙 <소망은 그 어디에>(4분 57초 / 작사 조형곤, 작곡 조현찬)
5번 트랙 <어둠이 찾아오면>(4분 30초 / 작사 정석원, 작곡 정석원)
6번 트랙 <조금 더 가까이(부제: 쪼금 더 가까이~)>(3분 41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7번 트랙 <거리에 서면>(4분 08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정석원)
9번 트랙 <끝을 향하여>(5분 44초 / 작곡 조현문)
10번 트랙 <움직임>(2분 57초 작곡 조현문)
멤버별 파트와 제작진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신해철: 리드보컬, 리드기타, 배킹보컬
김재홍: 신디사이저, 시퀀서 프로그래밍, 보컬
조현문: 신디사이저, 시퀀서 프로그래밍, 보컬
정석원: 피아노, 신디사이저, 배킹보컬
조형곤: 베이스기타, 신디사이저 베이스, 배킹보컬
조현찬: 드럼, 퍼커션, 배킹보컬
프로듀서: 신해철, 무한궤도
어레인지먼트: 무한궤도
엔지니어링: 이진영
믹싱: 이진영
사진: FOCUS
아트 디렉터: 김호철
매니지먼트: 유재학
객원: 남성교회 어린이성가대, 김복순(코러스), 김진희(코러스), 김태원(<끝을 향하여> 리드기타)
현재까지 발매된 포맷 중 카세트테이프는 1992년 6월, 대영기획 레이블로 발매된 버전이 중고판매되고 있다. 음반 생산은 한국음반이 담당했다. 카세트테이프 자체의 제식코드(?)는 HDY-006. 카세트테이프에는 1번부터 5번 트랙은 Side A에, 6번부터 10번 트랙은 Side B에 편성되었다. 이 편성은 LP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스테레오 CD로 발매된 버전의 제식코드(?)는 DYCD-2001이며, 레이블은 대영에이브이, 생산은 SKC가 담당했다.
최초로 발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포맷인 LP는 제식코드(?) HC-200434이며, 한국음반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2. 신해철 1집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 (1990년 5월)
문서 참조.
3. <Myself> (1991년 3월 20일)
본 음반부터 신해철의 디스코그래피 전반에 걸친 컨셉트 앨범 행보가 본격화된다. 앨범에 별도의 제목이 붙은 것도 바로 이때부터. 또한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평론'이 앨범 커버(또는 북클릿)에 인쇄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이다. 본 음반에는 당시 팝 칼럼니스트로 일하던 이영주의 평론이 인쇄되어 있다.
본 음반은 서율레코딩스튜디오에서 1990년 12월부터 1991년 2월까지의 기간 동안 제작되었다.
무한궤도 1집, 신해철 1집과 마찬가지로 LP(HC-200482)는 한국음반에서 생산했으며, 동 LP는 당시 기준으로 신형 커팅머신인 SX-74로 제작되었다. 카세트테이프(DYC-008) 역시 앞서 2개의 음반과 마찬가지로 대영에이브이에서 생산하였다. 또한, 신해철 1집의 경우와 같이 카세트테이프 판매(소매점 공급 추정)는 예전미디어에서 담당하였다. CD로도 발매되고 음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유고집 형식으로 발매된 <마왕 신해철>의 부록에 의거하면 최초 발매일은 1991년 3월 20일이다.
제작진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신해철: 프로듀싱, 전곡(全曲) 작사, 어레인지먼트, 실연(實演), 신디사이저, 어쿠스틱 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일렉트릭 기타, 드럼, 퍼커션, 베이스 연주, 베이스 프로그래밍, 코러스
유재학: 책임프로듀서
성지훈: 공동프로듀서, 코러스
이정식: 색소폰 솔로
정석원: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피아노, 코러스
민재현: <그대에게> 베이스,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베이스
반상균: <그대에게> 일렉트릭 기타,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일렉트릭 기타
민병직: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드럼
박청귀: <아주 오랜 후에야> 일렉트릭 기타
김의석: <길 위에서> 어쿠스틱 기타
윤종신: 코러스
김태우: 코러스
한아로: 코러스
김혁경: 코러스
송주한: 코러스
최세영: 레코딩 엔지니어링, 믹싱 엔지니어링
노양수: 어디셔널(additional) 레코딩
도정희: 어디셔널(additional) 레코딩
수록곡은 총 9곡으로, LP와 카세트테이프에서는 1번에서 5번 트랙까지 Side A에, 6번에서 9번 트랙까지 Side B에 배치하였다.
1번 트랙 <The Greatest Beginning>(1분 46초)
4번 트랙 <다시 비가 내리네>(4분 12초)
5번 트랙 <그대에게>(4분 23초)
7번 트랙 <아주 오랜 후에야>(3분 55초)
8번 트랙 <50년 후의 내모습>(4분 42초)
9번 트랙 <길 위에서>(6분)
4. <신해철·변진섭>(1991년 7월)
베스트앨범 <Struggling>의 북클릿에서는 "두 가수의 만남이라기보다는 두 회사 사장님들의 만남"으로 평가한 바 있다.
다만, 유고집 <마왕 신해철>의 부록에는 공식 디스코그래피에 편입하고 있어 위키의 정규 디스코그래피 항목에 내용을 기재하도록 한다.
스테레오 LP와 카세트테이프(모두 HDDY-1014)는 현대음향에서, 스테레오 CD(JCDS-0261)는 지구레코드에서 제작하였다. 2019년 1월 22일 22:25 기준으로 음원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총 8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LP와 카세트테이프는 "신해철" 면(面)과 "변진섭" 면(面)으로 구분되어있다. CD는 홀수 4개 트랙은 변진섭, 짝수 4개 트랙은 신해철의 곡으로 편성되었다. 양 면에서 제작사 명칭이 인쇄된 부분 바로 위에는 "Presented by"라고 하여 양 가수의 소속사가 기재되어있다. 신해철 면에는 대영기획, 변진섭 면에는 쌍용기획이 기재되어있다.
신해철 면의 4곡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1번(2번) 트랙 <미소>(3분 50초 / 작사 신재홍, 작곡 신재홍, 편곡 미상)
2번(4번) 트랙 <커피 한잔>(4분 / 작사 신중현, 작곡 신중현, 편곡 신해철)
3번(6번) 트랙 <Jazz Cafe(Remix Version)>(4분 58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편곡 송재준)
4번(8번) 트랙 <안녕(Remix Version)>(3분 59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편곡 송재준)
실제로 음반을 개봉하면 읽을 거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실제로는 "사장님들의 만남" 이라는 평가가 합당하다고 보여지나, 음반에 참가한 음악인들은 최소한 '앨범'이라는 형식에 부끄럽지 않도록 나름 최선을 다한 것으로 평가 가능하다.
팬의 입장에서는 <미소>라는 곡이 희귀성을 가진다.
5. N.EX.T 1~4기 시절
5.1. <HOME> (1992년 6월)
활동 기간 : 1992~1993년
멤버 : 신해철(리더, 보컬, 키보드), 정기송(기타), 이동규(전자드럼), (강석훈(키보드))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r0hVLLzaGt0 : 1집 전곡
https://www.youtube.com/watch?v=a50SPcoRrSY : <인형의 기사 Part II>
https://www.youtube.com/watch?v=p67uMWcIGXk : <도시인>
무한궤도 해산 이후 밴드 포맷으로의 공식 귀환이다. LP(DYS-001), 카세트테이프, CD로 발매되었으며, 2019년 1월 26일 기준 음원서비스도 제공중이다.
음반 제작 과정에서의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다.
프로듀서: 신해철, N.EX.T
공동프로듀서: 성지훈
전곡(全曲) 작사·작곡: 신해철, N.EX.T(<집으로 가는 길(작사 신해철, 작곡 정기송)> 제외)
어레인지먼트: 신해철, N.EX.T
매니지먼트: 유재학
공식 멤버들의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다.
신해철: 신디사이저, 피아노, 보컬
정기송: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이동규: 어쿠스틱 드럼, 일렉트릭 드럼, 팀파니, 보컬
총 10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P에서는 1번부터 5번 트랙까지 SIDE A, 6번부터 10번 트랙까지 SIDE B에 수록되어 있다.
모든 곡에 영문(英文) 제목이 부기(附記)되어있는 점이 특징이다.
