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작품목록

 



1. BWV 번호
1.1. 목록
1.1.1. 칸타타
1.1.2. 모테트
1.1.3. 라틴어 전례 음악, 수난곡, 오라토리오
1.1.4. 4성부 코랄
1.1.5. 기타 노래, 아리아들
1.1.6. 오르간 음악
1.1.7. 건반 음악
1.1.8. 독주 악기를 위한 작품들
1.1.9. 실내악 작품
1.1.10.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들
1.1.11. 카논, 대위법적 작품들
2. BC 번호


1. BWV 번호


'''Bach-Werk-Verzeichnis'''의 약자로 말 그대로 바흐의 작품번호라는 뜻이다.[1] 1950년 볼프강 슈미더가 바흐의 작품을 정리하면서 붙였다. 바흐의 작품은 한동안 사장되다시피 했다가 늦게 발굴되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작곡년도를 확인하기 힘든 작품이 꽤 있었고 그래서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목록과 달리 연도순으로 정리되지 않고 장르별로 묶어서 정리하였다.[2]
슈미더는 BWV 1번은 칸타타부터 1080번 푸가의 기법까지 작품번호를 붙였는데 이후 바흐의 곡이 계속 발굴되어 현재는 1126번(합창곡 '우리의 주님을 찬양하라')까지 붙어 있다. 기타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작품이나 바흐의 작품인지 의심스러운 경우, 바흐 자필 사본이긴 하지만 바흐의 작품이 아닌 경우 등등 공식 작품목록에 올리기 어려운 경우는 BWV-Anh로 따로 분류하는데 현재 189번까지 번호가 붙어 있다. 이 BWV-Anh계열 작품은 바흐의 작품으로 확인될 경우 공식 목록에 올라갈 것이다.
'''악기 약어표'''
'''S, A, T, B'''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솔로)
'''S'''
현악기 4부 [3]
'''Vl'''
솔로 바이올린
'''Va'''
솔로 비올라
'''Vc'''
솔로 첼로
'''Ob'''
오보에

1.1. 목록



1.1.1. 칸타타


일부분만 현존 / 소실 / 세속적 용도의 칸타타 / 미완성 / 타 작곡가 작품으로 판명
'''BWV'''
'''제목'''
'''조성'''
'''초연'''
'''편성'''
'''기타'''
'''음원'''
1
'''이 얼마나 아름답게 빛나는 샛별인가'''
''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F
1725년 3월 25일
SATB, 합창, 2 Hn, 2 Odc, 2 Vl , S
#

2
'''아 하느님이시여, 하늘에서 굽어보소서'''
''Ach Gott, vom Himmel sieh darein''
g
1724년 6월 18일
ATB, 합창, 2 Ob, 4 Tbn, S


3
'''아 하나님, 제 마음에 괴로움이 많사오니'''
''Ach Gott, wie manches Herzeleid''

1725년 1월 14일



4
'''그리스도가 죽음의 포로가 되어도'''
''Christ lag in Todes Banden''





5
'''나 어디로 피할 것인가'''
'' Wo soll ich fliehen hin''





6
'''저녁이 되니 저희와 함께 머무소서'''
''Bleib bei uns, denn es will Abend werden''





7
'''우리 주 그리스도께서 요르단강에 오셨도다'''
''Christ unser Herr zum Jordan kam''





8
'''사랑하는 하나님이시여, 저는 언제 죽나이까'''
''Liebster Gott, wenn werd ich sterben?''





9
Es ist das Heil uns kommen her





10
Meine Seel erhebt den Herren





11
Lobet Gott in seinen Reichen





12
'''흐느낌, 슬픔, 근심, 두려움'''
''Weinen, Klagen, Sorgen, Zagen''





13
'''나의 한숨, 나의 눈물'''
''Meine Seufzer, meine Tränen''





14
'''여호와께서 우리 편에 계시지 아니하셨더라면'''
''Wär Gott nicht mit uns diese Zeit''





15
Denn du wirst meine Seele nicht in der Hölle lassen





16
'''주여, 당신께 영광이 있으소서'''
''Herr Gott, dich loben wir''





17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Wer Dank opfert, der preiset mich''





18
'''비와 눈이 하늘로부터 내림과 같이'''
''Gleichwie der Regen und Schnee vom Himmel fällt''





19
'''하늘에 전쟁이 있으니'''
''Es erhub sich ein Streit''





20
O Ewigkeit, du Donnerwort





21
'''내 속에 근심이 많을 때에'''
''Ich hatte viel Bekümmernis''





22
'''예수께서 열두 제자를 데리시고'''
''Jesus nahm zu sich die Zwölfe''





23
Du wahrer Gott und Davids Sohn





24
Ein ungefärbt Gemüte





25
Es ist nichts Gesundes an meinem Leibe





26
Ach wie flüchtig, ach wie nichtig





27
Wer weiß, wie nahe mir mein Ende?





28
Gottlob! nun geht das Jahr zu Ende





29
'''주여, 감사드리나이다'''
''Wir danken dir, Gott, wir danken dir''
D
1731년 8월 27일
3 Tr, Tim, 2 Ob, Org
[4]

30
Freue dich, erlöste Schar





<rowcolor=#7FFFD4> 30a
'''즐거운 비더라우여'''
''Angenehmes Wiederau''

