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역사책)

 


1. 개요
2. 상세
3. 실전


1. 개요


留記
고구려역사책.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언급되었다.

2. 상세


"고구려는 초기에 '''≪유기≫'''라는 '''100권'''으로 된 역사서를 편찬한 바 있는데 영양왕 11년(서기 600년)에 태학박사 이문진은 이것을 '''≪신집(新集)≫'''이라는 '''5권'''의 책으로 개수하였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즉, 신집과 함께 고구려의 역사서로 생활, 문화, 역사가 적힌 역사서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식 백제의 '서기' 와 마찬가지로 역사서인지는 불명확한데 유기라는 이름 자체가 특정 역사서 제목인 고유명사가 아니라 한자 그 자체를 뜻풀이했을 때 '남은 기록, 즉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오만 잡다한 기록을 묶어 부른 것'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백 권이라는 것도 진짜로 1권부터 100권까지 있는 구성이란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많다는 관용적 수사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100권이란 분량을 사실이라고 추측한다면, 유기가 고구려 초기의 기록이 맞다면 아직 종이가 그리 대중화되지 않은 시기라 간독에 기록되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간독 100권의 내용을 종이책 5권에 옮겼다면 100권의 내용을 5권으로 간추린 것은 충분하고도 남을 수 있다.

3. 실전


현대에는 전해지지 않았으며 만약 지금까지 전해졌다면 여러 가지로 사료가 부족한 고구려[1]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물론 전근대 사서에서 책 5권은 진짜 아무것도 안되는 분량이긴 하지만 삼국사기중 고구려본기의 분량이 총 10권이며, 삼국사기 자체가 삼국시대에서 500년이 지나서, 사료부족으로 많은 내용을 중국의 서적에서 그대로 인용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1차 사료라는 것은 물론, 당대에 편찬된 1차 사료라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지닌다.
떡밥으로 쓰이기도 해서 소설로도 나온 적이 있다.


[1] 물론 고구려 뿐만 아니라 한국 고대국가 전부 해당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