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트스코-포크롭스카야선
Арбатско-Покровская линия(러시아어)
모스크바 지하철 3호선의 명칭. 모스크바의 동서를 잇는 노선이다. 노선색상은 파란색.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6]
2014년 7월 15일 탈선사고가 일어나 23명이 사망하고 16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모스크바 시계 밖으로 나가는 유이한 노선이다. 다른 하나는 7호선.
먀키니노 역에는 크로커스 엑스포 국제전시장이 있다.
이 그인 곳은 미개통구간(단, 지선은 폐쇄됐음)이며, 파랗게 칠해진 곳은 지상구간이다.
1. 개요
모스크바 지하철 3호선의 명칭. 모스크바의 동서를 잇는 노선이다. 노선색상은 파란색.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6]
2014년 7월 15일 탈선사고가 일어나 23명이 사망하고 16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모스크바 시계 밖으로 나가는 유이한 노선이다. 다른 하나는 7호선.
먀키니노 역에는 크로커스 엑스포 국제전시장이 있다.
2. 역 목록
이 그인 곳은 미개통구간(단, 지선은 폐쇄됐음)이며, 파랗게 칠해진 곳은 지상구간이다.
[1] 알렉산드롭스키 사드는 필룝스카야선의 역인데, 소콜니체스카야선과의 환승을 위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필룝스카야선의 스몰렌스카야 ↔ 알렉산드롭스키 사드 구간이 같은 날에 개통됐다. 즉, 필룝스카야선을 통해서 소콜니체스카야선으로 환승하도록 만든 셈이다. [2] 쿠르스카야 ↔ 파르티잔스카야 구간이 개통됐을 때 개통되지 않은 역이다.[3] 구노선의 페르보마이스카야는 신노선이 개통된 뒤에 폐쇄됐다. 현재 구노선은 차량기지로 향하는 선로로 쓰이고 있다.[4] 해당 구간은 2008년까지 필룝스카야선에 속했다.[5] 파르크 포베디 ↔ 쿤쳅스카야 구간이 개통됐을 때 개통되지 않은 역이다.[6] 지하철만 한정했을 때의 경우이며, 광역전철까지 포함하면 모스크바 광역전철 D2선이 노선연장 80km로 제일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