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image]
[image]
여름의 대관령
겨울의 대관령
1. 소개
2. 설명
3. 기후
4. 여담


1. 소개


: / En: Daegwallyeong[1]
높이 832m. 강원도 강릉시평창군을 잇는 태백산맥의 주요 고개. '''영서'''와 '''영동'''을 나누는 분수령이자, '''태백산맥의 대표 고개이자 강릉을 대표하는 고개'''라고 할 수 있다.

2. 설명


예로부터 영동 지방에서 영서 지방, 더 나아가 한양으로 갈 때 오르내리던 고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신사임당이 오랜 친정살이를 끝내고 마침내 시가(媤家)로 갈 때[2] 대관령 고개에서 멀리 보이는 강릉을 보며 쓴 한시가 널리 알려져 있다.
태백산맥 중앙에 자리해 있는 고개인지라 지금까지도 여느 고개보다 수요가 많은 고개다. 심지어 예전 선조들이 다니던 산길은 현재 대관령 옛길로 불리며 등산코스로 이용되며, 지금 이 고개를 넘는 길(구 영동고속도로)은 나름 일제강점기 때부터 만들어진 길이다. 고개를 올라가는 도중에 준공 기념비가 하나 서 있기도 하다.이거 대한민국의 있는 고개 중에서는 독보적으로 인지도가 높다.
한계령미시령보다는 난이도가 현저히 낮지만 그래도 산맥을 넘는지라 꽤나 구불구불하여 40km/h을 넘지 못했다. 그래서 1990년대 후반까지도 이 길은 영동고속도로인데 지방도 456호와 겸용구간으로 사용되며, 고속도로라 하기엔 너무나 빡센 드리프트 구간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넘는데 걸리는 시간만 약 30분이었으니... 과거에는 이 도로를 처음 타는 차들이 엔진 브레이크 없이 풋 브레이크만 써서 내리막길을 내려가다 브레이크 과열로 갓길에 멈춰 있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었다. 또 겨울에는 타이어에 체인을 감지 않은 차량들은 이곳에서 사고가 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대관령마을휴게소에서 모두 돌려보냈다. 비위 약한 사람에게 멀미를 일으키는 곳으로, 특히 술 마신 다음 날 아침에 여기를 타면 그야말로 죽음이다.
그리고 눈이 몹시 많이 내리는 지역이라 눈이 왔다 하면 길이 막혀 버리고 고립되는 진풍경이 일어나기도 했다. 멀리 보이는 강릉시의 전경(특히 야경)이 상당히 운치있어 어느정도 고생을 덜어주지만.
그러다 2001년 영동고속도로 전 구간이 왕복 4차로 이상으로 넓어지고, 대관령 구간은 영서 시점에서 기존 도로로 부터 남쪽으로 반원을 그리며 내려갔다 올라오고 북쪽으로 다시 반원을 그리며 내려가며 강릉 인근에 다다르는 형태의 S자형 코스에 터널을 여러 개 뚫는 형태로 선형이 개량되어[3] 대관령 소요시간이 3분의 1로 줄어들었다. 기존 대관령 고갯길은 456번 지방도로 격하되고 끝내 영동고속도로의 그 고단함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특히 선형 개량된 구간은 일반 고속도로 구간과 달리 야간 및 안개시에 가로등이 켜지며, 아스팔트 바닥 아래에는 눈이 빨리 녹을 수 있도록 열선을 깔았고, 강릉방향 내리막 구간은 대형트럭까지도 망라하는 긴급제동시설[4]을 갖추는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대형사고가 날 확률이 높은 고지대 구간의 고속도로인 만큼 안전 시설에 꽤나 신경을 썼다. 다만 느리게 다닐 때는 몰랐던 '''대관령이 가진 무시무시한 바람의 위력을 고속도로 표준 속도로 이동하게 되면서 비로소 실감하게 되었다. ''' 과연 티코는 날아간다는 말이 오갈 만큼 바람이 거세고, 심지어 지나가는 대형버스마저 지진 난 양 흔들린다. 그래서 곳곳에 방풍 장치 및 '강풍 주의 감속 운행'이란 문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럼에도 사고가 끊이질 않자 강릉 방향 내리막 전 구간에 구간단속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니 카메라 안 보인다고 막 밟지 말자.
지금은 자덕들이 업힐을 위해 이용한다. 대관령 업힐대회도 열리고 대한민국 국토에서 가장 유명한 고개이다보니 업힐 좀 한다는 이들의 도전이 끊이질 않는다. 다만 강원도의 추위를 고려하여 초여름이나 늦은 여름에 오를 것을 권한다.
2017년 12월 22일에 경강선이 개통해, 강릉선 KTX가 길이 20 km 이상인 대관령터널을 통해 이 고개를 직선주파한다. 사실 철도의 경우 자동차보다 경사에 민감하기 때문에 대관령까지 올라가지 못하고, 진부에서부터 바로 터널로 진입하여 강릉까지 계속 완만하게 내려가는 방식을 취한다.