SIDE A
1번 트랙 <인형의 기사 PART Ⅰ(inst) THE KNIGHT OF A DOLL PART Ⅰ>(2분 35초)
2번 트랙 <인형의 기사 PART Ⅱ THE KNIGHT OF A DOLL PART Ⅱ>(4분 30초)
SIDE B
6번 트랙 <증조 할머니의 무덤가에서(inst) AT THE GRAVE OF GRANDMA>(1분 56초)
7번 트랙 <아버지와 나 PART Ⅰ FATHER AND I PART Ⅰ>(7분 50초)
9번 트랙 <아버지와 나(INST) PART Ⅱ FATHER AND I PART Ⅱ>(2분 50초)
10번 트랙 <영원히 FOREVER>(4분 34초)
5.2.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1994년 5월)
활동 기간 : 1994~1995년 여름…멤버 구성원이 다 갖춰져 있지 않아서 독재를 했던 때가 있었고… …멤버 구성원들이 혼란을 일으켜서 거의 솔로 앨범이나 마찬가지로 끌고 가야 하는 시절이었구요.…
―『신해철의 쾌변독설』에서
멤버 : 신해철(리더, 보컬, 키보드), 임창수(기타), 이동규(베이스), 김선중(드럼) - 레코딩
신해철(리더, 보컬), 김세황(기타), 김영석(베이스), 이수용(드럼) - 실제 활동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https://www.youtube.com/watch?v=vh1YaUskyWQ&t : 넥스트 2집 전곡
https://www.youtube.com/watch?v=FD8sQEYJfJ4 : <껍질의 파괴>
https://www.youtube.com/watch?v=PR0Rug5QVic : <The Ocean : 불멸에 관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X41UVzR1qI : <날아라 병아리>
이하의 내용은 한정판매본 LP(DYL-033)에 게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한다.Now we got a question for you, What is being… It will not take long to bury rest half of the legend into your heart. We hope that we can be in contact with you in more enlarged world.
SIDE A
1번 트랙 <The Return of N.EX.T(instrument)>(1분 02초)
드럼: 이동규
1995년 발매된 「Live Concert Chapter ①」 에
2007년 12월, 데뷔 20주년 공연 「Electric Circus」의 2부 오프닝으로 실연(實演)되었다.
신해철: 작사, 작곡, 키보드, 리듬기타, 리드보컬, 배킹보컬
이동규: 베이스기타, 배킹보컬
임창수: 리드기타, 배킹보컬
이수용: 드럼, 배킹보컬
정기송: 리듬기타
2018년 12월 2일, 데뷔 30주년 공연에서도 실연(實演)되었다.
이동규: 베이스기타, 배킹보컬
임창수: 리드기타
이건태: 드럼
이주영: 배킹보컬
샤우트: N.EX.T & Friend
1995년 발매된 「Live Concert Chapter ②」 에 수록되었으며, 다수의 공연에서 실연되었다.
이동규: 베이스기타, 배킹보컬
임창수: 리드기타, 배킹보컬
김선중: 드럼
코러스: N.EX.T & Friend
「Live Concert Chapter ①」에도 수록되었으며, 「ReGame?: the 2nd fan services」 7번 트랙으로 리메이크되었다. 다수의 공연에서 실연된 바 있다.
5번 트랙 <날아라 병아리>(5분 09초)
이동규: 리드보컬, 배킹보컬
임창수: 리드기타
이수용: 심벌즈
김우관: 하모니카
「Live Concert Chapter ②」, 「R U Ready?: The First Fan Service」에 라이브 버전으로 수록되었고, 「ReGame?: the 2nd fan services」 5번 트랙으로 리메이크되었다.
이동규: 작사, 베이스기타, 배킹보컬
임창수: 리드기타
김선중: 드럼
정기송: 리듬기타
코러스: N.EX.T & Friend
「Live Concert Chapter ①」에 라이브 버전이 수록되었다.
이동규: 구상
이승민: '컴퓨터' 음성, 'FN2010 유닛' 음성
원 제목은 <정자의 비행>이었으나, 심의기관원의 끈질긴 설득과 읍소(?)에 의하여 제목이 변경된 사연이 있는 곡이다.
이동규: 베이스기타
임창수: 일렉트릭 기타
이정식: 플루트
김선중: 드럼
「Live Concert Chapter ②」, 「R U Ready?: The First Fan Service」에 라이브 버전으로 수록되었고, 1997년 12월 31일 공연을 VHS 포맷으로 기록하여 판매한 「The Show must go on...」에도 수록되었다. 또한, 2018년 12월 2일 데뷔 30주년 공연에서는 플루트까지 라이브로 연주하는 기행(?)이 벌어졌던 바 있다.
배킹보컬 & 이펙트: 넥스트, 이주영, 전람회, Danny Kim, 정경진, 조성민, Kobayashi
레코딩 엔지니어: 박주익, 오원철, Maeda, Inomata, Nagai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김헌기, 이상용
믹싱 엔지니어: Nagai
마스터링 엔지니어: Harada
기타 테크니션: 정경진, Todd Keenan
키보드 테크니션: 곽영호, Danny Kim, 김유성
드럼 테크니션: 박강영
대영에이브이스튜디오 매니지먼트: 김경남, 임경민, 염혜선
대영에이브이프로덕션 매니지먼트: 여학연, 장세익, 임종국, 서미애, 박미경
Humble Heart 매니지먼트: Kobayashi
사진: 안성진
디자인: 전상일 with JAM(심볼 & 로고 C.G. 그래픽)
아트워크: 명진애드
프로듀서 겸 디렉터: 신해철
5.3. 3집 <The Return of N.EX.T Part 2: World> (1995)
활동 기간 : 1995년 여름~1996년 겨울
멤버 : 신해철(리더, 보컬), 김세황(기타), 김영석(베이스), 이수용(드럼)
세션 : 김유성(키보드), 장기순(키보드)
5.4. 4집 영혼기병 라젠카 OST/넥스트IV <Lazenca - A Space Rock Opera> (1997) 그리고 해체
활동 기간 : 1997년 11월~1997년 12월 31일(1997년 공식적으로 해체)…팀워크가 와해되는 바람에 혼자서 끌고 가야 하는 상황이 있었어요.… …팀워크가 붕괴돼서 저 혼자 싸워야 하는 그런 시점으로 몰렸는데,…
―『신해철의 쾌변독설』에서
멤버 : 신해철(리더, 보컬), 김세황(기타), 김영석(베이스), 이수용(드럼)
세션 : 김유성(키보드), 장기순(키보드)
6. 노땐스 시절
6.1. 노땐쓰 1집 <골든힛트> (1996)
Welcome to the 'Nodance Hospital'
안녕하십니까? 프로이드입니다. CD에서는 저 위에 풍선 속에 있던 대사인데 Tape라 좁아서 이리로 왔습니다.
'Nodance Hospital'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우측에 보이는 환자 두마리를 소개합니다.
진단결과 이들은 완전히 맛이 갔습니다. 이들이 하는 말은 모두 dog소리입니다.
만약 이 친구들의 말에 함께 춤을 춘다면 당신도 확실히 맛이 간겁니다. 주의하십시오. 절대 춤추지 마십시오.
뜬세상 구름같고 백년도 꿈이어니 이가운데 사는우리 풀끝에 이슬일세
옛사람 한밤중에 칼집치며 노래하니 부귀영달 누리기도 허수한 장난일세
멀고 험한 길 헤쳐 달리는
사나이 기개가 어찌 크지 않으리오.
우리의 바램 이루어 가리
온땅에 때가 이르러 봄이 다시 오는도다.
Saturday night fever!
Plan-ver9.1 from outer space
오늘도 불철주야 금을 캐러 나선 여러분.
안전사고에 대비해 안전모를 꼭 착용하세요.
옆 사람들 처럼 정신나간 뒤에 착용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주의 - 부작용
I can't dance. I'm not a dancer. So, I'm 'Nodance'
거문고 소리 담아하여 옛 정취를 얻을수 있고
마음이 청한하여 오묘한 항내를 맡으리라.
I can't dance. I'm not a dancer. It's good enough. bye. bye...
