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1. 개요
2. 상세
3. 부동산 투자로의 확장 적용
4. 사용 사례
5. 둘러보기


1. 개요


'영혼까지 끌어모으다'를 줄여부르는 신조어.

2. 상세


부족한 것을 한껏 부풀려보이기 위하여 없는 돈이나 물건 등을 끌어모은 모습을 희화화하는 표현이다. 주로 사용되는 대상은 자산이나 연봉[1] 같이 금전적인 것이나 남성의 경우 근육 펌핑[2], 여성의 경우 가슴의 볼륨을 키우려고 밑가슴살을 브래지어 안에 우겨넣거나 뽕브라를 넣는 등 신체 일부를 최대한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경우다. 자신을 과시하기 유용한 SNS가 널리 퍼지면서 더욱 활용도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국에서 자주 사용된 속담인 '티끌 모아 태산'과 표현이 유사하여 널리 퍼지기 쉬웠던 것으로 보인다.

3. 부동산 투자로의 확장 적용


원래는 상기의 뜻으로 더 많이 사용되었지만,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로 부동산 광풍이 불었으나 8.2 부동산 대책 이후 LTV규제 강화로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대출을 영혼까지 끌어모아서라도 사야한다라는 일명 영끌수요라는 말이 등장하면서 자산관련 용어로 의미가 확장되었다.[3] 지금이 아니면 내 집을 가질수 없으니 영끌해서 집을 사야 한다는 것. 최근에는 노동을 통한 부의 축적이 거의 불가능해질 정도로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빚을 내서라도 부동산이나 주식 등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서 이러한 투자 형태 또한 영끌이라고 부른다.

특히 30대의 부동산 영끌 문제가 사회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가운데, 2020년 들어 서울의 아파트를 가장 많이 산 세대로 떠올랐다. 주택담보대출도 30대가 가장 많이 받았으며, 자산 대비 부채 비중도 높아졌다.
2020년 들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들이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는 가운데 부동산 관련 기사에 유난히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4] 공식석상에서 김현미 장관이 영끌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 지적하는 기사도 나왔다. 멍들어 가는 한글(대구일보)

4. 사용 사례



5. 둘러보기




[1] 성과급이나 명절 보너스 등을 전부 연봉에 합산하여 계산하는 등[2] 특히 보디빌딩 심사 직전에 이런 경우가 많다.[3] 빚투 또한 ‘빚내서 투자한다’의 줄임말로 기존의 뜻과 다르게 사용되기도 한다.[4] 2020년 11월 기준, 6개월내 '영끌'이 들어간 기사가 수천건 조회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