1737년 9월 28일
3 Tr, Tim, 2 Ob, 2 Fl, Obd


31
Der Himmel lacht! Die Erde jubilieret





32
Liebster Jesu, mein Verlangen





33
Allein zu dir, Herr Jesu Christ





34
O ewiges Feuer, o Ursprung der Liebe





34a
O ewiges Feuer, o Ursprung der Liebe





35






36






36a






36b






36c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6a






67






68






69






70






70a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a






80 b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0a






120b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4a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7a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포이부스와 판의 대결'''
''Der Streit zwischen Phoebus und Pan''[5]
D
1729년 가을



202
'''사라져라, 슬픔의 그림자여'''
''Weichet nur, betrübte Schatten''





203
'''배신자인 너 사랑이여'''
''Amore traditore''





204
'''나는 만족하노라'''
''Ich bin in mir vergnügt''





205
'''만족한 아에올루스'''
''Der zufriedengestellte Aeolus''[6]

1725년 8월 3일



205
'''적들이다, 나팔을 불어라'''
''Blast Lärmen, ihr Feinde''

1734년 2월 19일



206
'''살랑이는 파도여, 다가오라'''
''Schleicht, spielende Wellen''

1736년 10월 7일



207
'''합쳐져라, 어지러이 분산되던 현악기 소리여'''
''Vereinigte Zwietracht der wechselnden Saiten''





207a
'''크고 힘찬 나팔소리를 드높이 울려라'''
''Auf, schmetternde Töne der muntern Trompeten''





208
'''나의 기쁨은 오직 즐거운 사냥뿐'''
''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208a
'''나의 기쁨은 오직 즐거운 사냥뿐'''
''Was mir behagt, ist nur die muntre Jagd''





209
'''진정한 슬픔이 무엇인지를 그는 모르네'''
''Non sa che sia dolore''





210
'''오 행복한 이날, 꿈에 그리던 날이여'''
''O holder Tag, erwünschte Zeit''





210a
'''오 사랑스런 멜로디여'''
''O angenehme Melodei''





211
'''떠들지 말고 조용히 해요'''
''Schweigt stille, plaudert nicht''





212
'''우리는 새 영주님을 모시노라'''
''Mer hahn en neue Oberkeet''





213
'''갈림길에 선 헤라클레스'''
''Hercules am Scheidewege''[7]
F
1733년 9월 5일



214
'''북소리 울려라, 나팔소리 퍼져라!'''
''Tönet, ihr Pauken! Erschallet, Trompeten!''





215
'''축복받은 작센이여, 너의 행운을 찬양하라'''
''Preise dein Glücke, gesegnetes Sachsen''





216
'''기뻐하라 플라이센 주여'''
''Vergnügte Pleißenstadt''





216a
'''아폴론과 메르쿠리우스'''
''Apollo et Mercurius''[8]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1.1.2. 모테트
























































































































































































































































































































































































































































































































































































































































































































































































































































































































































































































































































































































































































































































































































































































































































































































































































































1.1.3. 라틴어 전례 음악, 수난곡, 오라토리오



1.1.4. 4성부 코랄



1.1.5. 기타 노래, 아리아들



1.1.6. 오르간 음악



1.1.7. 건반 음악



1.1.8. 독주 악기를 위한 작품들


'''BWV'''
'''BC'''
'''제목'''
'''조성'''
'''작곡 년도/초연 날짜'''
'''편성'''
'''기타'''
'''음원'''
995

'''모음곡'''
''Pièces pour la Luth à Monsieur Schouster''
g
1727년~1731년
류트


996

'''모음곡'''
''Praeludio con la Suite''
e
1710년~1717년
류트


997

'''모음곡'''
''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c
1727년~1731년
류트


998

'''전주곡, 푸가와 알레그로'''
''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g
1727년~1731년
류트


999

'''전주곡'''
''Wie schön leuchtet der Morgenstern''
c
1727년~1731년
류트



1.1.9. 실내악 작품



1.1.10.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들



1.1.11. 카논, 대위법적 작품들



2. BC 번호


=== 세속적 칸타타, 음악 드라마(Dramma per musica)

[1] 이후 작곡가의 이름 뒤에 WV를 붙여 작품목록을 만든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으로 헨델의 HWV, 텔레만의 TWV, 륄리의 LWV가 있다. [2]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쾨헬 번호프란츠 슈베르트도이치 번호등과 같은 작품번호는 대체로 연도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베토벤의 경우 스스로 작품을 관리하여 공식출판된 작품은 모두 작품번호(op.)가 붙어 있다. 다만 공식출판되지 않았거나 미완성으로 남아 있던 곡들이 그의 사후에 WoO나 Hess 번호 등으로 따로 정리되었다.[3] 즉 2 바이올린, 비올라, 통주저음[4] 신포니아(1악장)가 바이올린 파르티타 E장조 (bwv 1006의 편곡이다.[5] 《빨리빨리 불어라, 회오리바람아''Geschwinde, ihr wirbelnden Winde''》[6] 《부수어라, 터뜨려라, 무덤을 파괴하라''Zerreißet, zersprenget, zertrümmert die Gruft''》[7] 《살피자, 지키자''Laßt uns sorgen, laßt uns wachen''》[8] 《선택받은 플라이센 주여''Erwählte Pleißensta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