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

 


1. 개요
2. 상세


1. 개요


입추(立秋)는 24절기의 13번째로 대서처서의 사이에 있다. 태양 황경이 135도가 될 때이다. 음력에서는 '가을이 시작하는 날이다.' 는 말이 있지만, 24절기는 (해당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엄연히 양력이다. 음력과는 관련이 없다.
양력으로는 8월 7일 내지 8월 8일에 든다. 가끔 말복이나 칠석과 겹치는 경우도 있다.

2. 상세


조선 시대에서는 입추가 지나서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또 이날은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날 날씨를 보고 점치는데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라고 여기고,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기고, 천둥번개가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해 봄에 소와 염소나 산양이 죽는다고 점쳤다고 하며, 그리고 이날은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 김장에 대비하며 김매기도 끝내면 농촌이 한가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입추 다음에 곧장 말복이 기다리고 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서와 더불어 더위의 최고 절정일 때이다.'''[1] 이는 중국 북부 화북지방의 날씨에 맞추었기 때문. 즉 대한민국에서 실질적으로 가을 날씨에 접어드는 기점은 입추가 아닌 처서 시기이다. 처서가 오면 본격적으로 가을이 찾아오기에 일찌감치 기분전환한다고 생각하면 좀 나을 것이다.[2] 물론 백화점이나 쇼핑몰 의류코너는 한두달 일찍 계절별 상품을 내놓기 때문에 입추 가을 옷을 많이 볼수 있기도 하고. 농촌에서는 입추만 되어도 김매기가 끝나 농한기에 접어드는 시기이기도 하다.
라디오에서는 이 시기를 전후해서 이문세의 "가을이 오면"이라는 노래를 정말 많이 틀어준다. 모든 방송사 주파수를 합치면 수백 번은 거뜬히 채울 정도.
'입추의 여지가 없다'라는 말의 입추(立錐)와는 관계가 없다. 이것은 송곳 꽂을 땅도 없다는 이야기다.

[1] 그러나 실질적인 더위는 대서~입추 전이 제일 덥게 느껴진다. 그 이유는 같은 고온이라도 더위의 시작 단계랑 더위에 어느 정도 적응(?)했을때의 느낌은 완전 다르다. 7말8초 기간이 한반도 더위의 초절정 기간이다.[2] 태백시, 대관령 같은 고지대는 예외. 이 곳은 이미 말복만 넘기면 아침이 가을날씨가 되며, 처서에 접어든다면 이미 한낮 기온조차도 20도 근처에서 오락가락한다.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가장 시원한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