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테리언
unitarian / unitarianism
기독교에서 파생된 일련의 종교운동들. 16세기 폴란드의 신학자 파우스토 소치니에게 영향받아 형성되었다.
오늘날 유니테리언이라고만 하면 약간 혼동될 여지가 있다. 제2번 문단의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이성을 중시하는 개신교의 일파를 가리킨다. 그반면 제3번 문단의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UUism)은 유니테리언에서 파생하기는 했지만 기독교를 떠나서 종교다원주의를 내세우는 종교운동이다. 다만 현대에 와서는 개신교 교파로서의 유니테리언은 소수고 UUism이 다수라 그냥 유니테리언이라고만 해도 UUism을 가리키는 때가 잦다.
16세기에 시작된 이래, 화학자이자 신학자였던 조지프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가 영국에서 유니테리언의 성립에 크게 기여했다.
반삼위일체 교파지만 의외로 미국 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건국 당시의 미국은 개신교 이민자들이 주류를 차지하는 나라였지만 헌법에서도 기독교나 신, 예수에 대한 언급은 일절 없으며, 건국의 주역들이 교회와 기존 기독교에 대해 악담에 가까울 정도로 비판을 했던 것에서 흔적을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조지 워싱턴의 선서에서 비롯되어 관습이 되어버린 선서 시 성경에 손을 올리는 선서식을 가지고 기독교적 근거가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사실 법적으로 반드시 성경이어야 할 필요가 없다. 즉 무슬림이라면 쿠란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해도 되고 법을 준수하겠다는 의미로 법전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해도 되며 아무 책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해도 되는 것이다. 실제로 테오도어 루즈벨트도 선서식에 성경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선서 문장에도 신이나 종교적인 색채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마지막 끝마무리에 관용식으로 붙는 'So help me God'은 후대에 붙여진 것. 이처럼 후대에 붙여진 것이 마치 건국 초기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미국인들조차도 착각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1900년대 전후 종교 근본주의가 정치적 힘을 갖게 되면서 가미된 것들이다. 즉 '''만들어진 전통'''인 셈. 가령 'In God We Trust'라는 유명 문구는 1956년에서야 국가표어가 되었다. 다만 God이라는 문구 자체가 유신론 종교계에서 중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독교계는 물론이거니와 유태계나 이슬람계에서도 딱히 불만을 표하지 않는 것. 세속주의 시민운동계에서는 이 문구의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이 아닌 개신교 교파로서의 유니테리언을 따로 떼서 성경 유니테리언(biblical unitarianism)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특히 19세기 중반 이후 유니테리언 내부에서 성경을 진리의 절대적 근원으로 보지 않는 사조가 확산됨에 따라, 여기에 반하여 성경을 진리의 근원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성경적인'이라는 칭호를 달았다.
오늘날 개신교 교파로서의 유니테리언은 매우 소수이다. 헝가리에 25,000여 명,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에 75,000명 정도가 남아있다.
성경적 유니테리언의 입장을 이어받은 교단으로 '그리스도아델피안'이 있으며 교세는 6만여 명 정도이다.
장 칼뱅의 다섯 솔라(Five Solas)까지도 인정하며 복음주의 기독교와 흡사한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삼위일체론, 즉 예수의 신격만큼은 인정하지 않는다. 예수는 위대하고 초자연스럽고 뛰어난 인물로서 어쩌면 예언자일 수도 있겠지만 유일신이라고 볼 수는 없다는 입장. 반삼위일체 교파로 불리지만 아리우스파의 교리와도 다르다.
'''신조 없는 믿음'''이라는 사고방식에 다음과 같은 측면들을 깔고 있다. 신에 대해 칼뱅주의다운 엄하고 징벌다운 관점보다는 모성애답고 따뜻한 사랑을 보이는 관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인간 본성의 측면이나 이성도 강조한다.
그 이름 그대로 유니테리언과 유니버설리즘이 합쳐진 것이다. 기독교에서 유니버설리즘이란 만인이 구원을 받는다는 신학 사조이다. 만인 구원론 자체는 교부 시대의 오리게네스도 주장했다가 이단으로 몰리는 등 꽤 역사가 깊은 사상이나 근현대의 유니버설리즘의 직접적인 모태라고 하기는 힘들고, UUism의 뿌리가 된 근현대 유니버설리즘 교단은 18세기 후반에 생겨났다.
유니테리언이나 유니버설리즘 둘 다 초기에는 기독교의 종교 운동으로 출발했으나 근현대를 거치며 변화를 거듭했다. 마침내 그 둘이 합쳐진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은 더 이상 기독교의 분파라고 보기에는 어렵게 되었다. 1961년, 미국 유니테리언 협회(American Unitarian Association)과 미국 유니버설리즘 교회(Universalist Church of America)가 통합해서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 협회를 창립하였다.
