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
新造語
'신조어(新造語)'란 새로 만들어진 단어 및 용어 가운데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말을 뜻한다. 한편, 만들어진 지 오래 지난 말은 '구조어(舊造語)'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신조어가 표준어로 등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탄생 - 신조어의 작성원리로써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 단계
2. 인식 - 사람들이 신조어가 있음을 알게 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 단계
3. 확산 - 신조어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는 단계
4. 정착 - 신조어가 자주 언급되기 시작하며 뜻이 명확히 정립되는 단계
5. 유행 - 표준어의 규정에 이를 정도의 인원이 명확한 의미로 신조어를 사용하는 단계
6. 인용 - 방송, 신문, 소설 같은 매체에서 신조어를 사용하는 단계
7. 등재 - 표준어로 인정되는 단계
4번째 단계에서 뜻이 맨 먼저 등장한 당시와 매우 다르게 정착하는 경우가 많다. <의미변화> 문단 참고.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말미암아 신조어가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을 수 있다.
1. 표준어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는 표준어를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하였다.)
2. 표준어의 조건은 만족하였으나 단어가 태어난 지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아직 수명이 의심받는 경우.
3. 작성원리가 불분명한 경우.
4. 신조어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화권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미 및 개념을 내포한 경우. (대개 은어로 분류되는 것들.)
이모티콘은 용도가 분명한 표기이나 작성원리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신조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실 신조어 운운에 앞서 이모티콘은 언어라고 할 수도 없는데, 한국어 단어의 생성원리에 상형이 없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언어의 생성원리에 상형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권이라면 이모티콘도 언어라고 허용할 가능성이 아주 없다고 볼 수 없겠지만...)
축약을 제외하면 새로운 언어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대동소이하다. 아래 원리 중 2가지 이상이 적용된 신조어도 있으며, 단계가 늘어날 수록 정말 아는사람만 아는 단어가 된다. (예) 레어 아이템(외래어) -> 레어템(외래어+축약어)
단어 또는 문장의 길이를 줄이고자 정상적인 표기의 일부분을 '''생략'''하는 작성법. 다만, 이 경우는 새로 만든 게 아니라 원래 있는 것을 줄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조어이면 보통은 합성어를 줄여서 부른다. 이 가운데에 단어 및 용어의 머리글자만 사용하는 축약어를 'Acronym'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줄임말'''이다.
기존에 있는 단어 및 용어에 접두사 또는 접미사 등의 보조를 붙여 새로운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기존에 있는 단어 및 용어를 둘 이상 합쳐서 새로운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축약과 달리 원 용어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발음의 편의성, 표기상의 이점, 순화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위하여 원 단어 및 용어의 순서를 변경하는 작성법.
이미 있는 단어 및 용어의 뜻을 바꾸는 작성법. "바꾸는"을 썼지만 사실 상당한 확률로 '''기존 단어의 의미를 날려먹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를 사용하는 경우, 기성세대와 신세대 사이의 의사소통에 많은 지장이 있다(신조어에서 언급하는 기성세대와 신세대는 나이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해당 언어를 접하는 시기의 차이를 의미함). '은어'와는 다른데, <은어> 문서 참고.
문서 참고.
다른 문화권에 이미 있는 단어 및 용어를 그대로 또는 비슷한 형태로 사용하려는 문화권에 맞게 들여오는 작성법.
한국어에 적용되지 않는 신조어 작성원리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갑툭튀한 존재를 나타낼 말이 없을 때, 해당 존재의 외형을 따서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대개 중국에서 볼 수 있으며, 중국 정부에서 새로운 한자의 작성을 강력히 제재하는 편임에도 한자의 특성상 자주 나타난다.
'인명유래용어(eponym)'라고도 하고, 'Self Titled'라고도 한다. 고유명사를 일반명사로 바꾸는 작성방식으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학문 분야에서 발견자나 이론을 정립한 학자의 이름을 학명 같은 학술용어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명만이 아니라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스카치테이프'처럼 딱히 바꿀 필요가 없는데도 워낙 입에 붙거나 '포스트 잇'처럼 원래 일반명사가 워낙 저질스러워 고유명사에 밀리기도 한다. 이는 언어의 사회성과 관련이 크다.