음악작당자 명단
Produced by : 노댄스/Nodance
Co-produced by : 김유성
Written by : 노단수 & 박창학
Composed, arranged & performed by 노땐쓰/Nodance
Management by : 박진, 임빈, 김종수, 이성훈
Executive producer for Revolution NO.9-김경남
Nodance are(절대 무순) :
윤상 : Keyboards, Computer programming, voice
신해철 : Keyboards, Computer programming, voice
Guests(절대 가나다 순) :
김유성: 애디쇼날 Programming 및 기타 등등 여러가지
손무현: 키타
이정식 : 색소폰
Mixed by Gary Langan(오방 비싸다)
Assistant : 이은석
Recorded by 마기사(본명 이유억), 이은석 for universal studio
Additional recorded by 박호일 for 장충스투디오
Assistant : 홍장욱
Recorded at Universal Studio(속 마장 스투디오) 96.9.1.~9.12. * 현관에서 마기사를 찾아 주세요. (남녀 파트너 확실히 책임집니다)
Nodance uses : Emulator 2, Vintage keys, SP-1200 / Oberheim Expander, Matrix 6, Matrix 1000, Sequencial Prophet 5, Prophet VS / Mini moog, Midi mini, Korg VC-10 vocoder, 01W / Yamaha RM-50, SY-99, Akai S 3200, S3000, CD3000, S1100, MX1000, Roland TR 909, TB-303, JV-1080, Jupiter-8, Macintosh Computer & Logic Program, Atari Computer & Notator Program
Sorry to : 워커힐 호텔 관계자 여럽누. 이 담에 안 어지를게요. 박진, 임빈, 이성훈 등 불쌍한 매니저들-어쩌겠어. 배째. 녹음기간 동안 생과부된 girl friends...이것도 팔자려니 하라구. → 윗 줄은 윤상과는 아무 상관없음.
Special Sorry to : Gary Langan-증말 미안혀! 김유성-X뺑이쳤다. 박창학-사랑해! 그니까 용서해! 유니버살의 모든 식구들-내 이름만 나와도 이를 간대매?
기나긴 스탭롤(?)의 내용을 보시면 알겠지만, 정말 '답다'.시각작당자 명단
전상일-총시각두목. 시각개념잡기, 도안, 배치하기, 손그림, 컴퓨터그림, 로고만들기
Jeon, Sang-il : art director. visual concept, design, layout, illust, computer graphic, logodesign
정환-시각부두목. ('기계예수' 메카닉 디자인, 그림)
Jeong, Hwan : second designer('mechanic jesus' design, illust)
권도형-사진두목. Kwon, Do-Hyoung : chief photographer
오정석-사진부두목. Oh, Jeong-Seok : first photogrpher
홍가림-사진조직원. Hong, Ga-Lim : second photographer
고영준-사진협조. Go, Young-Joon : photography cooperation
류지원-복장, 분장두목. Ryu, Gi-Won : chief stylist
정유미-복장, 분장담당. Jeong, You-Mi : coordinator
안미현-복장, 분장담당. An, Mi-Hyun : coordinator
의상협찬-닉스 셔츠 앤 타이(신촌점), 사딕(압구정), 나인식스. Clothing Support : nix, shirts & tie, sadik, ninesix
백건우-모델잡기. Baik, Gun-Woo : Model Casting
Music Video Team
뮤직비디오 감독-정아미(질주). Music Video Director : Jeong, A-Mi
뮤직비디오 감독-고현수(기도). Music Video Director : Go, Hyun-Soo
전.시.공이 감사드려요
언제나 믿음직한 박부장과 위대한 명진 시스템. 영원하라. 항상 좋은 작품으로 말없이 분발시키는 주연선배=굿 디자이너.
21세기 한국의 영상을 책임질 민병천, 정아미 감독. 뭘 해줘서 감사함이 아니예요. 좋은 작품은 무언의 자극! 다음 작품을 기대합니다.
괴상하고 악랄한 착취를 참아준 착한 바보 전.시.공의 스텝들. 디자이너란 무엇일까? 디자인이란 무엇일가? 하면 할 수록 모르겠다.
전부 다 검열에 짤린 속지의 나의 사랑하는 글들이여 안녕. 징그럽게 미운 웬수 해철 옹, 편안한 상 옹. 두 명의 J. E. 부디 행복하길...
카세트테이프(KST-6074 PA)와 CD로 발매된 음반이다.
카세트테이프는 '앞면'과 '뒷면'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작성자가 거주지에 보유중인 카세트테이프를 기준으로 트랙들을 열거하겠다.
앞면
二. 질주(3분 50초)
三. 자장가(4분 52초)
四. 월광/Moon Madness(6분 28초)
六. 반격(4분 19초)
七. drive(5분 2초)
八. 달리기(3분 38초)
九. 시장에 가면(참 건전한 가요(0분 0초))
7. 솔로 3집 <Crom's Techno Works> (1998)
8. <Monocrom> (1999)[5]
9. Wittgenstein 시절
9.1. 1집 <Theatre Wittgenstein Part.1: A Man's Life>(2000)
활동 기간 : 2000~2002년
멤버 : Crom(aka 신해철)(보컬), Devin[6] (기타), Vin-K[7] (키보드)
세션 : 윤수희(드럼)[8]
1. Theatre Wittgenstein Part 1
2. 백수의 아침
3. Friends
4. Theatre Wittgenstein Part 2
5. 오버액션 맨
6. Cynical Love Song
7. 수컷의 몰락 Part 1
8. Theatre Wittgenstein Part 3
9. 소년아 기타를 잡아라
10. The Pressure (압박)
11. 수컷의 몰락 Part 2
12. Dear My Girlfriend
Wittgenstein are
: Crom (Programming, Guitars, Vocal)
Devin Lee (Guitar & Bass)
HyungBin Lim (Keyboards, DJ, Vocal)
Produced by Crom (Shin Hae Chul)
Written, Composed, Arranged and Performed by WITTGENSTEIN
Engineered and Mixed by Crom
Assistants : Devin Lee, HyungBin Lim
Mixed at Cromotrom (NY, USA), Baxter Street Recordings (NJ, USA)
Mastered by Ted Jenson at Sterling Sound
Digital Imaging : Danial Lee (www.daniellee.com)
Photographer : Daniel Lee (Cover), KiHyun Lee (Booklet)
Art Direction and Design: 吳自畵의 神風
Hair Designer : Fannie Lee (ILWAELLE, NY)
Make Up Artists : Sueane Mun, 이현주
Executive Producer : 김남훈
Management : BIGBANG MUSIC (김현태, 김미연, 김남훈)
E-Mail : Crom - cromshin@hotmail.com
Devin - hanlee001@hotmail.com
HyungBin - limvinc@hotmail.com
Web Site : www.crom.ntv.co.kr
Crom thanks to: Spacial thanks to...
나의 싸부들: 성지훈, 김태원 (부활), 곽영준, 허수경 외 90명
친구들 명단: 양민수, 최문석, 이보영, 문재웅, 이경한 외 240명
무한궤도 (김재홍, 조현문, 조현찬, 양두현)
제자들 명단: 민지현, 김희선 외 8명
Girlfriend 명단: Y, K, L 외 인원 미상
스폰서 명단: MIDI AND SOUND, 알렉스 코리아, 이고 시스템 외 도움은 받았으나 이미 기억나지 않는 각 회사들
후견인 명단: 남궁연, 최광일 외 다수
앨범을 만드는데 훼방을 놓아 주신 분들: 블리자드 (디아블로), 웨스트우드 (녹스), 토탈워 (쇼군)
그 외 많은 만화가 분들
다음 앨범을 만들때 심각한 지장을 주실 분들: 이 판 않[9]
사고 MP3 다운받는 씹새끼들. 나는 흙파서 판 만드냐?
Devin Lee Thanks to :
My family, John Lee, Min Jin Wook, Paul Jones, "Sheriff", Passion Green, "Ferran's Comin" Park, Jude Park, Tareq "Monk" Naourl, Kevin, Fannie, Ki Hyun "GO GO GO" Lee, Ceazar Hernandez, John(Yo Danks) Kin, Hyun Joo Lee
And everyone I forgot. I'll get you next time.
