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자드라이버
[image]
1. 개요
가면라이더 위자드에서 주인공 소우마 하루토가 가면라이더 위자드로 변신하기 위한 변신벨트. 소우마 하루토 자신의 마력과 위자드 링에 담긴 마력을 동조시켜 위자드로 변신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각종 마법의 힘이 담긴 위자드 링을 스캔해 마법을 발동할 수 있다. 담당 성우는 이름 미상(日) / 김혜성(韓).
2. 상세
2.1. 드라이버 기믹
턴 테이블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양쪽 끝의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여 중앙의 '핸드 오서'를 회전, 변신 및 스타일 체인지 모드와 마법 발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왼손 모양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변신 반지를 스캔해 변신 및 스타일 체인지를 행하고, 오른손 모양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마법 반지를 스캔해 각종 기술을 시전한다. 변신한 스타일에 따라 중앙부의 LED의 색이 변화하는 기믹이 있으며, 이 LED의 주변엔 마법진이 몰드로 새겨져 있다.
이 드라이버는 종래의 헤이세이 라이더 2기의 다른 변신벨트들과는 다르게, 소우마 하루토가 착용하고 있는 '핸드 오서' 모양의 벨트에 '''드라이버 온 위자드 링'''을 스캔하여 소환, 변신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가 소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드 오서' 모양의 벨트는 마법 발동 모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마법 발동 전용 위자드 링을 스캔하여 각종 마법을 시전할 수 있게 되어있다.
2.2. 음성 기믹
종래의 헤이세이 라이더 2기의 변신 벨트들이 각종 음성 기믹의 탑재로 눈길을 끌었는데, 위자드라이버는 최초로 랩을 하는 라이더 벨트가 되었다. 심지어 필살기인 '킥 스트라이크'의 발동음은 '''"쵸이이네(チョーイイネ, 아주 좋아!)~ Kick Strike! 사이코(サイコー, 최고)~!"'''[2] 완구 CM을 보면 그 아스트랄함을 한껏 느낄 수 있다. 국내에 방영할 때는 '쵸이이네'가 '''"베리 굿(Very good)"''' [3] 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모드 발동 중에 위자드 링을 갖다 대면 위자 드라이버가 해당 위자드 링의 이름을 말한 후 '''"플리즈(please)"'''라고 말하는데, 이는 영어권에서 쓰이는 마법의 말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4]
지금까지의 라이더 벨트 사상 가장 많은 음성 기믹이 탑재되어 있다는 것을 세일즈 포인트 중 하나로 삼았는데, 이 중 오 메달까지 스캔 가능하다는 소문이 있어 위자드의 '위자도(WiZardO)' 루머를 퍼뜨리는 데 한 몫 했다. '위자도(WiZardO)' 루머에 대해서는 상위 항목 참조. 발매된 완구판 위자드라이버는 오메달 스캔이 안 된다.
2.2.1. 국내 정발판
모바일 배려
한편, 2015년 1월 16일부터 정발 완구 물량이 시중에 풀려서 드디어 국내판 위저드라이버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됐는데 이에 대한 반응이 분분하다. 왜냐하면 반은 국내 음성, 반은 일본판 원음이 들어간 '''한본어''' 더빙이 된 채 출시됐기 때문이다. 샤바두비 터치 변신이나 랜드, 불, 물, 바람, 땅, 베리 굿, 최고는 국내판 담당 성우인 김혜성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루파치 매직 터치 고, 플레임, 워터, 허리케인, 드래곤 스타일 음성 등은 원음이 나온다.
안 그래도 국내 방영분에서 원음과 더빙 음성이 섞여 나왔는데 실제 완구도 이렇게 나온 탓에 국내에서 발매되지 않은 완구의 음성 기믹이 삭제됐던 오즈 드라이버보다는 낫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 나중에 드래곤 스타일이나 인피니티 스타일이 나오면 어떡할 거냐면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리고 결국 9화에서 '플레임 드래곤' 의 변신 음성이 '''"보보보"''' 로 나와서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다른 드래곤 스타일도 '''자바'''(워터), '''뷰'''(허리케인), '''드곤'''(랜드)이 됐고, 아직 TV 방영분에서는 나오진 않았고 완구에서만 확인됐지만 결국 인피니티 스타일 변신 음성도 '''"불,물,바람,땅~ 보,자바,뷰,드곤~"'''[5] 이 되었다.