1. 정의
'신조어(新造語)'란 새로 만들어진 단어 및 용어 가운데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말을 뜻한다. 한편, 만들어진 지 오래 지난 말은 '구조어(舊造語)'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2. 표준어가 되는 과정
신조어가 표준어로 등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탄생 - 신조어의 작성원리로써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 단계
2. 인식 - 사람들이 신조어가 있음을 알게 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 단계
3. 확산 - 신조어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는 단계
4. 정착 - 신조어가 자주 언급되기 시작하며 뜻이 명확히 정립되는 단계
5. 유행 - 표준어의 규정에 이를 정도의 인원이 명확한 의미로 신조어를 사용하는 단계
6. 인용 - 방송, 신문, 소설 같은 매체에서 신조어를 사용하는 단계
7. 등재 - 표준어로 인정되는 단계
4번째 단계에서 뜻이 맨 먼저 등장한 당시와 매우 다르게 정착하는 경우가 많다. <의미변화> 문단 참고.
3. 비표준어로 남는 경우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말미암아 신조어가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을 수 있다.
1. 표준어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는 표준어를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하였다.)
2. 표준어의 조건은 만족하였으나 단어가 태어난 지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아직 수명이 의심받는 경우.
3. 작성원리가 불분명한 경우.
4. 신조어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화권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의미 및 개념을 내포한 경우. (대개 은어로 분류되는 것들.)
이모티콘은 용도가 분명한 표기이나 작성원리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신조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실 신조어 운운에 앞서 이모티콘은 언어라고 할 수도 없는데, 한국어 단어의 생성원리에 상형이 없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언어의 생성원리에 상형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권이라면 이모티콘도 언어라고 허용할 가능성이 아주 없다고 볼 수 없겠지만...)
4. 신조어의 작성 원리
축약을 제외하면 새로운 언어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대동소이하다. 아래 원리 중 2가지 이상이 적용된 신조어도 있으며, 단계가 늘어날 수록 정말 아는사람만 아는 단어가 된다. (예) 레어 아이템(외래어) -> 레어템(외래어+축약어)
4.1. 축약어
단어 또는 문장의 길이를 줄이고자 정상적인 표기의 일부분을 '''생략'''하는 작성법. 다만, 이 경우는 새로 만든 게 아니라 원래 있는 것을 줄인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조어이면 보통은 합성어를 줄여서 부른다. 이 가운데에 단어 및 용어의 머리글자만 사용하는 축약어를 'Acronym'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줄임말'''이다.
- 예시
- Newb, Noob (Newbie)
- MR(Music Recorded / Music Revolution[1] )
- AR (All Recorded) - 'MR'의 반대 개념.
- 믿거ㅁ(믿고 거르는 ㅁㅁ)
- 인조새(인생 조진 새끼)
- 낄끼빠빠(낄 때 끼고 빠질 때 빠져라)
-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해라)
- 비담(비주얼 담당)
- 취존(취향 존중)
- 핑프(핑거 프린세스): 손가락 공주라는 뜻으로, 조금만 검색해봐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정보를 찾아보지도 않고 바로 남에게만 물어보는 진상을 뜻한다.
- 할많하않(할 말은 많지만 하지 않겠다)
- 케바케(케이스 바이 케이스; Case by case))
- 넌씨눈(넌 씨발 눈치도 없냐)
- 자만추(자연스러운 만남 추구)
- 정줄놓(정신줄을 놓아버렸다)
- 정뚝떨(정이 뚝 떨어진다)
- 애빼시(애교 빼면 시체)
- 정착 단계에서 뜻이 달라진 말
괄호 안의 내용은 처음 등장한 때 기준으로, 달라진 뜻은 <의미변화> 문단 참고.