Special Thanks: My Wittgenstein brothers : CROM, VINK, "The Man" Kim Nam Hoon, and "MY" Yeun Jin
Hyung Bin thanks to:
나의 방황을 묵묵히 지켜보고 계시는 하나님, 사랑하는 울 가족, 부족한 나에게 기회를 주었던 연이형, 보고싶은 동률이형, 한국에서 수고하시는 미연누나, 지훈이형, 김현태실장님, 최광일실장님, 넘 착한 희선누나 (좋은 남자 만나야 할꺼인디~), 똑똑한 지현이, 나에게 scratch를 전수해준 싸부 써니형 그리고 대중이형, 공연때 수고해줄 'OHN'의 호준이형 그리고 수희, 민섭이형, 건웅이형, 승현이형, 나의 부랄친구들: 강희, 정훈이, 준호, 동훈이 그리고 상욱이, kazuki, yosi, mune '먼 땅에서 정말 수고 많았던 wittgen-4형제.. 해철이형: 너무나 부족한 막내땜에 먼 이국땅에서 따따블로 고생한.. 그럼에도 항상 든든하게 울타리 역할을 해준 큰형.. 넘 고마와. devin : you always inspired me to greater efforts. ^^' .... and i could have beautiful memories because of your scrupuious care, i greatly appreciate your kindness. 훈이형 : 다 잘 될꺼라고 서로 격려하며 보내던 시간들.. 먼 훗날 웃으며 얘기할 때가 오겠죠. 너무나 어린 아무것도 모르는 날 아쉬워하던 형.. 뭐라 감사해야할지.. 그리고.. 뻔한 나의 허풍까지도 모르는척 믿어주었던 사랑하는 나의 '또빠시'....
10. N.EX.T 5기 준비위원회(a.k.a 신해철과 개떼들)~6기 시절
10.1. 5집 <The Return of N.EX.T Part 3 : 개한민국> (2004)
활동 기간 : 2002~2003(넥스트 준비 위원회, 앨범 발매 이전), 2004~2005
멤버 : Crom(보컬), 안회태(기타), Devin(기타), 쇼기(베이스), Vin-K(키보드), 쭈니(드럼) (넥스트 준비위원회)
→ Crom(보컬), Devin(기타), 쌩(베이스), 동혁(aka 해리)(키보드), 쭈니(드럼) + 김세황(2005년 가을부터 기타)
10.2. 5.5집 <ReGame? - The 2nd Fan Service> (2006)
활동 기간 : 2006
멤버 : 신해철(보컬), 김세황(기타), Devin(기타), 김영석(베이스), 지현수(키보드), 이수용(드럼)
10.3. 6집 Part 1 <666 Trilogy Part I> (2008)
활동 기간 : 2007~2008(앨범 발매 이전), 2008~2011(2011년 해체)
멤버 : 신해철(보컬), 김세황(기타), 제이드(베이스), 지현수(키보드), [10] , 김단(드럼)
11. 솔로 5집 <The Songs For The One> (2007)[11]
그냥 순수한 아날로그와 재즈 사운드에 대한 접근 이외에 별다른 목적이 없었어요. 어떻게 본다면 음악이라는게 정말 그렇잖아요.…그러니까 그 앨범은 저한테는 휴식같은 앨범인데,…
―『신해철의 쾌변독설』에서
12. 솔로 6집 Part 1 <Reboot Myself Part 1> (2014)
13. 솔로 6집 Part 2 <Reboot Myself Part 2> (발매예정)
14. 그리고 남은, 신해철의 유산
14.1. 넥스트 유나이티드 EP <> (발매예정)
활동 기간 : 2013~2014.6 (넥스트 7기)
2014.8~(N.EX.T Utd.)
넥스트 7기 멤버 : 신해철(보컬), 박웅(기타), 제이드(베이스), 홍성민(건반), 김단(드럼)
→신해철(보컬), 이현섭(보컬 & 멀티), 정기송(기타), Tommy Kim(기타), 제이드(베이스), 홍성민(건반), Shinji(드럼) + 김영석(Also Bass)
14.2. 넥스트 유나이티드 7집 <> (발매예정)
15. 베스트 앨범
15.1. 10주년 앨범 <더 베스트 오브 신해철 스트러글링-孤軍奮鬪 The Best of Shin Hae-Chul - Struggling> (2002년 9월)
CD와 카세트테이프(EKLC-0074-1~3), 음원으로 발매되었다. 갓 발매되었을 당시에는 「Be My Best」라는 제목의 공연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CD와 카세트테이프의 음반으로서의 구성은 동일하며, CD에는 일종의 뮤직비디오 VCD가 들어있어 총 4장의 CD가 1장의 음반을 구성한다.
CD에는 기존의 음반에서 활용했던 아트워크를 활용한 메이저 타로카드가 동봉되어있다.
우선 이하의 내용은 카세트테이프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TAPE-1 : ROCK(EKLC-0074-1 07243 539971 4 4)
- 그대에게(4분 24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Myself」 5번 트랙
SYNTHESIZER, DRUM PROGRAMMING 신해철
BASS 민재현
ELEC. GUITAR 반상균
& "THE CHORUS"
신해철 Keyboards, Rhythm Guitars, Lead & backing vocals
이동규 Bass, Backing vocals
임창수 Lead guitars, Backing vocals
이수용 Drums, Backing vocal
정기송 Rhythm guitars
신해철 Keyboards, Rhythm Guitars, Lead & backing vocals
이동규 Bass, Backing vocals
임창수 Lead guitars
이건태 Drums
이수용 Backing vocals
Chorus N.EX.T & Friends
05 Komerican Blues(4분 43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2번 트랙
06 The age of no god(3분 18초) : Written, Composed b Shin Hae Chul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5번 트랙
B
- 내 마음은 황무지(5분 50초) : Written & Composed by 김창훈, Arranged by 신해철, Original Song's performed by 산울림 from 「정글스토리」 2번 트랙
신해철 Elec. guitars, Moog, Bass, Keyboards, Computer Prg, Lead & Backing Vocals
이정식 Flute
03 The Power(5분 5초) : Written, Composed and Arranged by CROM from 「N.EX.T Ⅳ - Lazenca - A Space Rock Opera」 3번 트랙
04 R. U. Ready?(5분 5초) : Written, Composed and Arranged by CROM
05 Machine Messiah(8분 41초) Written, Composed and Arranged by CROM from 「MONOCROM」 4번 트랙
CROM : Editing, Programming, Synth, Lead & Backing vocal, Talking
Chris Tsangarides : Elec.guitars & Fretless Bass
CROM : Voice, Loops, Programming
Devin : Guitars
HyungBin : Rhodes Piano, Scratch, Moog, Bass
TAPE-2 : POP(EKLC-0074-2 07243 539971 4 3)
- 안녕(3분 32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신해철 1집」 6번 트랙
ALL INSTRUMENTS BY Shin Hae Chul
SAX SOLO : Lee jung-sik
ALL INSTRUMENTS BY Shin Hae Chul
05 아주 가끔은(4분 8초) : Written, Composed & Arranged by Shin Hae Chul from 「정글스토리」 6번 트랙
All Instrument, Lead & Backing vocals by Shin Hae Chul
Rapin' 정여진, 유금덕 Rapin'
07 The Hero(6분 32초) : Written, Composed & Arranged by CROM from 「N.EX.T Ⅳ - Lazenca - A Space Rock Opera」 8번 트랙
B
- 50년 후의 내 모습(7분 23초) : Written, Composed by Arranged by CROM from 「Crom's Techno Works」 CD1 2번 트랙
CROM : All lead & Backing vocals, Moog solo, Keyboards & Computer Programming
CROM : All lead & Backing vocals, 12 Strings guitar, Feed back guitar solo, Keyboards & Computer Programming
Phil Nicholas : Additional Programming
CROM : Editing, Programming, Synth, All lead & backing vocals, Talking
Chris Tsangarides : Elec. Guitar, Bass
CROM : Editing, Programming, Synth, vocoder, All lead & baking vocals except 'The birds song' voices in part2&4
Chris Tsangarides : Elec. Guitar, Bass
Sori1, 2 Yu mili, Kang Gwunsoon(in order of appearance)
Jang Jaehyo : 'poomba' vocal on part2
YoungChi : Kwanggari, Jango
Lee Younggu : Daegum, Taepyungso
"Buk" sampled by CROM
"Jango" sampled by CROM, Christ, Namgoong Yun
Part 2와 4의 멜로디와 가사는 "새타령"의 일부를 사용하였음.The lytics and vocal line of Part2 is extrac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ng "Saetaryung"
TAPE-3 : BALLAD(EKLC-0074-3 07243 539971 4 2)Composed, Arranged, Performed, Programmed, Recorded by Shin Hae Chul(a.k.a. Crom)
Mixed by Shin Hae Chul(a.k.a. Crom)
Assisted by Kim Nam Hoon
Additional Guitar by Devin Lee
꽹과리 sampled by Min Youngchi
