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스급 전함

 



[image]
'''Classe Alsace'''
1. 제원
2. 개요
3. 건조 계획
4. 화력
5. 여담
6. 참고 서적/관련 링크
7. 미디어에서의 등장


1. 제원


'''제원'''
이전급
리슐리외급 전함
계획
4척
취소
4척
완성
0척

'''디자인 n1'''
'''디자인 n2'''
'''디자인 n3'''
기준 배수량
40,000톤
42,500톤
45,000톤
만재 배수량
45,500톤

55,000톤
전장
252m
256m
265m
전폭
35m
35.5m
35.5m
흘수선
9.6m~10.7m
엔진
파슨스식 증기 터빈 4기 4축 추진
175,000hp(130,000kw)
파슨스식 증기 터빈 4축 추진
190,000hp(140,000kw)
파슨스식 증기 터빈 4축 추진
220,000hp(160,000kw)
속력
31.0노트
항속거리
18노트로 5,000해리(9,000km)
승무원
1,550 ~ 1,670 명
주무장
380mm(15") 3연장 포탑 3기
406mm(16") 3연장 포탑 3기
380mm(15") 4연장 포탑 3기
부무장
152 mm 3연장포 3~4기, 100mm 2연장 양용포 8~12기, 37mm 기관포 32문, 13.2mm 4연장 기관총 다수
자매함
노르망디, 플랑드르, 부르고뉴[1]

2. 개요


리슐리외급 전함 4척[2]에 이어 독일의 Z 계획에 대항하기 위해서 계획된 프랑스의 전함이다.

3. 건조 계획


40,000톤급 15인치 3연장 함포 3기 9문짜리인 디자인 n1[3]과 42,500톤급 16인치 3연장 함포 3기 문인 디자인 n2[4], 45,000톤급 15인치 4연장 함포 3기 12문으로 무장한 디자인 n3[5] 로 나뉘어졌었으며, 이 중 디자인 n2는 16인치 함포 개발 지연 문제로 취소되었고,남은 디자인 n1과 디자인 n3 이 둘 중 당시 도크사정에 알맞던[6] n1이 채택되었으나,아래 도면에서 보듯이 화력 문제로 n3급과 섞는 것도 어느정도 고려된듯 하다.[7]
[image]

4. 화력


디자인 n1는 주무장으로 1935년형 15인치 3연장포를,디자인 n3는 리슐리외급 전함과 동일한 주포를 3기를 채택하였다. 해당 함포의 발사속도는 분당 2.2발[8]이다.
반면,디자인 n2에서 장비할 16인치 함포는 당시 개발지연 문제로 제작된 바 없었기에 정확한 자료는 없다.

5. 여담


알자스급 전함은 모두 다 지역이름에서 가져온 것이다. 됭케르크급 전함은 지역 이름, 리슐리외급 전함은 인물 이름, 리슐리외급 전함의 4번함이 될 예정인 가스코뉴함은 지역 이름에서 가져온 것이다.

6. 참고 서적/관련 링크


영문 위키 알자스급 전함
일어 위키 알자스급 전함
참고 서적으론 '세계의 전함' 이 있다.

7. 미디어에서의 등장


[image]
네이비필드에서는 1번함인 알자스가 프랑스의 5차 전함이며 4번함인 부르고뉴가 EBB로 나온다. 3가지의 계획안중 첫번째 것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건 해당 항목 참조.
[image]
[image]
월드 오브 워쉽에 9티어 프랑스 전함으로 등장한다. 여기선 n3안을 채택했다. 또한, 10티어 프리미엄 전함으로 4번함 부르고뉴가 등장한다. n1 설계안은 8티어 프리미엄 전함으로 구현될 예정이며 함명은 3번함 플랑드르의 이름을 사용한다.
전함소녀에서는 2번함 플랑드르가 등장한다. 스핀오프 작인 창청의 미라주에서 알자스가 등장했다.
[image]
[image]
[image]
[image]
알자스
르 프랑스
샤를마뉴
잔다르크
Naval Creed:Warships에서 n3안이 프랑스 전함 5티어 1차 전함으로 나온다, 또한 n2버전을 기반으로 한 대형화밎 함포 강화(17.7인치 3연장포 3문)밎 대공무장을 현대화해 르 프랑스라는 이름으로 프랑스 전함 5티어 최종 함선으로 등장하며, 또한 프리미엄 함선으로 n2안 기반으로[9] 17인치 3연장 3문을 가지고 무장을 현대화 한 함선이 샤를마뉴란 이름을 달고 특수 재화 판매 5티어 전함으로 등장하고, 또한 n3안 기반으로 무장을 현대화 하고 함포를 좀더 강화시킨[10] 버전으로 잔다르크[11]란 이름을 달고 5티어 프리미엄 전함으로 등장한다. 성능에 대해서는 각 항목 참조.
[1] 정확한 건조 수량이 정해지지 않았음으로 제안되었던 이름일 뿐 실제 계획된 이름은 아니다.[2] 1번함 리슐리외, 2번함 장 바르, 3번함 클레망소, 4번함 가스코뉴[3] 리토리오급 전함이랑 비슷했다고 보면 된다.[4] 사우스 다코타급 전함,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라이온급 전함과 비슷하다 보면 된다.[5] 체급 자체는 아이오와급 전함과 유사하다.[6] 35,000톤급 전함인 리슐리외급 전함도 두 조선소에 각각 하나씩 있던 도크만으로 세동강 내서 건조하던 상황이었다.[7] 혹은 당시 확장공사를 거의 마친 브레스트 조선소에서의 건조를 고려했을수도 있다.[8] 약 27초마다 한번 포격[9] 다만 크기를 감안하면 n3안과 비슷하다. [10] 정확히는 알자스 너프전 주포 성능이다.[11] 공교롭게도 2차대전 당시 동명의 순양함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