[image]
그렇게 한본어 더빙을 해 놓고 설명서에는 "제품 특성상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가 있다" 고 대놓고 써 놓았다.
누군가가 김혜성 성우의 블로그에 물어본 결과 답변이 이렇다. #
즉, 반다이코리아에서는 일본어로 나오는 부분만 더빙하도록 했지만, 대원방송에서는 TV 방영 시에 모두 더빙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ME(Music Effect) 등의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가끔 원어 음성 그대로 방송되는 경우가 있는 건 어쩔 수 없다고 한다.
결국 반다이코리아와 대원방송 간의 방침 차이와 기술적 문제 때문에 한본어 더빙이 됐다고 볼 수 있다.
또 하나의 사실이 확인되었는데,하얀마법사 위저드링을 국내판 위저드라이버에 인식시키면 'The origin'이 '''"더 오리진"''' 으로 나온다. 하지만 영어를 조금이라도 배웠으면 알다시피 모음인 a,e,i,o,u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관사 the가 붙으면 더가 아니라 '''디'''로 발음된다.
3. 필수요소화
シャバドゥビタッチヘーンシーン!!
니코동에서는 이 음성 기믹이 필수요소화되어서, 갖가지 2차 창작의 재료가 되었다. 다음은 그 목록.
- 위험한 샤바두비터치변신
- 천본샤바두비[6]
- 얀데레 여동생한테 사랑받는 샤바두비터치변신
- 샤바두비 락[7]
- 샤바두비터치 변신을 텐션을 높여보았다[8]유튜브 버전
- 샤바두비터치 변신을 길거리에서 추는 사람[9]
4. 각 부위 소개[10]
- 퀠더스 밴드 (벨트 부분)
- 스펠 인챈더 (버클 상단 스피커 부분)
- 액티브 컨버터 (버클 중앙부)
- 릴리즈 라이더 (벨트부 고정 버튼)
- 스팅 (버클부 가운데 몰드 부분)
- 핸드 오서 (버클부 손 모양 몰드)
- 그리모 월 스톤 (버클 내부 마법진 모양 오브제)
- 실링 드럼 (버클부 원 모양 오브제)
- 시프트 레버 (버클부 양 사이드의 레버)
5. 기타
[1]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소개.[2] 플레임 드래곤 스타일에서 사용한 드래곤 브레스의 경우는 '''"아주 좋아! 스페셜! 최고~!"'''[3] 실제 방영분에서는 소리가 물렸는지 '베리' 라고만 나온다. 몬데그린 때문에 벨리로 들리기도 한다.[4] 아이들이 부탁을 하거나/인터넷에 부탁을 올리면 부모님 또는 어른의 대답/밑에 댓글로 'What is the magic word?'라는 리플이 달린다. 직역하면 "마법의 말이 뭐지?"라는 이상한 문장이 되지만, 의미를 살려서 번역하면 "그게 부탁하는 사람의 태도야?"라는 뜻이다. 그러면 'Please' 혹은 'plz'등으로 응답하는 것이 예의다. 한국어의 비슷한 말로는 "이런 상황에서는 무슨 말을 하더라?" [5] 불,물,바람,땅만 한국어, 보,자바,뷰,드곤은 원어로 나오는 게 아니라 '''전부 다 더빙'''했다.[6] 원곡은 천본앵.[7] 현재 샤바두비 터치 변신 리믹스 링크 중 두번째로 탑을 달리는 작품이다.[8] 부동의 1위를 자랑하는 작품.[9] 플래시몹. 그러니까 계획된 사람들이 갑자기 춤 같은 것을 추고서는 흩어지는 그것이다. 근데 도중에 지나가던 사람까지 끼어들었다.[10]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소개.[11] 센고쿠 드라이버, 게이머 드라이버, 시공 드라이버는 1호 라이더 전용 변신벨트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