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특성
1. 개요
'''Demand Characteristics'''
심리학 용어 중 하나로, 인간 참가자가 포함된 실험에서, 참가자가 실험의 목적과 가설을 눈치채고 '''적당히 그 실험목적에 부합하도록 맞추어 주는 현상.'''
2. 내용
요구특성은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자 편향 내지는 혼입변인의 한 종류이다. 심리학 실험을 진행하는 대학원생들이 기를 쓰고 타 학과 학생들을 참가자로 모으려고 드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1] 물론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학과 출신들을 모집하려는 것도 크지만, 심리학과 소속이라면 학부생들도 연구목적을 어느 정도 눈치채기가 쉽고, 페이크에도 잘 안 걸리며, "좋은 게 좋은 거지, 서로 돕고 살아야지" 하면서 데이터가 더 깔끔하게 만들어지게 도와주려 하기 때문이다.
최초로 요구특성을 발견한 인물은 정신의학자 마틴 오른(M.T.Orne)으로,[2] 지난 1962년에 《American Psychologist》 저널에 "심리학 실험에서의 사회심리학에 대하여" 라는 제목의 논문을 투고하면서 처음으로 이 단어를 제안하였다.
2.1. 종류
종류는 몇 가지가 있는데, 무작정 실험자의 의도에만 맞추어 주려고 하는 '''착한 피험자 효과'''(Good Subject Effect)가 대표적이다.
이 외에 종종 거론되는 것으로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 작동하면서 나타나는 자기방어적 유형, 실험 전 과정에서 비협조적으로 나오는 유형[3] 등이 있다. 얼핏 생각하면 요구특성은 실험 진행을 원활하게 만들기 때문에 좋은 현상일 것 같지만, 실험 데이터의 정확성을 흐리기 때문에 결코 좋지 않다.
2.2. 대응책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연구 가설에 대한 지각된 인식 척도"(PARH; perceived awareness of research hypothesis)라는 것을 실험 사후에 실시하는 방법이 있다.[4] 그 외에도 실험설계 상 참가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인지적 과부하를 걸거나,[5] 연막을 위해 질문지 또는 검사지에 더미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안면 타당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사실 이런 문제 때문에 투사형 검사가 아직까지 생존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주관적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적어도 요구특성을 나타낼 수는 없으니...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이중맹검을 실시한다.
3. 여담
호손 실험이 요구특성이 발현된 유명한 사례인데, 정작 이 실험은 경영학 실험이었다는 게 아이러니.[6]
4. 관련 문서
[1] 하지만 타과생의 참여로 요구특성에 대한 문제가 마냥 해결되진 않는다. 또한 이런 경우 대학 2학년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2] 이 인물은 최면에 대한 주류 심리학적 연구로 유명하다.[3] 정확히 말하자면, 실험의 목적과 가설을 눈치챈 후 그것에 반대로만 반응하려고 하는 경우. 이에 대해 Masling(1966)은 심지어 "Screw-you effect"라고까지 불렀다. 날것 그대로 번역하자면 "좆까라 효과" 정도?(…).[4] Rubin, Paolini, & Crisp, 2010.[5] 대표적인 방식이 실험 과제를 하는 동안 계속해서 암산을 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과제를 하는 동안에 1,085에서 7씩 계속해서 빼 가면서 연구자에게 숫자를 불러주는 식. 물론 계산이 틀렸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시작(…).[6] 물론 실험 과정에서는 경영학자 뿐만 아니라 심리학자도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