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硏究方法論 / Research Methodology
1. 개요
2. 학술문헌 · 연구활동 관련 정보
3. 대학교 · 대학원 학술 관련 정보
4. 과학적 방법 관련 정보
4.1. 실험 관련 정보
4.2. 통계적 방법 관련 정보
4.2.1. 관련 문서
4.3. 조사방법론 관련 정보
4.4. 혼합연구 관련 정보
4.5. 정성적 연구 관련 정보
5. 인문학 연구 관련 정보
6. 연구윤리 관련 정보


1. 개요


"학문은 우리가 어떻게 생활을 잘 꾸려나갈 수 있는가, 어떻게 외적 사물인간 행동을 계산을 통해 잘 다룰 수 있는가에 대해 기술적 지식을 제공합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 채소장수 아주머니의 역할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하고 여러분들은 말할 것입니다. 저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 채소장수 아주머니는 제공해 줄 수 없는 반면, 학문은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사고의 방법, 사고의 도구 및 사고를 위한 훈련입니다.'''"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학문》, p.74

여기서는 학술연구에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다루고 있다. 대학원생들이 가장 집중적으로 익히는 기초소양이며, 사회조사분석사 등을 준비하는 사람들 역시 이하의 내용을 주로 공부하게 된다. 보면 알겠지만 다른 학문 관련 정보들의 "메타"(meta)적 성격이 강한 목록이다.
가나다순

2. 학술문헌 · 연구활동 관련 정보



3. 대학교 · 대학원 학술 관련 정보



4. 과학적 방법 관련 정보



4.1. 실험 관련 정보



4.2. 통계적 방법 관련 정보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부생들이 통계학을 배우게 될 경우, 대부분의 학습범위는 이하의 주제들과 거의 겹친다. (고급분석기법 및 다수 통계패키지 제외) 즉, 이하의 내용들을 전부 알고 있다면 "적어도 학부생 수준에서는"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을 쫓아가는 데 문제가 없다. 실제 통계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통계 관련 정보를 볼 것.


  • 기술통계 ↔ 추론통계
  • 분석
  • 분포
  • 연속적 자료와 이산적 자료
    • 이산확률분포
      • 다항분포
      • 이항분포
        • 베르누이 시행
      • 초기하분포
      • 포아송분포
    • 확률함수와 확률밀도함수
  • 자유도 (df)
  • 재표집 (resampling)
  • 추정
    • 검정력 분석
      • 사후적 검정력 분석 (post-hoc power analysis)
      • 선험적 검정력 분석 (a priori power analysis)
      • 효과 크기(effect size)
      • G*Power
    • 신뢰구간의 추정 (구간추정)
    • 오차범위
    • 점추정
  • 통계분석 패키지
    • Microsoft Excel
    • 미니탭
    • 스태티스티카
    • ISP
    • LISREL
    • R (GNU)
    • SAS
    • SPSS
    • STATA
    • 기타 유용한 소프트웨어
      • AMOS ↑
      • GrafEq
      • VENSIM
  •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
    • 1종 오류 ↔ 2종 오류
    • 결정규칙
      • 영가설 (귀무가설) ↔ 대립가설
    • 기각역 ↔ 채택역
    • 다중비교
      • 어디서든 효과 (look-elsewhere effect)
      • 사후분석 (cf. 계획된 분석)
      • Bonferroni의 교정
      • Scheffe의 방법
      • Tukey의 HSD 검정
    • 비모수검정
    • 유의수준
      • 알파 (alpha)
      • 베타 (beta)
    • 임계치
    • 효과 크기 #
      • 카파자승법
    • z-검정
      • 단일표본 및 2개 독립표본 z-검정
    • t-검정
      • 단일표본 및 2개 독립표본 t-검정
      • 가족별 오류율 (familywise error rate)
  • 평균분산
    • 분산
    • 중앙값
    • 최빈값
    • 평균
      • 산술평균
      • 기하평균
      • 조화평균
    • 표준편차

4.2.1. 관련 문서



4.3. 조사방법론 관련 정보


  • 굿하트의 법칙 (Goodhart's law)
  • 데이터 (자료)
  • 빅 데이터 프로세싱
    • 분류 분석
    • 생활권 분석
    • 시공간 분석
    • 이상치 탐지 (abnormal detection)
  • 사회 네트워크 분석
  • 사회조사 (서베이)
    • 세계가치조사
    • 센서스 ↓
    • 시장조사
    • 여론조사
    • 종합사회조사 (GSS; General Social Survey)
      • 조사기반 실험(survey-based experiment)
      • 코드북
      • KGSS
      • ISSP (국제 사회조사 프로그램)
    • ANES
  • 센서스
  • 시간활용조사(time-use survey) a.k.a. 생활시간조사
  • 질문지법 (설문조사)
    • 개방형 질문 ↔ 폐쇄형 질문
      • 단일선택 폐쇄형 질문 & 다중선택 폐쇄형 질문
      • 제한 개방형 질문 & 무제한 개방형 질문
    • 반응 세트
      • 극단 반응 ↔ 중간 반응
      • 긍정적 허위반응 ↔ 부정적 허위반응
      • 묵인 반응 ↔ 저항 반응
      • 패턴 반응
    • 사전조사
    • 필터링
      • 부수적 질문
  • 신뢰도와 타당도
    • 신뢰도
      • 검사-재검사 신뢰도
      • 내적 신뢰도
        • 동형 신뢰도
        • 반분 신뢰도
      • 평가자 간 신뢰도
    • 타당도
      • 구성 타당도
        • 변별 타당도
        • 수렴 타당도
      • 안면 타당도 & 내용 타당도
      • 준거 타당도
        • 동시 타당도
        • 예측 타당도
    • 표준화
  • 웨보메트릭스 (webometrics)
  • 일지연구 (다이어리)
    • 시청각 일지
    • 응답자 피로(respondent fatigue)
    • 응답형 일지 ↔ 비응답형 일지
    • 전자 일지 ↔ 종이 기반 일지
  • 척도
    • 거트만 척도
    • 리커트 척도 (총화평정 척도)
    • 보가더스 사회적 거리 척도
    • 상수 합계 척도
    • 서열 순위 척도
    • 서스톤 척도 (등현등간 척도)
    • 소시오메트리
    • 스타펠 척도
    • 쌍대 비교 척도
    • 의미 차별화 척도 (어의차이 척도)
    • 평정 척도
      • 도표 척도
      • 범주 척도
      • 안면 척도
  • 측정
    • 측정도구
    • 측정수준
      • 명목 수준
      • 서열 수준
      • 등간 수준
      • 비율 수준
  • 코딩 (부호화)
    • 코드의 종류
      • 블록 코드
      • 식별 코드
      • 연속 코드
      • 유의수 코드
      • 집단 분류 코드
    • 클리닝 (cleaning)
    • 탤리 (tally)
  • 평가적 방법
  • 표본조사
    • 모집단과 표본집단
    • 표본추출
      • 비확률 표본추출
        • 눈덩이 추출법
        • 판단 추출법 (유의 추출법)
        • 편의 추출법
        • 할당 추출법
      • 확률 표본추출
        • 군집 추출법 (집락 추출법)
        • 단순 무선 추출법 (SRS)
        • 체계적 추출법
        • 층화 추출법
          • 불비례 층화 추출법
          • 비례 층화 추출법