대금, 날라리 by Lee yonggu
함성 by 붉은악마들
함성 recorded at SH Club(대학로) by 성지훈
Recorded & Mixed at Cromotron NY, Baxter Street Recordings
Mastered by George Marino, Sterling Sound, NY
- 우리 앞의 생이 끝나갈 때(4분 4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무한궤도 1집」 1번 트랙
03 내 마음 깊은 곳의 너(4분 49초):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Myself」 6번 트랙
SYNTHESIZERS 신해철
PIANO 정석원
BASS 민재현
ELEC. GUITAR 반상균
DRUMS 민병직
& "THE CHORUS"
05 아버지와 나 Part1(7분 49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HOME」 7번 트랙
06 The Dreamer(5분 1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4번 트랙
신해철 Piano, Keyboards, Rhythm Guitars, Lead & Backing vocals
이동규 Bass, Backing vocals
임창수 Lead guitars, Backing vocals
김선중 Drums
Chorus N.EX.T & Friends
신해철 Keyboards, Lead & Backing vocals
이동규 Lead & backing vocals
임창수 Lead & guitars
이수용 Cymbals
- The Ocean(6분 43초) : Written, Composed by Shin Hae Chul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8번 트랙
신해철 Keyboards, Lead & backing vocals
이동규 Bass
임창수 Elec guitars
정기송 Acc. guitars
이정식 Flute
김선중 Drums
신해철 Bass guitar, Keyboards, Lead vocals
김동률 Piano
김세황 Lead & Rhythm guitar
이수용 Drums
Choir coordinated by 강석훈
Sophrano 서정아, 김은정, 안성민
Tenor 이현종, 남성원
04 먼 훗날 언젠가(4분 9초) : Written, Composed & Arranged by CROM from 「N.EX.T Ⅳ - Lazenca - A Space Rock Opera」 4번 트랙
05 일상으로의 초대(6분 28초) : Written, Composed & Arranged by CROM from 「Homemade Cookies & 99 CROM LIVE」 DISK 3 5번 트랙
CROM : All lead & backing vocals, Keyboards & Computer Programming
Phil Nicholas : Additional Progamming
15.2. 20주년 앨범 <SHIN HAE CHUL 20th Anniversary - Remembrance> (2008)
15.3. <넥스트 신해철 Reboot Yourself> (2014)
15.4. <WELCOME TO THE REAL WORLD> (2015년 10월 25일)
생전과 사후를 통틀어 마지막으로 LP 형태로 발매된 음반이다. 적어도 2025-01-14 17:22:30 현재까지는.
음반의 형태로는 LP(DYLP-1312)와 CD(DYCD-1322)로 발매되었으며, 음원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Melon에서 제공하는 음원은 IM-100S 스마트폰과 호환이 잘 되지 않는지 디스크 및 트랙 정보가 꼬여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주의를 바람.
각 곡별 파트 분담과 관련하여 원곡이 수록된 음반과 「WELCOME TO THE REAL WORLD」의 북클릿 수록 내용이 상이한 경우가 있는데, 별도의 저작권 변동이 없었다면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음반 전체 관점에서의 스태프들은 다음과 같다.
책임프로듀서: 권준섭(Kweon junsub, 대영에이브이), 양승선(KCA엔터테인먼트), 윤원희
감독(Supervisor): 황규완
매니지먼트 디렉터: 강용호(Kang yongho)
사진: 강용호, 이중훤(Lee junghuon), 로빈
아트 디렉션 & 디자인: Cry Company
믹싱: 성지훈(Francis Jihoon Seong) @ Music Plant
마스터링: 성지훈(Francis Jihoon Seong) @ JFS Master
LP와 CD를 막론하고 디스크 하나에 수록된 곡의 구성과 목록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서술에서는 LP를 기준으로 한다.
LP.1
임창수: 기타
이동규: 베이스
이수용: 드럼
2번 트랙 <해에게서 소년에게> from 「N.EX.T Ⅳ - A Space Rock Opera」 5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3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4번 트랙 <먼 훗날 언젠가> from 「N.EX.T Ⅳ - A Space Rock Opera」 4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5번 트랙
김세황: 기타
데빈: 기타
김영석: 베이스
지현수: 키보드
이수용: 드럼
B
데빈: 기타
김동혁: 기타, 키보드
쌩: 베이스
쭈니: 드럼
2번 트랙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 from 「MONOCROM」 3번 트랙
3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4번 트랙
5번 트랙 <그대에게> from 「ReGame?: the 2nd fan service」 4번 트랙
김세황: 기타
데빈: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김세황: 기타
데빈: 기타
김영석: 베이스
지현수: 키보드
이수용: 드럼
2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3번 트랙 <아가에게>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11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4번 트랙 <아버지와 나 Part 1> from 「ReGame?: the 2nd fan service」 5번 트랙
김세황: 기타
데빈: 기타
김영석: 베이스
지현수: 키보드
이수용: 드럼
5번 트랙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 from 「신해철 1집」 1번 트랙
B
2번 트랙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from 「Myself」 6번 트랙
3번 트랙 <일상으로의 초대> from 「Crom's Techno Workds CD-02」 2번 트랙
4번 트랙 <조금 더 가까이> from 「무한궤도 1집」 6번 트랙
5번 트랙 <단 하나의 약속> from 신해철 6th_Part.1 「REBOOT MYSELF」 4번 트랙
2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3번 트랙
김세황: 작사, 작곡, 어레인지,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4번 트랙 <도시인> from 「HOME」 3번 트랙
정기송: 기타
이동규: 드럼
B
2번 트랙
성지훈(Francis Jihoon Seong): 어레인지, 드럼 프로그래밍, 신디사이저, 믹싱(@ Music Plant), 마스터링(@ JFS Mastering)
Devin: 기타
조지연: 공동 프로듀스
노종현: 공동 프로듀스
Jade: 공동 프로듀스
Devin: 기타
3번 트랙
이연: 작사
성지훈(Francis Jihoon Seong): 작사, 어레인지, 드럼 프로그래밍, 신디사이저, 믹싱(@ Music Plant), 마스터링(@ JFS Mastering)
박인영: 어레인지, 현악기 지휘(Recorded @ T-Studio)
Jade: 베이스, 공동 프로듀스
조상현: 레코딩(@ 몰스투디오)
이현섭: 레코딩
이재용: 보컬 레코딩(@ 둡둡스투디오)
김세황: 기타
융스트링: 현악기
조지연: 공동 프로듀스
노종현: 공동 프로듀스
4번 트랙 from
성지훈(Francis Jihoon Seong): 어레인지, 드럼 프로그래밍, 신디사이저, 믹싱(@ Music Plant), 마스터링(@ JFS Mastering)
철기군: 합창
레코딩: 배소윤(@ Velvet Recording Studio)
Jade: 베이스, 공동 프로듀스
김세황: 기타
조지연: 공동 프로듀스
노종현: 공동 프로듀스
5번 트랙
6번 트랙 <단 하나의 약속(Demos)>
김종진: 보컬, 기타
푸른하늘: 보컬
신성우: 보컬
김태우: 보컬
김종서: 보컬
신승훈: 보컬
이승환: 보컬
이덕진 : 보컬
서태지: 보컬
정기송: 기타
장호일: 기타
윤상: 베이스
전태관: 드럼
유영석: 키보드
정석원: 피아노
2번 트랙 <인형의 기사 Part 2> from 「HOME」 1번 트랙
정기송: 기타
이동규: 드럼
3번 트랙 <재즈카페> from 「Myself」 2번 트랙
4번 트랙
데빈: 기타
김동혁: 기타, 키보드
쌩: 베이스
쭈니: 드럼
5번 트랙 <이중인격자>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1 The Being」 3번 트랙
임창수: 기타
이동규: 베이스
이수용: 드럼
B
2번 트랙 <그저 걷고 있는거지> from 「정글스토리」 9번 트랙
3번 트랙
김세황: 기타
김영석: 작곡, 어레인지, 베이스
이수용: 드럼
4번 트랙 <민물장어의 꿈> from 「Homemade Cookies & 99 Crom Live Disc 3」 7번 트랙
5번 트랙 <힘겨워하는 연인들을 위하여> from 「The Return of N.EX.T Part 2 The World」 7번 트랙
김영석: 작곡, 어레인지, 베이스
김세황: 기타
이수용: 드럼
15.5. 30주년 앨범 <Ghost Touch> (2018)
2018년 11월 15일, '신해철NEXT United' 계정으로 '해에게서 소년에게 2018' 이 실린 티저 가 공개 되었으며,1988년 대학가요제에서 '그대에게'를 선보인 이후 올해로 30주년을 맞는 신해철의 '새 앨범'.
