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

 


[image]
일본 럭비 유니온 국가대표팀
ラグビー日本代表
'''정식명칭'''
ラグビー日本代表
'''감독'''
제이미 조셉 (Jamie Joseph)
'''주장'''
호리에 쇼타 (堀江 翔太) & 타테카와 하루미치 (立川 理道)
'''최다출전자'''
오노 히토시 (大野 均) 98경기
'''최다득점자'''
고로마루 아유무 (五郎丸 歩) 708득점
'''최다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大畑 大介) 69회
'''홈 구장'''
도쿄 신국립 경기장 (68,00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캐나다 (9:8 승), 1932년 1월 31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대만 (155:3 승), 2002년 7월 1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뉴질랜드 (17:145 패), 1995년 6월 4일
'''럭비 월드컵'''
'''9회 모두 개근 출전'''
럭비 월드컵 최고 성적
8강 (2019년)
'''별칭'''
Cherry Blossoms/Brave Blossoms
홈페이지

1. 개요
2. 럭비 월드컵


1. 개요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대표팀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아직 럭비 월드컵을 비롯한 세계 대회에서는 많이 아쉬운 점을 보여준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럭비 세계대회에 참가 가능한 실력을 가지고 있고 인프라와 시설이 좋기에 2019 럭비 월드컵이 아시아 최초로 일본에서 개최된다.
참고로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럭비 월드컵에 출전한 김철원 선수도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2. 럭비 월드컵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럭비 월드컵의 첫 대회인 1987년 대회부터 진출하고 있지만 대회 동네북으로 착실하게 임무를 다하는데(...) 2015년까지 단 1번도 토너먼트를 넘어본 적이 없다.
2011년 대회 조예선에서는 통가에게도 졌으며 캐나다랑 비기며 1무를 기록한 것에 만족[1]하며 조 꼴찌로 일본은 탈락했다.
하지만 2015년 9월 19일 영국에서 열린 럭비 월드컵에서 강호 남아공을 34-32로 꺾는 대이변을 연출했다. '''전세계가 진짜 충격을 먹은 일'''이었는데, 남아공 럭비 대표팀, 즉 스프링벅스는 영화 인빅터스로 유명한 1995 럭비 월드컵 이후 '''올 블랙스 다음가는 최강의 팀'''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런 팀이 '''럭비월드컵계 최강의 승점 자판기'''인 일본 국가대표팀에게 졌다. FIFA 월드컵으로 치면 "일본이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 유럽 우승팀이나 아르헨티나브라질같은 남미 우승팀을 잡은 정도이다. 하지만 스코틀랜드에게 10-45로 패배하여 순위가 추락했다. 그나마 이후 상대인 미국과 사모아를 이겼는데 문제는 '''남아공, 스코틀랜드, 일본이 서로 3승 1패씩 한것이다.''' 토너먼트에 진출하려면 한조의 상위 2명만이 갈수있는데 여기서 럭비 월드컵만의 특별한 승점 방식인 4트라이 이상시 승점 1점, 7점차 이하의 패배시 승점 1점을 얻는 승점으로 남아공이 16점으로 1위, 스코틀랜드가 14점으로 2위, 일본이 12점으로 조 3위를 차지했다. 지금까지 럭비 월드컵에서 3승을 하고도 토너먼트에 진출을 하지 못한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때까지 승점 자판기 수준의 일본이 많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만약 일본이 트라이를 조금만 더 했더라면 그리고 스코틀랜드에게 대패만 하지않았더라면 일본이 처음이자 첫 원정 8강을 달성할 수도 있었다.
이로부터 4년뒤 일본이 개최국으로 럭비 월드컵을 하게 되었다. 지난번에 이어서 이번엔 같은 조에 속해있던 아일랜드를 잡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아일랜드는 일본과의 경기 직전 럭비 랭킹 1위국이었다. 러시아, 사모아, 스코틀랜드를 모두 격파하고 일본의 첫 8강을 달성했다. 참고로 이때 아일랜드를 제외하고 모두 트라이를 4개씩 해서 승점 4점을 얻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대회에서 트라이가 적어서 8강을 떨어진 걸 의식했는지 아주 열심히 트라이를 만들려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공격만해서 수비가 무너졌는지 8강에서 남아공을 만나서 거짓말처럼 연승이 끊켜 일본이 4강에 진출하는 일이 없었다.
일본은 홍콩과 더불어 아시아 럭비 대표팀들 중에서도 귀화 선수나 외국인 선수가 많이 거치는 대표팀 중 하나인데, 실제 위키를 확인해보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이 링크는 일본이 남아공을 격파한 경기의 스쿼드인데, 이 가운데 Luke Thompson[2], Michael Broadhurst[3], Justin Ives, Michael Leitch[4], Hendrik Tui, Male Sa'u[5], Karne Hesketh는 뉴질랜드 태생 일본 귀화 선수, Ryu Koliniasi Holani, Amanaki Lelei Mafi[6]는 통가 태생 일본 귀화 선수, Craig Wing은 호주 태생 일본 귀화 선수, Kotaro Matsushima(松島 幸太朗)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태생 선수[7]이다. 이 가운데 마츠시마 코타로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은 일본에서 태어난 것도 아니고, 부모 중 한 쪽이 일본인인 것도 아니다. 대부분이 중고등학교 때 일본으로 유학을 가 현지에서 생활하다 일본 국적을 딴 케이스. 10명이 뛰었다는 것은 적당히 산출한 수치이고, 실제로는 귀화선수 6명 선발 출장에 2명 교체 출장이었다. 물론 귀화 선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 해당 국가 대표를 비하할 이유가 될 까닭은 없다.[8][9]
그리고 이는 럭비 월드컵에서 영주권을 갖고있지 않는 사람도 해당 국가에서 3년 이상[10] 거주를 할 경우 해당 국가의 대표팀으로 나올수 있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적용된다. 예를들면 가족중에 남아공 사람이 없는 순수 중국사람이 남아공에 4년정도 거주하고, 럭비를 엄청 잘한다고 하면 이 사람은 남아공의 국적을 따지 않고 남아공 대표로 럭비 월드컵의 선수로 등록이 가능하다.
이는 럭비 월드컵이 의미상 국가이지만 사실 국가의 이름을 쓴 하나의 클럽같이 정도로 인식 되기 때문이다. 올림픽이 아닌 이상 럭비 국가대표 유니폼에 국기 부착이 '''금지'''된 것도 이런 이유다.

