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기업
1. 개요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1] 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이르는 말이다.
스타트업이 상장 전에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 성장하는 것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유니콘과 같이 희귀하다는 의미로 사용됐다. 2013년 벤처 투자자 에일린 리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은 데카콘(decacorn)[2] 이라 부르며 기업가치가 1,00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은 헥토콘(hectorcorn)이라 부른다.
2. 기업가치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객관적인 산정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식적인 문서에 쓰이는 기업 가치는 투자자로부터 실제로 투자를 유치했을 때 인정받은 가치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한 두 푼도 아니고 수십~수천 억 원을 투자하는 데 투자자들이 누구보다 치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했을 것이라고 보는 게 당연하다.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면 매출은 얼마 안되는데 가치가 수천 억에 달하는 스타트업들을 종종 볼 수 있다. 기업 가치는 매출만으로 정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매출과 수익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이라면 투자를 받을 이유가 덜할 것이다. 기업 가치 평가는 시장규모와 시장점유율, 현금 유동성, 기술 혁신성, 대표의 야망[3]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된다.
3. 유니콘 기업
3.1. 대한민국
국내 1세대 유니콘 기업인 '''옐로모바일'''은 실적부진으로 인하여 기업 가치가 많이 하락했고, 현재는 유니콘 기업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실제로 2019년 2월 문재인 대통령 초청 하에 청와대에서 열린 '혁신벤처기업인 간담회'에서, 당시 기준 6개의 유니콘 기업 대표 중 유일하게 초청받지 못했다. ‘원조 유니콘’ 옐로모바일의 굴욕… 文대통령 ‘유니콘 간담회’ 초대 못받아
DART에 공시된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옐로모바일의 매출은 2017년 5,106억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18년 4,699억, 2019년 2,508억으로 급감하였다. 또한 2015~2019 5년간 매출액은 1조 9878억 원이었으나, 총포괄손익은 4,682억 원 적자를 기록하였다.[7]
다른 유니콘 기업들의 대표 브랜드는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큼 친숙한데, '''에이프로젠'''은 기업명도, 서비스명도 낯설 것이다. 에이프로젠은 바이오시밀러를 만드는 제약 회사로, GS071은 에이프로젠이 만드는 바이오시밀러 제품 중 하나이다.
2021년 2월 쿠팡이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들은 쿠팡의 기업가치를 500억 달러(약 55조 원)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3.1.1. 예비 유니콘
중소벤처기업부 선정
2019년 27곳, 2020년 15곳이 선정됐다.
3.1.2. 300억 이상 투자받은 기업
[image]
자료: 스타트업얼라이언스
3.1.3. 100억 이상 투자받은 기업
[image]
자료: 스타트업얼라이언스
3.1.4. 10억 이상 투자받은 기업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자료: 스타트업얼라이언스
3.2. 미국
3.3. 중국
4. 데카콘 기업
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 쿠팡은 90억 달러[12]
5. 헥토콘 기업
기업가치 1000억 달러 이상
바이트댄스는 틱톡 개발사다.
6. 더이상 유니콘이 아닌 기업
6.1. 상장
6.2. 기업가치 미달
[1] 한화로 약 1조 1천억 원이지만,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기업 가치 1조 원 이상의 기업을 지칭한다.[2] 유니콘의 uni-가 1을 뜻하는 것과 같이 10을 뜻하는 접두사 deca-와 유니콘을 의미하는 접미사 -corn을 합쳐 만든 말이다.[3] 손정의 식 투자론으로 유명하다. 마윈의 야망을 높이 평가하여 알리바바에 투자하여 초대박을 쳤지만, 같은 방식으로 위워크에 투자했다가 대실패를 맛봤다[4] 블루홀에서 사명 변경[5] 이는 유니콘 진입 당시 가치이며, 2019년 딜리버리히어로에 인수되었을 때 가치는 $ 40억(당시 환율 기준 약 4.8조 원)이다.[6] 그랩에서 사명 변경[7] 이 기간 동안 한 해도 흑자를 기록한 적이 없다.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봐도 2017년에만 35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을 뿐, 5년간 1,08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8] 2020년 12월 10일자로 나스닥에 상장되면서 데카콘에서 제외되었다. 상장 직후 $ 800~900억의 시가총액을 형성하고 있다(한화 약 90~100조 원).[9] 2021년 2월 5일자로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되면서 데카콘에서 제외되었다. 상장 직후 HK$ 1.3T 전후의 시가총액을 형성하고 있다(한화 약 190조 원).[10] 2020년 12월 9일자로 뉴욕거래소에 상장되면서 데카콘에서 제외되었다. 상장 직후 $ 500억 전후의 시가총액을 형성하고 있다(한화 약 55조 원).[11] Wish의 운영사인 ContextLogic이 2020년 12월 16일자로 나스닥에 상장되면서 데카콘에서 제외되었다.[12]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인 2021년 현재, 월스트리트저널 등은 쿠팡의 기업가치를 500억 달러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13] 2021년 2월 18일 기준[14] 상장은 홍콩 거래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