일주일 뒤인 11월 22일, 폴 길버트가 파트 2 에 수록 될 'The World We Made' 의 기타 솔로를 녹음하는 모습이 담긴 티저 가 추가 공개 되었다.
예정 되었던 12월 24일, 주요 음원 사이트에 《신해철 데뷔 30주년 기념앨범 'Ghost Touch' Part 1》 이란 제목으로 고인의 생전 최애곡 (?) 이였던 '해에게서 소년에게 2018' 을 비롯해 새로이 작업 된 재즈카페, 일상으로의 초대 등이 수록된 앨범이 공개 되었다.
Regame? 앨범에서 리메이크 되지 않은 곡을 위주로 수록되었고[12] , 은근히 알려지지 않은 곡도 리메이크되었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당초 파트 2 앨범은 2019년 1월 24일에 공개 될 예정이였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발매 예정일이 지났음에도 별 다른 소식이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다가 신해철의 생일인 5월 6일에 맞춰 발매된다고 밝혔다. 파트 1은 신해철의 데뷔일, 파트 2는 신해철의 생일 날 발매되는 것이다. 디지털 음원으로 발매한 파트 1과 달리 파트 2는 음반으로도 발매된다.
16. 영화/게임 사운드트랙
16.1. <하얀 비요일> (1991년 6월)
신해철이 전면 프로듀스하거나 작사, 작곡을 하지는 않았고 B면 2번 트랙 <그대의 품에 다시 안기어>를 노래한 곡이다. 따라서 참여음반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며, 이는 향후 토론을 통해 결정하기로 한다.
작성자가 보유한 음반은 LP(ADYL-1001)뿐이며, 카세트테이프와 CD로도 발매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16.2.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1993년)
이 음반은 프로듀스 음반에도 해당된다. LP(DYS-020), 카세트테이프(DYS-020), CD(DYCD-1013)로 발매되었으며, 음원서비스도 제공중이다. 모든 음반은 대영기획 레이블로 발매되었으며, LP와 카세트테이프의 생산은 서라벌레코드, CD의 생산은 SKC에서 담당하였다.
1번 트랙 <코메리칸 블루스>(4분 25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실연(實演) N.EX.T)
2번 트랙 <설레이는 소년처럼>(3분 48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실연 TickTock)
3번 트랙 <푸른 비닐우산을 펴면>(4분 10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실연 N.EX.T)
4번 트랙 <눈동자>(4분 25초 / 작사 신해철, 작곡 신해철, 실연 엄정화)
7번 트랙 <City Riders(연주곡)>(4분 28초 / 작곡 신해철·정기송·이동규, 실연 N.EX.T)
8번 트랙 <하나대 Theme(연주곡)>(3분 20초 / 작곡 신해철·정기송, 어레인지먼트 정기송, 프로듀스 정기송, 실연 정기송)
LP와 카세트테이프의 경우 1번부터 4번 트랙까지 SIDE A에, 5번부터 8번 트랙까지 SIDE B에 편성되었다.
음반 제작 과정상 역할분담은 다음과 같다.
신해철: 디렉터, 피아노, 신디사이저, 샘플러, 컴퓨터 프로그래밍, 배킹보컬, 랩, 프로듀스, 어레인지먼트
정기송: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기타, 배킹보컬, 랩, <하나대 Theme> 프로듀스, 어레인지먼트
이동규: 어쿠스틱 드럼, 일렉트릭 드럼, 배킹보컬, 랩
이정식: 색소폰
도상수: <설레이는 소년처럼> 기타
신윤미: <눈동자> 배킹보컬
성지훈: 공동프로듀서, 배킹보컬
이병철: 랩
강석훈: 랩
박진원: 랩
실연에 참가한 음악인들은 N.EX.T, 신해철, 이동규, 정기송, 엄정화, TickTock이다.
안성진 For JAM: 사진과 커버 디자인
16.3. <정글스토리> (1996)
16.4. <세기말 Fin de Siecle> (2000년 1월)
프로듀스 음반으로도 분류 가능한 음반으로, 구체적인 카테고리 지정은 토론의 영역에 맡긴다.thanks to : "준 뮤지션" 송능한 감독과 모든 영화 스탭 여러분, "오리지널 카리스마" 이태원 사장님과 태흥의 모든 식구 여러분(특히 송……실장님 너무 애썼어용), 잠 안자고 버티지 연속 96시간 기록 수립에 참가한 조규범 기사, 해처리 멤버들(입술 터진 희선이, 폐인 된 형빈이, 집에서 실종 신고한 지현이), 스튜디오 비 깎앙준 무현이, staffs for Cromotron studio, Tom Brick, 새끈한 목소리를 제공 해준 미나,(근데 소개팅은 언제 해 줄 거냐)
카세트테이프(DRMMC-1639)와 CD(DRMCD-1639), 음원으로 발매된 음반이다.
Produced by Crom & Hatchery
Written, composed, arranged, performed & edited by Crom(김의선과 임형빈, 민지현 - "신해철과 해처리"라 불러 주세요)
Computer programming by Crom
Assistants by 김희선, 민지현
Keyboards - Crom, 임형빈, 김희선
Guitar so on "내일로 가는 문" - Devin Lee
Engineered by Crom, 조규범, 임성현
Mixed by Crom
Assistants by 김남훈, 조규범, Hatchery
Recorded at Cromotron Studio, NY. Eolith, Seoul.
Mastered by Tom Brick at Absolute audio, NY
Art Work
Art direction & design : jeon, sang-il@電視空-JESIGONG
2nd designer : o, seung-wook@電視空-JESIGONG
1번 트랙 <The seeds part1-intro>
2번 트랙 <Nocturne-Main theme> voice sampled from "MBC Radio documentary-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3번 트랙 <The seeds part2-"The Casino" >
4번 트랙 <The magic glass part1-"세상은 요지경"> : voice by 미나
5번 트랙 <The seeds part3-"The chemical escape">
6번 트랙 <두섭 Theme 1> 작곡 임형빈
7번 트랙 <내일로 가는 문 part1-"소령 Theme">
8번 트랙 <End of chap.1>
9번 트랙 <내일로 가는 문 part2-"video monster">
10번 트랙 <End of chap.2>
11번 트랙 <Bubble love> : 공동 작사 및 어레인지 신해철, 임형빈
12번 트랙 <내일로 가는 문 part3-"A gazer">
13번 트랙 <두섭 theme 2> 작곡 임형빈
14번 트랙 <The magic glass part2-"A private disaster"> voice by 미나
15번 트랙 <End of chap.3>
16번 트랙 <내일로 가는 문 part4-"Y2K"> 작곡 임형빈
17번 트랙 <두섭 theme 3>
18번 트랙 <The seeds part4-outro>
16.5. <GUILTY GEAR XX #RELOAD KOREAN VERSION ORIGINAL SOUND TRACK>[13] (2003)
16.6. <쏜다> (2007)
16.7. <D-WAR : Legend of Dragon> (2007)
16.8. <워렌전기> (2011)[14]
17. 싱글
17.1. <넥스트싱글 Here, I Stand For You> (1997)
N.EX.T are
Shin Haechul (Lead & Backing Vocals, Keyboards)
Kim Sayhwang (Gutars)
Kim Youngsuk (Bass)
Lee Sooyoung (Drums)
Produced by Shin Haechul for Big Bang
Written, Composed, Arranged by Shin Haechul (Except 'Arirang' .... is korean traditional)
Strings Arranged by Shin Haechul and Yoshino Fujimaru
Guests for Here, I Stand For You
Piano / Kim Kwang Min, A.Sax / Jake. H. Concepcion Strings / Tomoda Kaiaki orchestra Team
Arirang
Kim Duksoo Samulnori Team
Kim Duksoo(Changgo/Taepyungso)
Park An Ji(Kkwaengwari), Kim Han Bok(Jing), Jang Hyun Jin(Puk)
Mixed by Mick Glossop
Recorded by Lee Yu Eog, Kim Eun Seok
Strings and Additional recording in Landmark studio by Mick Glossop
Assistant engineer Hiroaki Sato(Land Mark) / Tomoyuki Morikawa(Humble Heart)
Recorded at Universal Studio, Seoul
Mixed and additional recorded at Landmark studio, Yokohama
Coordinated by Maeda Nobuo for Humble Heart music, Japan
Kim Hunki for Big Bang, Korean
Mastered by Bobby Hata at Disk Lab(On Air Ajabu) Studio, Tokyo
Art direction & designed by Jeon sangil (電視工)
illustration by Kim Seokyung
Executive Produced by Shin Haechul
thanks to : Hwang Sungho, Mick Glossop, Humble Heart guys, Yoshino Fujimaru, Orgnazation Comeetee of Muju-Chonju Winter Universiad Games, Landmark studio Crews, Bobby Hata & on Air friends.