2015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성장을 거듭해, 미국과 캐나다에 총 225,000명 정도의 신자수를 확보하고 1,000개 정도의 모임을 결성했다. 유니테리언의 교회라고 할 수 있는 이 모임을 보통 "congregation"(모임, 집회, 회중)이라고 부른다. 영국에는 170여 개 정도이며, 대부분 잉글랜드 지역에 있고 스코틀랜드에는 4개, 웨일즈에는 20여 개 정도가 있다고 한다. 대다수는 유니테리언 다원주의 교파들이다.[1] 의외로 루마니아에서도 유니테리언 교회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칼뱅교처럼 대다수는 헝가리계 주민들이 믿는 편이다.
국내에는 2016년 현재까지는 가시적인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다. 애초에 대한민국의 프로테스탄트 교단은 반삼위일체 교파에 대해 매우 적대적인데다 복음주의 성향이 강한 한국 개신교인들이 경악할 교리들이 많다. 당장 신정통주의나 후기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기성교단조차 혼합주의니 하면서 얻어맞는 판국인데, 대놓고 진짜로 혼합주의를 표방하는 교단이 들어온다면 반응은 안 봐도 비디오일 것이다. 애초에 한국 개신교 자체가 매우 보수주의화, 정치화가 되어있어서, 모태신앙이나 컬트가 아니라면 새로운 신자 유입이 거의 없을 정도로 장벽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셜리즘이 한국에 들어온다고 해도 유의미한 신자를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셜리즘의 입회자들은 7가지 원칙(Seven Principles)을 단언(affirm) 및 고취(promote)시키고, 6가지 근원(Six Sources)을 토대로한 생활 방식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동의해야한다.
7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개요
기독교에서 파생된 일련의 종교운동들. 16세기 폴란드의 신학자 파우스토 소치니에게 영향받아 형성되었다.
오늘날 유니테리언이라고만 하면 약간 혼동될 여지가 있다. 제2번 문단의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이성을 중시하는 개신교의 일파를 가리킨다. 그반면 제3번 문단의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UUism)은 유니테리언에서 파생하기는 했지만 기독교를 떠나서 종교다원주의를 내세우는 종교운동이다. 다만 현대에 와서는 개신교 교파로서의 유니테리언은 소수고 UUism이 다수라 그냥 유니테리언이라고만 해도 UUism을 가리키는 때가 잦다.
2. 개신교 교파 유니테리언
16세기에 시작된 이래, 화학자이자 신학자였던 조지프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가 영국에서 유니테리언의 성립에 크게 기여했다.
반삼위일체 교파지만 의외로 미국 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건국 당시의 미국은 개신교 이민자들이 주류를 차지하는 나라였지만 헌법에서도 기독교나 신, 예수에 대한 언급은 일절 없으며, 건국의 주역들이 교회와 기존 기독교에 대해 악담에 가까울 정도로 비판을 했던 것에서 흔적을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조지 워싱턴의 선서에서 비롯되어 관습이 되어버린 선서 시 성경에 손을 올리는 선서식을 가지고 기독교적 근거가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사실 법적으로 반드시 성경이어야 할 필요가 없다. 즉 무슬림이라면 쿠란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해도 되고 법을 준수하겠다는 의미로 법전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해도 되며 아무 책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해도 되는 것이다. 실제로 테오도어 루즈벨트도 선서식에 성경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선서 문장에도 신이나 종교적인 색채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마지막 끝마무리에 관용식으로 붙는 'So help me God'은 후대에 붙여진 것. 이처럼 후대에 붙여진 것이 마치 건국 초기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미국인들조차도 착각하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1900년대 전후 종교 근본주의가 정치적 힘을 갖게 되면서 가미된 것들이다. 즉 '''만들어진 전통'''인 셈. 가령 'In God We Trust'라는 유명 문구는 1956년에서야 국가표어가 되었다. 다만 God이라는 문구 자체가 유신론 종교계에서 중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독교계는 물론이거니와 유태계나 이슬람계에서도 딱히 불만을 표하지 않는 것. 세속주의 시민운동계에서는 이 문구의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이 아닌 개신교 교파로서의 유니테리언을 따로 떼서 성경 유니테리언(biblical unitarianism)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특히 19세기 중반 이후 유니테리언 내부에서 성경을 진리의 절대적 근원으로 보지 않는 사조가 확산됨에 따라, 여기에 반하여 성경을 진리의 근원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성경적인'이라는 칭호를 달았다.
오늘날 개신교 교파로서의 유니테리언은 매우 소수이다. 헝가리에 25,000여 명,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에 75,000명 정도가 남아있다.
성경적 유니테리언의 입장을 이어받은 교단으로 '그리스도아델피안'이 있으며 교세는 6만여 명 정도이다.
장 칼뱅의 다섯 솔라(Five Solas)까지도 인정하며 복음주의 기독교와 흡사한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삼위일체론, 즉 예수의 신격만큼은 인정하지 않는다. 예수는 위대하고 초자연스럽고 뛰어난 인물로서 어쩌면 예언자일 수도 있겠지만 유일신이라고 볼 수는 없다는 입장. 반삼위일체 교파로 불리지만 아리우스파의 교리와도 다르다.