- 표준어가 된 축약어들
- A.I. (Avian Influenza)
- CD (Compact Disc)
- Radar (RAdio-Detection And Ranging)
4.2. 파생어
기존에 있는 단어 및 용어에 접두사 또는 접미사 등의 보조를 붙여 새로운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 예시
- 개이득('개-' + '이득')
- 복돌이(1. '福' + '-돌이'. 복스러은 사내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2. '복사' + '-돌이'. 불법 복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
- 정돌이(1. 사람이나 동물을 어떻게 부르는 말이다. 2. '정품' + '-돌이'. '복돌이'와는 반대로, 정품을 사용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인다.)
- 자뻑('自' + '뻑'): 이 단어는 화투가 유입된 시기의 세대와 현 세대에서 쓰이는 의미가 다르다('뻑'의 어원이 다르다).
- 친목질('친목' + '-질')
- plutoed: 명왕성의 퇴출로 말미암아 발생한 신조어. '갑작스러운 강등' 또는 '퇴출'을 의미하는 단어로#, '좆됐다'의 뜻으로 쓰이는 속된 표현 대신 사용한다.)
- 정착 단계어서 뜻이 달라진 말
- 쌩까다('生'의 된소리 '쌩' + '까다')
4.3. 합성어
기존에 있는 단어 및 용어를 둘 이상 합쳐서 새로운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축약과 달리 원 용어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 예시
- 웃프다('웃다'의 사동사 '웃기다' + 형용사 '슬프다)
- 자존감: '자존심'의 '自尊' + 감정을 나타내는 접미어 '-감(感)'이 만나서 생긴 신조어. 자기계발서의 난립으로 보급된 단어로 보인다.
4.4. 도치
발음의 편의성, 표기상의 이점, 순화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위하여 원 단어 및 용어의 순서를 변경하는 작성법.
- 예시
4.5. 의미변화
이미 있는 단어 및 용어의 뜻을 바꾸는 작성법. "바꾸는"을 썼지만 사실 상당한 확률로 '''기존 단어의 의미를 날려먹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를 사용하는 경우, 기성세대와 신세대 사이의 의사소통에 많은 지장이 있다(신조어에서 언급하는 기성세대와 신세대는 나이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해당 언어를 접하는 시기의 차이를 의미함). '은어'와는 다른데, <은어> 문서 참고.
- 예시
- 깨알같다: 기존 단어는 '깨알 같다'로 띄어야 한다.
- 작업: 원래는 일을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지만 윤다훈이 세 친구에서 이성적인 목적으로 접근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한 게 유행하면서 속칭이 되었다. 사실 일을 하는 것만 따지면 이 또한 '작업'이라고 할 수는 있다.
- 진돗개
- 옥동자: 원래는 잘생긴 아이를 칭찬하는 데에 쓰는 말이지만, 정종철이 봉숭아 학당에서 '옥동자'라는 기믹으로 개그한 게 유행하면서 멸칭으로 전락했다(...).
- 민주화: 민주주의 체제로의 변화를 뜻하는 말인데, 어느 커뮤니티에서 조롱하려고 사용한 뒤로는 금지어로 완전히 찍혀 버렸다.
- 운지: 원래는 구름버섯을 뜻하지만 디시인사이드의 합성-필수요소 갤러리에서 노무현 전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대하는 고인 모욕 단어로 쓰이기 시작하면서 '민주화'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상에서 함부로 써서는 안 되는 말이 되었다.
- 혼모노: 원래는 진짜를 뜻하는 일본어이지만, 한국에서는 서브컬처 계에서 폐를 끼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비슷한 의미었던 씹덕이 오타쿠를 대체하면서, 혼모노가 씹덕을 대체해 남에게 피해를 주는 오타쿠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표준어가 되는 과정> 문단에도 있듯이, 4단계 이전에 의미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는 외래어도 마찬가지이다.