Here, I Stand For You.
Words & Music by Shin Haechul
Performed by NEXT
17.2. <노무현을 노래하다 Part 5 : Goodbye Mr. Trouble> (2012)
17.3. <Reboot the Nation 1.0 - 그대에게 for 문재인+안철수> (2012)
17.4. <I Want It All>(Demo 0.7) (2014)
17.5. <Cry> (2016)
18. 라이브 앨범
18.1. <'91 Shin Hae Chul Myself Tour> (1991)
이 음반은 신해철의 디스코그래피 중에서 최초의 라이브 음반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다만, 사운드 작업 과정에서 잡음(사회적 의미에서)이 있어 신해철 본인으로서는 이 음반을 공식 디스코그래피로 취급하지 않는다는 풍문도 존재한다. 이에 대한 반증으로 2003년 또는 2004년 본 음반에 수록된 <길위에서>를 고스트스테이션 방송으로 송출한 경험도 있어 세부적인 사정을 아는 분들이 해당 내용을 추가 바란다.Special thanks to: "All the casts, staffs, friends and their family. 신해철 후원회(관제탑), 전국 각지 Fan Club 여러분, ~ and all of my fans, I love you all."
프리젠테이션은 대영기획, 음반 생산은 LP 기준으로 현대음향에서 담당하였다. LP의 제식코드(?)는 HDDY-1016. 카세트테이프, CD로도 발매되었으며, 2019년 1월 26일 기준 멜론 등지에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ide 1과 2, Side A와 B가 아닌 Side ●와 ●●로 구분되어 있다. LP 기준으로 1번부터 5번 트랙은 Side ●, 6번부터 9번 트랙은 ●●에 수록되었다.
Side ●
1번 트랙 <50년 후의 내모습>(Myself 9번 트랙 / 5분 35초)
2번 트랙 <아주 오랜 후에야>(Myself 7번 트랙 / 4분 54초)
3번 트랙 <나에게 쓰는 편지 & 안녕>(Myself 3번 트랙 & 신해철 1집 6번 트랙 / 8분 31초)
4번 트랙 <The Greatest Love Of All>(원곡 휘트니 휴스턴 / 2분 50초)
5번 트랙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신해철 1집 1번 트랙 / 5분 05초)
Side ●●
6번 트랙 <연극속에서>(신해철 1집 8번 트랙 / 3분 31초)
7번 트랙 <째즈 카페>(Myself 2번 트랙 / 5분 22초)
8번 트랙 <Rainbow Eyes>(원곡 Rainbow / 3분 30초)
9번 트랙 <길위에서>(Myself 9번 트랙 / 7분 37초)
10번 트랙 <내마음 깊은곳의너>(Myself 6번 트랙 / 6분 36초)
공연과 음반에서의 각 역할별 담당 인물은 다음과 같다.
프로듀서: 신해철
공동프로듀서: 성지훈
일렉트릭 기타: 정기송(훗날 넥스트 멤버), 신해철
베이스기타: 김영석(훗날 넥스트 멤버)
드럼: 이동규(훗날 넥스트 멤버)
피아노: 장기순
신디사이저: 장기순, 박진원
색소폰: 이정식
컴퓨터 프로그래밍: 신해철, 성지훈
코러스: 김인주, 이윤선, 조선희, 성지훈
매니지먼트: 유재학
투어 매니지먼트: 조영철, 김영남
레코딩 엔지니어: 최승복, 성지훈
믹싱 엔지니어: 최승복
사운드 강화: 최용선(반도음향)
조명: 조연조명
밴드 어시스턴트: 조진윤(sun 악기)
개인 매니지먼트: 여학연, 이광호, 서미애, 김소영
헤어 스타일링: LITTLE조 Hair Club
패션 스타일링: Carus(장광효 / 훗날 <안녕, 프란체스카>에서 재회)
커버 사진: 구용범
내지(內紙) 사진: 조남주
디자인: TAG, 김정원
18.2. <The Return of N.EX.T Part 1 - The Being Live Concert Chapter 1> (1995)
1. Opening ~ The Destruction of the Shell
2. 나는 남들과는 다르다
3. The Dreamer
4. 내 마음 깊은 곳의 너
5. Love Story
6. 인형의 기사
18.3. <The Return of N.EX.T Part 1 - The Being Live Concert Chapter 2> (1995)
1. Drum & Bass (solo)
2. 이중인격자
3. 도시인
4. The Ocean
5. 날아라 병아리
6. 그대에게
7. Rock & Roll
8. Rock Cafe
18.4. <N.EX.T Is Alive - The World Tour> (1996)
18.5. <N.EX.T Concert Album - The First Fan Service> (1997)
18.6. <Homemade Cookies & 99 CROM LIVE> (1999년 11월 25일)
Produced & Performed by Monocrom
Mixed by Jihoon Sung
The band
Crom: himself(Monocrom)
Chris Tsangarides : Guitars & Bass(Monocrom)
Steven Stylianou : Guitars
Tim Hole : Keyboards, Vox
Youngchi Min :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 Winds
Jeahyo Chang :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 Vocals
Jaram Lee : Korean Traditional Vocals & backing vocal, Rapping
Engergizer(Jiyoung Ko) : Dancer, Rapper
Duracell(Hyori Chang) : Dancer, Rapper
Hyoungbin Im : Keyboards
and..Yon Namgoong : Drums & Keyboards
Stage Crew(Seoul Concert)
Producer : 최광일 for (주)두비컴, (주)빅뱅뮤직
Co-producer : 김혜진 for (주)두비컴
Sound Director : 성지훈
Lighting Director : 서유성, (주)바디라이트 코리아(이준구 외)
PA Crew : Planet of Sound(성의종, 이해원 외)
Stage Set-up : 영상무대
Musical Instrument Set-up : Sun악기(정광식 외)
Live Recording : 채수일, 장용상 for M.net
Guitar Technician : 김덕수
Back stage crew : 김현태, 김미연, 이원희, 이민재
Security & Guard : (주)트라이씨큐리티(김성태 외)
Coordinator : 김정현 외
Concert Race
대구(4월 16. 17일) : 김학용 for 킴스기획
광주(4월 24, 25일) : 김용남 for 예향기획
대전(4월 30일, 5월 1일) : 이종운 for 예강커뮤니케이션
서울(5월 5일) : 최광일 for (주)두비컴
전주(5월 9일) : 김용남 for 예향기획
부산(5월 15, 16일) : 장길황PD for PSB
창원(5월 22일) : 김학용 for 킴스기획
경주(5월 23일) : 강승효 for 백두문화
Art Work
art director & design : jeon, saing-il@電視空-JESIGONG
2nd designer : o, seung-wook@電視空-JESIGONG
photo director : kang, young-ho@ 想像寫眞館 with JESIGONG
2nd : lee, sang-wook. moon, gui-nam@想像寫眞館
Crom thanks to: Chris Tsangarides, 남궁연, 최공일, 성지훈, 김현태, 김미연, 이원희, 이민재, 이형진, 김국진, Steven Stylianou, Tim Hole, 민영치, 고지영, 장효리, 이자람, 임형빈, 김희선, 김남훈, 김대중 그 외에 일일이 매번 적을 수 없는 많은 고마운 분들 모두에게.
