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우(독립운동가)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유상규의 형이다.
2. 생애
유상우는 1894년 10월 18일 평안북도 강계군 동부리에서 아버지 강릉 유씨 유연성(劉泳星)과 어머니 신씨 사이에 3형제 중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조부 유신진(劉信鎭)은 강계에서 이름난 한의사로, 상인 조직인 상무회(商務會)의 회장을 맡는 등 지역의 유지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부친 유영성은 일본 유학을 다녀왔지만 특별한 직업이나 사회활동을 한 기록은 없다. 또한 동생 유상규는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의사로서 활동하는 한편 안창호와 깊은 연계를 맺으며 독립운동에도 전념했고, 동생 유상하(劉相夏)는 배재중학교와 경성공업전문학교 건축과를 졸업한 뒤 조선건축기술단 상무를 역임하였다.
유상우는 1919년 3월 하순 강계군에서 동지들과 상의하여 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하고 동지 규합에 나섰다. 이들은 1919년 4월 8일 거사하기로 하고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1,000장씩 만들고 청년, 학생들에게 연락하여 시위를 준비하였다.
4월 8일 11시가 되자 남장대 예배당에서 울리는 종소리 신호로 골목에 매복했던 학생들이 일제히 뛰어나와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돌리며 만세운동은 시작되었다. 장꾼들의 합세로 삽시간에 수천 명으로 불어난 시위대열은 태극기를 앞세우고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북문으로 향하였다.
행렬이 거의 북문에 도달하였을 즈음, 돌연 기마헌병들이 총에 칼을 꽂아 들고 군중을 위협하며 발포하기 시작했다. 현장에서 정준, 김병찬(金秉賛), 손주송(孫周松) 등이 피살되었고 부상자도 속출하였다. 시위 후 체포된 유상우는 1919년 9월 18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소요로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유상우는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연통제 평북 강계의 참사(參事)로 활동하다가 다시 체포되어 1920년 10월 9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소위 제령 제7호 위반으로 징역 10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1921년에는 조선청년회연합회 조직에 참여한 강계청년수양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에는 서울에서 조용히 지내다 1948년 1월 1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7년 유상우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