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적인 광분
서고 맨 위의 카드를 플레이할 수 있는 청색 부여마법 미래를 보는 눈을 적색으로 바꾸고 저렴하게 약화시킨 버전.
자신의 핸드를 포기하고 서고 위의 카드를 핸드처럼 쓰는 카드로 사실상 상시 자신의 손에 카드 한장이 남아있는 효과를 가진다. 처음에는 내 손의 카드를 플레이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사실상 뭐가 나올지 모르는 서고 맨 위의 카드에만 모든 운명을 거는 '''운빨좆망카드'''로 여겨졌으나, 프로 투어에서 이 카드의 세 가지 특징이 가능성을 보이면서 평가가 뒤집어졌다.
첫째는 '''마나가 남아있는 한 서고 위의 대지를 2장 볼 때까지 내 서고를 통째로 손인 것처럼 쓸 수 있다는 점.''' 레드 어그로덱의 한계가 손의 카드를 모조리 소모한 뒤의 후반전에 오는데, 이 카드가 떨어지면 마나가 바닥나거나 플레이 불가능한 두번째 대지가 나올때까지 서고를 긁을 수 있다. 때문에 중후반전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둘째는 '''고삐 풀린 증기생명체의 존재.''' 카드를 아무리 많이 쓸 수 있어도 마나가 없으면 할 수 있는 게 적은데, 이 고삐 풀린 증기생명체는 적색 주문 3개 쓸때마다 {R}{R}{R}을 마일리지로 주는 점에서 시너지가 굉장하다. 마일리지 채울때마다 마나 뽑고 적색 주문 쓰고 이 적색 주문은 또 증기 +1/+1카운터 마일리지가 쌓이는 루프를 만든다.
셋째는 '''스스로 파괴 가능하다는 점.''' 이 효과가 없었으면 안썼을거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중요한 능력으로 취급된다. 핸드에 중요 카드가 모였을때 바로 파괴하고 내 핸드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
결과적으로 초반에 각광받았던 위험 인자 같은 드로우스펠을 제치고 적색 기반 덱에서 제일 많이 쓰는 카드가 되었다. RDW는 3-4장이 들어가고 RW어그로 역시 사이드로 2-3장까지 넣는 중.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등장한 비슷한 종류의 드로우 엔진인 화염의 장인, 찬드라와는 상호호환 관계인데, 찬드라는 매 턴 1장씩만 추가로 써주게 해주고 플레인즈워커라 파괴될 수단이 더 많지만 대신 피해를 받으면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 효과가 있고, 광분은 그런 효과는 없지만 부여마법이라 조금 더 안전하며 탑덱만 잘 받쳐주면 몇 장 씩이고 쓸 수 있다. 오히려 어느 한 쪽을 쓰기보다는 둘을 조금씩 섞어주면 상승효과가 있는데, 만약 광분과 찬드라가 동시에 필드에 있다면 광분이 의외로 발목을 잡는 상황인 '덱 맨 위에 대지가 2장 이상 나올 때'를 찬드라의 +1 효과로 보정해줄 수 있다.
잔해 가라앉히기를 메타해서 도태시킨 카드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카드 덕에 잔해 상관없이 레드가 적극적으로 공격을 할 수 있게 됐고[2] 잔해를 맞은 다음 턴에 이걸 깔아버려서 버틸 수 있는 컨트롤덱은 그리 많지 않다.
모던에서는 Mox Opal, Memnite와 같은 저발비 마법물체를 손 사정 안 보고 늘어놓다가 Arcbound Ravager로 다 씹어먹은 뒤 Inkmoth Nexus로 피니시를 내는 프렌지 어피니티라는 아키타입에서 활약하고 있다. 마나는 봄나뭇잎 북으로 충당한다.
자신의 핸드를 포기하고 서고 위의 카드를 핸드처럼 쓰는 카드로 사실상 상시 자신의 손에 카드 한장이 남아있는 효과를 가진다. 처음에는 내 손의 카드를 플레이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사실상 뭐가 나올지 모르는 서고 맨 위의 카드에만 모든 운명을 거는 '''운빨좆망카드'''로 여겨졌으나, 프로 투어에서 이 카드의 세 가지 특징이 가능성을 보이면서 평가가 뒤집어졌다.
첫째는 '''마나가 남아있는 한 서고 위의 대지를 2장 볼 때까지 내 서고를 통째로 손인 것처럼 쓸 수 있다는 점.''' 레드 어그로덱의 한계가 손의 카드를 모조리 소모한 뒤의 후반전에 오는데, 이 카드가 떨어지면 마나가 바닥나거나 플레이 불가능한 두번째 대지가 나올때까지 서고를 긁을 수 있다. 때문에 중후반전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둘째는 '''고삐 풀린 증기생명체의 존재.''' 카드를 아무리 많이 쓸 수 있어도 마나가 없으면 할 수 있는 게 적은데, 이 고삐 풀린 증기생명체는 적색 주문 3개 쓸때마다 {R}{R}{R}을 마일리지로 주는 점에서 시너지가 굉장하다. 마일리지 채울때마다 마나 뽑고 적색 주문 쓰고 이 적색 주문은 또 증기 +1/+1카운터 마일리지가 쌓이는 루프를 만든다.
셋째는 '''스스로 파괴 가능하다는 점.''' 이 효과가 없었으면 안썼을거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중요한 능력으로 취급된다. 핸드에 중요 카드가 모였을때 바로 파괴하고 내 핸드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
결과적으로 초반에 각광받았던 위험 인자 같은 드로우스펠을 제치고 적색 기반 덱에서 제일 많이 쓰는 카드가 되었다. RDW는 3-4장이 들어가고 RW어그로 역시 사이드로 2-3장까지 넣는 중.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등장한 비슷한 종류의 드로우 엔진인 화염의 장인, 찬드라와는 상호호환 관계인데, 찬드라는 매 턴 1장씩만 추가로 써주게 해주고 플레인즈워커라 파괴될 수단이 더 많지만 대신 피해를 받으면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 효과가 있고, 광분은 그런 효과는 없지만 부여마법이라 조금 더 안전하며 탑덱만 잘 받쳐주면 몇 장 씩이고 쓸 수 있다. 오히려 어느 한 쪽을 쓰기보다는 둘을 조금씩 섞어주면 상승효과가 있는데, 만약 광분과 찬드라가 동시에 필드에 있다면 광분이 의외로 발목을 잡는 상황인 '덱 맨 위에 대지가 2장 이상 나올 때'를 찬드라의 +1 효과로 보정해줄 수 있다.
잔해 가라앉히기를 메타해서 도태시킨 카드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카드 덕에 잔해 상관없이 레드가 적극적으로 공격을 할 수 있게 됐고[2] 잔해를 맞은 다음 턴에 이걸 깔아버려서 버틸 수 있는 컨트롤덱은 그리 많지 않다.
모던에서는 Mox Opal, Memnite와 같은 저발비 마법물체를 손 사정 안 보고 늘어놓다가 Arcbound Ravager로 다 씹어먹은 뒤 Inkmoth Nexus로 피니시를 내는 프렌지 어피니티라는 아키타입에서 활약하고 있다. 마나는 봄나뭇잎 북으로 충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