음원에서 언급된 제반 요소를 고려하면 1999의 Monocrom 전국투어 공연 중 5월 5일에 진행된 서울 공연의 실황으로 판단된다.Crom special thanks to : The Fans.
CD와 카세트테이프(DRMMC1626-1~3)로 발매되었으며, 99년 공연 실황 영상은 VHS와 VCD(SPC-144)로 별도 발매되었다. 음반으로서는 CD와 카세트테이프 모두 3매가 한 앨범을 이루는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이하의 내용에서 음반과 관련된 내용은 카세트테이프를 기준으로 수록한다.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WORLD
- 번 트랙
(9분 24초) from 「MONOCROM」 4번 트랙
03번 트랙 (5분 45초) from 「MONOCROM」 6번 트랙
04번 트랙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머야>(4분 34초) from 「MONOCROM」 3번 트랙
B
- 번 트랙 <안녕>(8분 21초) from 「신해철 1집」 6번 트랙 & 「Crom's Techno Works」 CD1 9번 트랙
DISK 2
A
- 번 트랙
(7분 4초)
03번 트랙 <날아라 병아리>(4분 34초) from 「The Return of the N.EX.T PART 1 - The Being」 5번 트랙
04번 트랙 <아주 가끔은>(7분 36초) from 「정글스토리」 6번 트랙
B
- 번 트랙 <나에게 쓰는 편지>(5분 3초) from 「Myself」 3번 트랙 & 「Crom's Techno Works」 CD1 6번 트랙
03번 트랙 <그대에게>(5분 35초) from 「'88 MBC 대학가요제 CAMPUS SONG FESTIVAL」 1번 트랙 & 「Myself」 5번 트랙 & 「Live Concert Chapter ②」 6번 트랙 & etc.
04번 트랙
DISK 3 Homemade Cookies 미발표 곡 모음집
CIRCLE LIFE REMEMBER AVARICE DeATH WAR REPRODUCTION INHUMAN
팬들에게 약속한 Homemade Cookies 앨범을 1년이나 늦게 내게 되었다. 언제 앨범 발매일을 지킨 적이 있었냐는 힐난을 피할 수는 없겠으나, 지금까지의 늦장 부리기 이유가 모두 쫌만이라도 더 잘해보려는 발악이었다면 이번의 이유는 사뭇 다르다. 이 앨범의 수록곡들은 10년 간 발매한 음반들에 수록되지 못한 탈락 곡들이고, 팬 서비스 차원에서 이 미운 오리 새끼들을 가볍게 다듬어 선보이려는 마음은 작업 도중에 여러 번 바뀌어, 결국 상당 기간을 소요했다. 가벼운 기분으로 즐겨주면 좋겠다.
Produced by Crom
Written, Composed, Arranged & Performed by Crom
Engineered by Crom. hunjung Ko for Dream Factory
Mixed by Crom(스티커로 덧대진 부분)
Assistant by Hoon Kim(스티커로 덧대진 부분)
Recorded at Cromotrom Studio, NJ. Dream Factory, Seoul(스티커로 덧대진 부분)
Mixed at Cromotron Studio, NY(스티커로 덧대진 부분)
Mastered by Tom Brick at Absolute Audio, NY
- 번 트랙 <그 들 만의 세상 Part 1>(3분 53초)
03번 트랙 <그 들 만의 세상 Part 3>(4분 50초)
<그들만의 세상>
탈락앨범 : 모노크롬
탈락이유 : 그 당시 기분이 안 좋아서
수정 및 보완 : 안 했음
다시 선곡 된 이유 : 괜히
자평(自評) : 역시 기분이 좋지 않다.
Crom: All lead & backing vocals, Rapping, Elec.Guitar, Bass, Synth, Programming, Editing
Heesun Kim: Programming, Assistant
<너 네가 뭔데>
탈락앨범 : Crom's Techno Works
탈락이유 : 90년대 이후의 테크노의 최신 방법론을 재베한다는 앨범의 방침과 맞지 않음. 게다가 사운드가 당시 휘날리던 몇 몇 밴드와 유사하여 김이 팍 샘.
수정 및 보완 : 연주곡으로 만들어 졌으나 목소리가 추가됨.(연주곡이 더 나았던 것 같아서 또 후회 중.)
다시 선곡 된 이유 : 이런 스타일이 몇몇 밴드의 트레이드 마크를 벗어나 아예 한 장르를 형성함에 따라 굳이 피해 갈 이유가 없어짐.(아이러니다)
자평 : 어쟀든 하고 싶은 얘기는 쫌 했다.
Crom: Vox, Ele.Guitar, Bass, Synth, Programming, Editing
- 번 트랙 <일상으로의 초대>(6분 29초)
<일상으로의 초대(Acc. Version - '왕 닭살 버전')>
탈락앨범 : Crom's Techno Works
탈락이유 : 느끼해서. 원래 어쿠스틱 버전과 일렉트로닉 버전이 만들어 졌으나 앨범에 후자만 실렸었음.
수정 및 보완 : 피아니스트 임형빈과 스튜디오에서 동시에 피아노, 보컬을 녹음.
다시 선곡 된 이유 : 라이브 트랙 중 이 노래를 삭제함에 따른 보상임.
자평 : 간주 부분.. 본인인 나도 역겹다. 웃으며 듣자.
Crom: Vox
Hyoungbin Im : Piano
Recorded at Dream Factory Studio, Seoul
Mixed at Cromotron Studio, NJ
<여름은 쉽게 가버렸다>
탈락앨범 : 신해철 1집('90)
탈락이유 : 당시 팝, 댄스, 소울이 뒤북박죽이 된 사운드에 관심이 무지 많았는데 관심만 많고 어떻게 만들어야 할 지를 몰랐다. 결국 그래서 작업 막판에 '안녕'이 이 곡을 제끼고 앨범에 수록되었다. 같은 앨범의 '연극속에서'와 자매곡이다.
수정 및 보완 : 10년이 된 곡이라 요즘 스타일로 일부 멜로디와 사운드를 조정했으나, 원곡이 후져서인지 답이 안나옴.
자평 : 원판 불변의 법칙. 당시에 다 이유가 있어서 버린 건가 부다.
다시 선곡 된 이유 : 듣고 비웃으라고
Crom : All lead & backing vocals, talking, Programming, Editing
Sam Lee : Guitars
Hyoungbin Im : Additional Keyboards
Heesun Kim : Programming Assistant
별도 발매된 공연 영상 중 VCD는 총 2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원저작자가 지정한 제목이 아닌 오탈자들이 눈에 띈다. 일단은 VCD 뒷면 커버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 사태가 제작사인 (주)스펙트럼디브이디의 책임인지, 함께 상표를 올린 KBS 영상사업단과 DSP엔터테인먼트와 책임을 분담해야 할 사항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변재원 1집
탈락이유 : 작업 막바지에 갑자기 만들어서 시간이 없었다.
수정 및 보완 : 굉장히 리듬이 강한 곡이었는데 리듬을 사그리 죽였다.
자평 : 내가 부를라고 만든 노래가 아니어서인지 어색하다. 스튜디오에서 막간에 피아노 부스에서 만든 곡인데 후렴의 코드 웍은 유희열 군의 도움이 지대했다.
다시 선곡 된 이유 : 가사 내용과 맞을 것 같았다.
Crom : Lead vocal, Orchestra Programming
Hyoungbin In : Piano
Heesun Kim : Programming Assistant
Recorded & Mixed at Cromotron Studio, NJ
- Machine Messiah
3. <6mm편집>투어 콘서트를 위한 이동 중 세션들과 즐거운 모습
4. I'm Your Man
5.
6. 니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야
7. Go wiht the Light
8. 신해철 Interview
9. 진솔한 신해철의 얘기들
10. 날아라 병아리
11. 일상으로의 초대
12. 공연장에서의 신해철 생일파티
2CD
13. 안녕
14. 째즈 카페
15. 아주 가끔은
16.
17. 나에게 쓰는 편지
18. It's Alright
19. 그대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