'''신조 없는 믿음'''이라는 사고방식에 다음과 같은 측면들을 깔고 있다. 신에 대해 칼뱅주의다운 엄하고 징벌다운 관점보다는 모성애답고 따뜻한 사랑을 보이는 관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인간 본성의 측면이나 이성도 강조한다.
- 유일신의 단일성, 삼위일체 부정
- 성경을 이해함에 있어 이성의 중요성
- 신앙다운 진리를 발견함에 있어 인간 본성의 중요성
- 사랑과 부모다운 본성을 가진 유일신
- 원죄에 대한 부정
3. 다원주의 종교 운동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UUism)
그 이름 그대로 유니테리언과 유니버설리즘이 합쳐진 것이다. 기독교에서 유니버설리즘이란 만인이 구원을 받는다는 신학 사조이다. 만인 구원론 자체는 교부 시대의 오리게네스도 주장했다가 이단으로 몰리는 등 꽤 역사가 깊은 사상이나 근현대의 유니버설리즘의 직접적인 모태라고 하기는 힘들고, UUism의 뿌리가 된 근현대 유니버설리즘 교단은 18세기 후반에 생겨났다.
유니테리언이나 유니버설리즘 둘 다 초기에는 기독교의 종교 운동으로 출발했으나 근현대를 거치며 변화를 거듭했다. 마침내 그 둘이 합쳐진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은 더 이상 기독교의 분파라고 보기에는 어렵게 되었다. 1961년, 미국 유니테리언 협회(American Unitarian Association)과 미국 유니버설리즘 교회(Universalist Church of America)가 통합해서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 협회를 창립하였다.
2015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성장을 거듭해, 미국과 캐나다에 총 225,000명 정도의 신자수를 확보하고 1,000개 정도의 모임을 결성했다. 유니테리언의 교회라고 할 수 있는 이 모임을 보통 "congregation"(모임, 집회, 회중)이라고 부른다. 영국에는 170여 개 정도이며, 대부분 잉글랜드 지역에 있고 스코틀랜드에는 4개, 웨일즈에는 20여 개 정도가 있다고 한다. 대다수는 유니테리언 다원주의 교파들이다.[1] 의외로 루마니아에서도 유니테리언 교회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칼뱅교처럼 대다수는 헝가리계 주민들이 믿는 편이다.
국내에는 2016년 현재까지는 가시적인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다. 애초에 대한민국의 프로테스탄트 교단은 반삼위일체 교파에 대해 매우 적대적인데다 복음주의 성향이 강한 한국 개신교인들이 경악할 교리들이 많다. 당장 신정통주의나 후기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기성교단조차 혼합주의니 하면서 얻어맞는 판국인데, 대놓고 진짜로 혼합주의를 표방하는 교단이 들어온다면 반응은 안 봐도 비디오일 것이다. 애초에 한국 개신교 자체가 매우 보수주의화, 정치화가 되어있어서, 모태신앙이나 컬트가 아니라면 새로운 신자 유입이 거의 없을 정도로 장벽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셜리즘이 한국에 들어온다고 해도 유의미한 신자를 모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셜리즘의 입회자들은 7가지 원칙(Seven Principles)을 단언(affirm) 및 고취(promote)시키고, 6가지 근원(Six Sources)을 토대로한 생활 방식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동의해야한다.
7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사람의 존엄함과 본래적 가치
- 인간 관계에서의 정의와 평등, 동정심
- 신자들 간에 서로를 받아들이고 정신적 성장을 격려
- 진실과 의미를 찾기위한 자유롭고 책임감 있는 탐구
- 사회와 회중에서의 양심의 자유와 민주적인 절차
-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 모든 이의 평화, 자유, 정의를 목표
- 우리가 속한 모든 존재의 상호 의존적인 세계에 대한 존중
- 우리의 정신을 회복하고 생명을 창조하고 유지하는 힘을 받아들이도록 도와주는 모든 문화권에 존재하는 초월적인 신비와 경이로움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
- 정의와 동정심 그리고 사랑의 힘으로 악의 힘과 구조에 대항하도록 우리의 도전 의식을 북돋우는 선지자들의 말과 행동
- 윤리적이고 영적인 삶에 있어서 우리를 고무시키는 세계 종교들의 지혜
- 이웃을 우리 자신처럼 사랑함으로써 신의 사랑에 응답하도록 요구하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가르침
- 마음과 영의 우상 숭배에 대해 경고하고, 이성의 지도와 과학의 결과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권고하는 인본주의의 가르침.
- 신성한 삶의 순환을 찬양하고 자연의 리듬과 조화롭게 살도록 알려주는 지구 중심 전통의 영적 가르침.
4. 관련 사이트
- 유니테리언 소개 (영어)
[1] 그래서 성경 옆에다 불경, 논어, 쿠란(...)을 같이 놓기도 하며, 기독교식 건물 안에서 힌두교식 행사를 치루는 광경도 가끔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