[1] 2007, 2011년 연속으로 캐나다랑 비겼다.[2] 2007년 일본 귀화.[3] 뉴질랜드 청대 출신이다.[4] 2013년 일본 귀화. 어머니가 피지 혈통이다.[5] 뉴질랜드 태생이나 사모아 혈통이다.[6] 통가 청대 출신.[7] 단 마츠시마 코타로는 부친이 남아공인, 모친이 일본인으로 '''5세부터 일본 국적이 있었다.'''[8] 일본은 라모스나 로페스, 알렉스 같은 귀화 선수를 축구 국대에서 활용한 사례가 일찍부터 있었고, 이 때문에 대한민국 역시 아이스하키 국대를 보면 이게 한국 국대인지 캐나다 국대인지 헛갈릴 지경일 정도.[9] 참고로 국가대표란 그 나라를 대표하는 선수이지 그 민족을 대표하는 선수가 아닌데, 한국이나 일본이나 단일민족에 가깝다보니 이러한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영향이 꽤 있다. 실제 일본이 남아공을 격파한 경기에서 활약한 선수들은 어린 나이부터 일본에서 살았으니 일본에의 적응도도 높을 것이고. 따라서 귀화 선수가 많다는 것이 딱히 흠이 될 이유는 없다. 럭비의 경우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과 마찬가지로 국가대표 출전 규정이 꽤 완화되어있는 부분이 많아서 그냥 담백하게 받아들이면 될 부분. 다만 귀화 선수가 스쿼드에 절반 가까이 포진하는 것에 대해 '그 나라의 대표성이 있냐'는 문제는 제기될 수 있는데, 이는 '''일본 내에서도 나오는 이야기'''다. 일본 럭비는 아시아권 내로 한정할 경우 초강대국이며, 따라서 일본인들에게 럭비에 대한 관심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이다.[10] 2020년 말부터 5년으로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