- 쌩까다: 2000년대에 탄생해서 정착한 파생어로서, 맨 먼저 등장한 때에는 '거짓말하다'라는 뜻이었지만 정착 단계에서는 '무시하다'라는 의미로 정착되었다.
- 전일: 처음에는 '전국 1위'의 준말로 등장했으나 나중에는 '전세계 1위'의 준말이 되었다.
- 즐: 이 단어는 특히 PC통신 채팅시절 세대와 현 온라인 게임 세대의 인식차가 매우 크다.
- 짤방: '쌩까다'와 비슷한 시기에 탄생해서 정착했는데, 맨 먼저 등장한 때에 '뻘글 잘림 방지용 이미지'라는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그냥 '이미지' 정도의 뜻으로 정착되었다. 게다가 어원 의식이 옅어져 '짤빵'도 많이 보이는 편이다.
4.5.1. 역 두문자어
- 자뻑: 고스톱에서 자기가 싼 뻑을 먹는 것을 의미하는 화투 용어인데, 〈파생어〉 문단에도 있듯이, 나중에 고스톱의 '뻑'이 전혀 관계없는, '뻑갔다'의 '뻑'으로 바뀌어 '자아도취'라는 뜻이 나왔다.
- DDR: 국가의 뜻과 다리로 방방 뛰는 놀이의 뜻도 있는데, 후자의 뜻에서 손이 붕붕(?) 날아다니는 놀이(?)의 뜻이 나왔다....
4.6. 야민정음(...)
문서 참고.
4.7. 외래어
다른 문화권에 이미 있는 단어 및 용어를 그대로 또는 비슷한 형태로 사용하려는 문화권에 맞게 들여오는 작성법.
- 예시
- 페이크 더블
- 투 해처리
5. 기타 원리
한국어에 적용되지 않는 신조어 작성원리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5.1. 상형
갑툭튀한 존재를 나타낼 말이 없을 때, 해당 존재의 외형을 따서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대개 중국에서 볼 수 있으며, 중국 정부에서 새로운 한자의 작성을 강력히 제재하는 편임에도 한자의 특성상 자주 나타난다.
5.2.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인명유래용어(eponym)'라고도 하고, 'Self Titled'라고도 한다. 고유명사를 일반명사로 바꾸는 작성방식으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학문 분야에서 발견자나 이론을 정립한 학자의 이름을 학명 같은 학술용어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명만이 아니라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스카치테이프'처럼 딱히 바꿀 필요가 없는데도 워낙 입에 붙거나 '포스트 잇'처럼 원래 일반명사가 워낙 저질스러워 고유명사에 밀리기도 한다. 이는 언어의 사회성과 관련이 크다.
- 예시
6. 확인해야 하는 신조어 작성원리
6.1. 발음변화/철자변화
- 예시
6.1.1. 몬더그린
6.2. 역성법
- 예시
- 돕다 → 도와 → 도우다
- 복돌이(불법 복제품 사용자를 일컫는 말) → 복돌하다, 복돌짓, 복돌판
- 붇다 → 불어 → 불다/붇다 → 불은 → 붏은 → 붏다
- 정돌이(정품 사용자를 일컫는 말) → 정돌하다, 정돌짓
- 표준어가 된 말
- 푸르다 → 푸르러 → 푸르르다
7. 외부 링크
- 위키피디아 신조어 항목(영문)
- Urban Dictionary(영문) - 외국의 신조어 모음 사이트 하나.
- 국립국어원 - 언어 순화 운동을 주재하는 곳.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하는 신조어(물론, 이들은 '순화어'라고 주장한다.)는 일반적으로 그 사용 정도를 '권고'(=사용을 권장함)로 한다. 따라서 강제력은 지니고 있지 않으나, '나들목'과 같이 정책 용어로 인정되는 등 공신력을 지니는 단어가 자주 나오는 편이다.
- 신조어를 쓰는 까닭
- 싸딕 - 신조어를 다루는 오픈 딕셔너리, 인싸 딕셔너리. Urban Dictionary의 한글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