4.4. 혼합연구 관련 정보



4.5. 정성적 연구 관련 정보


  • 개념도 (concept mapping)
    • 진술 구조화
  • 검사지
  • 극작법 (드라마투르기; dramaturgy)[1]
  • 근거이론
  • 서사연구 (내러티브 연구)
    • 생애사연구 (life history research)
      • 미디어 생애사
      • 서사전환 (narrative turn)
    • 전기연구 (biographical research)
      • 자서전연구 (autobiographical research)
      • 전기적 허상 (biographical illusion)
      • 해석적 전기
  • 맥락
    • 개인적 특성
    • 서비스적 특성
    • 사회적 특성
    • 물리적 특성
  • 맥락화 (contextualization)
  • 메타합성 (metasynthesis)
  • 면접 (인터뷰)
  • 모더레이터
  • 미디어맵
  • 방법주의 (methodologism)[2]
  • 법정연구
  • 브리콜라주
  • 빅카인즈 #
  • 비교
  • 상담
  • 상징
  • 생태학적 접근법
    • 미시체계
    • 중간체계
    • 외체계
    • 거시체계
  • 시나리오
    • 소품문 (비네트; vignette)
  • 실행연구
  • 에스노그라피 (문화기술지, 민속지학, 민족지학)
    • 계산적 에스노그라피
    • 민속방법론 (ethnomethodology)
    • 사회적 드라마
      • 공동체성 (코뮤니타스; communitas)
      • 임계성 (리미널리티; liminality)
    • 에스노그라피 수용자 연구
    • 인터넷 에스노그라피
    •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
    • 정보제공자 (informant)
    • 중층기술법 (thick description)
  • 자유연상
  • 질적 분석 소프트웨어 (CAQDAS) #
    • 자료 전처리
      • 형태소 분석
    • Aquad
    • ATLAS.ti
    • Compendium
    • Dedoose
    • HyperRESEARCH
    • KrKwic
    •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 MAXQDA
    • NetDraw
    • NetMiner #Products
    • NVivo #Trial
    • QDA Miner
    • Qiqqa
    • RQDA
    • UCINET
    • XSight
  • 질적 연구의 신뢰성 문제
    • 상호주관성 (간주관성)
    • 서사적 진실 (narrative truth)
    • 연구자 반성 (researcher reflectivity)
    • 전이성 (transferability)
    • 전형화
    • 중층기술법 ↑
    • 참여자 검토 (member checks)
    • 초대적 질 (invitational quality)
    • 추적조사 (audit trail)
    • 추체험
    • 핍진성 (verisimilitude)
    • COREQ
  • 질적 자료분석
    • 과제 분석
    • 군집 분석 (집락 분석)
      • 잠재 계층 분석
    • 기호 분석
    • 내용 분석
      • 노드셋 코딩
      • 워드 클라우드
      • 텍스트 분석
      • 토픽 모델링
      • TF-IDF
    • 담론 분석
      • 거대담론
      • 담론 (담화; discourse)
      • 담론의 질서
      • 담론 투쟁
      • 비판적 담론 분석 (CD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언어적 전환 (linguistic turn)
    • 도상 분석
    • 영역 분석
    • 체험적 분석
    • 포괄적 과정 분석
    • 해석학적 분석
    • 행렬 분석
  • 초상화법
    • 본질주의적 초상화법
  • 페르소나법
  • 포토보이스
  • 합의적 질적 연구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해석적 기술법 (interpretive description)
  • 현상학(연구방법론)
    • 경험적 현상학
    • 초월적 현상학
    • 해석적 현상학 (IPA)
  • Q방법론

4.6. 복잡계 연구방법론



5. 인문학 연구 관련 정보



6. 연구윤리 관련 정보



[1] 본래는 문예 용어이나, 사회과학계 일부에서도 사용하는 단어이다.[2] 연구설계에 있어 방법론적으로 자체적인 진실성(stand-alone integrity)을 보장하는 것을 최우선시하는 양적/통계적 연구의 경향성. 반면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곧 연구방법이며, 연구설계 자체가 진실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얼마나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가에 그 연구의 신뢰성이 달려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질적 연구는 원론적으로 방법주의에 반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