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

 



'''평안북도'''
平安北道
Phyŏnganbuk-do, North Phyŏngan

}}}

'''도청 소재지'''
신의주시
'''지역'''
관서
'''면적'''
12,680.3km²
'''하위 행정구역'''
3시 22군
'''시간대'''
UTC+9
'''인구'''
2,728,622명
'''인구밀도'''
215명/km²
'''당위원회 책임비서'''

문경덕
'''인민위원장'''

장세철
'''상징'''
'''시화'''
''미상''
'''시목'''
''미상''
'''시조'''
''미상''
'''ISO 3166'''
''미상''
[image]
<color=#ffffff> '''평안북도의 위치'''
1. 개관
2. 교통
3. 하위 행정구역
4.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5. 관련문서


1. 개관


북한 서북부에 있는 도이다. 면적은 12,680.3km2이며,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2,728,622명이다. 남쪽에 평안남도, 동쪽에 자강도가 있다. 서쪽에는 황해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서,북쪽으로는 압록강(북중 국경선)을 통해 중국과 이어진다.
도청 소재지는 신의주시.
주요 도시로는 도청 소재지인 신의주시를 비롯해 구성시, 정주시, 영변군, 의주군, 선천군 등이 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북한의 핵시설인 영변 원자력 연구소이 영변군에 있다.
1949년 1월에 평안북도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1], 위원군, 초산군, 희천군을 분할해서 자강도로 분도했다.

2. 교통


평양역 기점 및 신의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평의선 철도가 지난다. 그리고 평의선은 단둥역과 연결된다. 신의주개성간 고속도로의 종점이기도 하다.

3. 하위 행정구역




4.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image][image]
위쪽이 광복 직후, 아래쪽이 현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 표에서 기록하는 행정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평안북도 및 자강도의 행정구역 변화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번호
시 / 군
면적

번호
시 / 군
면적
참고
평안북도
A
'''신의주시'''

평안북도
A
'''신의주시'''
166
[2]
평안북도
B
의주군
'''1,677'''
[3]
평안북도
B
의주군
420

C
피현군
439
[4]
D
삭주군

[5]
E
천마군
763
[6]
평안북도
C
용천군
570
평안북도
C
피현군
439
[7]
F
룡천군
270

G
신도군
108
[8]
H
염주군
330
[9]
평안북도
D
철산군
456
평안북도
[10]
I
철산군
364

J
동림군
437
[11]
평안북도
E
선천군
673
평안북도
[12]
K
선천군
450

평안북도
F
정주군
828
평안북도
L
곽산군
310
[13]
M
'''정주시'''
473

N
운전군
360
[14]
평안북도
G
박천군
589
평안북도
[15]
O
박천군
288

평안북도
H
영변군
'''1,709'''
평안북도
P
녕변군
504

Q
구장군
584
[16]
R
향산군
483
[17]
평안북도
I
운산군
820
평안북도
S
운산군

[18]
평안북도
J
태천군
684
평안북도
T
태천군
730

평안북도
K
구성군
'''1,242'''
평안북도
E
천마군
763
[19]
U
'''구성시'''
653

평안북도
L
삭주군
'''1,153'''
평안북도
D
삭주군


W
대관군
837
[20]
평안북도
M
창성군
'''1,323'''
평안북도
V
창성군
620

Y
동창군
665
[21]
평안북도
N
강계군
'''5,404'''
자강도
1
'''강계시'''
264

2
'''만포시'''
672
[22]
3
시중군
602
[23]
4
장강군
727
[24]
5
성간군
949
[25]
6
전천군
'''1,001'''
[26]
7
룡림군
'''1,195'''
[27]
평안북도
O
희천군
'''2,366'''
자강도
8
'''희천시'''
984

9
동신군
'''1,205'''
[28]
평안북도
P
자성군
'''1,806'''
자강도
10
자성군
887

11
중강군
669
[29]
12
화평군
'''1,219'''
[30]
평안북도
Q
후창군
'''2,429'''
[31]
량강도

김형직군
'''1,473'''
[32]
함경남도

장진군
'''5,688'''
자강도
13
랑림군
'''2,062'''
[33]
평안북도
R
위원군
'''1,234'''
자강도
14
위원군
'''1,160'''

평안북도
S
초산군
'''2,328'''
자강도
15
초산군
590

16
고풍군
675
[34]
17
송원군
'''1,080'''
[35]
평안북도
T
벽동군
'''1,215'''
자강도
18
우시군
703
[36]
평안북도
X
벽동군
640


5. 관련문서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1] 자강도 분도 후 량강도로 편입된다.[2] 구 행정구역의 면적이 10.6㎢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명백한 오류. 구 행정구역과 신 행정구역에서 변화된 것이라고는 의주군에서 위화면(이성계가 넘었다는 바로 그 위화도)이 넘어온 것과 용천군에서 삼교천 일대 유역 일부가 넘어온 게 전부이기 때문. [3] 서쪽 끝의 위화면이 이동.[4] 위원면, 고관면의 절반, 비현면, 월화면이 이동[5] 가산면, 광평면, 옥상면이 이동. 현재의 삭주군 면적 대부분은 의주군에서 온 것이며 원래 삭주군이였던 지역은 1/3 정도만 남아 있는 상태.[6] 고령삭면이 이동[7] 동북부 동상면이 이동[8] 비단섬 일대의 섬만 따로 떼어서 만든 군.[9] 군 남단의 내중면, 외하면, 외상면, 부라면이 이동[10] 군 북부의 서림면이 이동[11] 군 북부의 점면이 이동[12] 군 서부의 심천면, 용연면이 이동[13] 군 서부의 안흥면, 옥천면, 관주면, 임포면이 이동[14] 군 동부의 고덕면, 마산면, 대전면이 이동[15] 군 서부의 용계면의 절반, 청룡면의 절반, 가산면, 양가면, 서면이 이동[16] 군 동부 남신현면, 고성면의 절반, 오리면의 절반, 용산면, 백령면이 이동[17] 군 동북부 남송면의 2/3, 태평면, 북신현면이 이동[18] 정확한 면적은 불명이지만 행정 구역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860~87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됨.[19] 군 서부의 관서면, 천마면, 사기면이 이동[20] 군 남부의 수동면, 양산면, 외남면, 남서면이 이동[21] 군 남부의 청산면, 대창면, 동창면이 이동[22] 군 북서부의 고산면, 만포읍, 문옥면, 이서면과 외귀면의 1/3이 이동[23] 군 북서부의 외귀면 남부 2/3, 시중면, 곡하면, 어뢰면이 이동[24] 군 서부의 공북면, 종남면, 종서면이 이동[25] 군 중부의 성간면, 간북면이 이동[26] 군 남서부의 전천면, 화경면과 입관면의 서부 1/5이 이동[27] 군 남동부의 용림면과 입관면의 대부분이 이동[28] 군 동부의 신풍면, 장동면, 동창면이 이동[29] 군 최북단의 장토면, 중강면이 이동[30] 군 남부의 이평면이 이동[31] 군 서남부의 남신면, 칠평면이 이동[32] 후창군이 이름이 바뀐 것.[33] 동문면, 북면과 상남면의 서부 절반이 이동[34] 군 중부의 고면, 풍면, 강면이 이동[35] 군 남부의 판면, 송면, 도원면이 이동[36] 군 동부의 벽동면의 동부 절반, 오북면, 우시면, 가별면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