3. 기후


대관령 하면 바로 떠올리는 것이 바로 추운 날씨다. 실제로 대관령은 한국에서 가장 낮은 평균기온이 나타나는 지역이다. 이곳의 연 평균기온은 6.6 ℃에 불과[5]하고 최한월인 1월의 평균기온은 -7.7 ℃로 '''모스크바'''보다 약간 춥다. 물론 이는 대관령의 높은 해발고도에 기인한다. 한겨울 미디어에서 한파와 관련된 보도나 기상정보가 나올 때 항시 등장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추운 날씨로 인해 여름철에도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고랭지 채소 농사를 짓는 장소이다.
이를 서울하고 비교하면 서울의 연평균기온이 12.5도, 평균최고/최저기온이 각각 17.0도/8.6도 임을 감안할때, 대관령이 평균적으로 서울보다 6도나 낮은 기온분포를 보이고 있다는 말이다. 서울의 경우 온대기후지만 냉대기후에 가까운 지역인데도 이렇게 큰 편차가 난다. 철원보다도 2~4도씩이나 차이가 난다. 대관령의 월평균기온은 12월부터 3월까지 영하에 머무른다. 평균최저기온은 11월부터 3월까지 영하다. 강수량은 전국과 마찬가지로 여름에 집중된다. 1986년 1월 5일에는 대관령의 '''일 최고기온'''이 '''-19.1 °C'''로 관측되어 '''역대 가장 낮은 일 최고기온 1위 '''를 기록한 적도 있었다.경상일보 2001년 1월 12일 기사[6] 겨울부터 봄까지는 습도가 낮아서 건조하다. 거기다 바람까지 거센 경우가 많아서 체감온도는 더 낮다. 또한그래서, 대한민국 최초의 스키장을 이곳에 짓게 된 것이다.
산간지방으로서 한여름에도 최고기온이 쉽사리 30 °C를 웃돌지 않았으나, 최근 지구온난화로 폭염이 잦아지면서 심심치 않게 30 °C를 넘는 날이 등장하고 있다. 영동지방의 2018년 폭염이 대관령에도 영향을 미쳐 7월에 9일 연속으로 30 °C를 넘었으며 특히 7월 22일 최고기온은 '''32.9 °C'''로 1973년 8월 12일에 기록된 32.7 ℃를 45년만에 돌파했다. 그나마 기상관측이래 아직까지 열대야와 폭염은 단 한차례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예상 외로 4~5월에 30°C를 넘은 적은 있었는데, 1983년 5월 29일에는 '''31.0°C''' 기록, 2005년 4월 30일에도 '''30.1°C''' 기록. 가장 최근을 보자면 2014년 5월 31일에 30.0°C 기록. 아이러니하게도 9~10월에는 30°C를 넘긴 적이 없었다.
또한 대관령의 기상학적인 여름은 서울이나 기타 대도시가 연중 100일을 넘어갈때 이 곳은 7월 말부터 8월 초중순까지 20여일정도밖에 안된다. 2010년 '''6월 1일''' 새벽에는 '''-1.7 ℃''' 까지 떨어진 적도 있을 정도이며 '''초여름인 6월에 영하로 떨어질 정도'''면 얼마나 시원한 곳인지 알수있는 대목이다.[7] 이처럼 여름에도 선선한 기후로 화이트 어린이날을 넘어서 화이트 현충일까지도 보일 수도 있는 동네이다. 또한, 1976년 7월 5일에는 '''4.4 °C''', 1977년 8월 27일에는 '''3.3 ℃'''까지 떨어졌었다. 그리고 고지대다 보니 바람도 많이 불어 풍력 발전단지가 이곳에 건설되어 있다.
동해가 가까이 있고, 산간 지방인 특성상 강수량도 많다. 일 강수량 최다 1위가 2002년 8월 31일 태풍 루사가 내습하였을 때 기록한 '''712.5 mm'''로, 이는 같은 날 강릉[8]에 이은 역대 전국 '''2위'''이다.

4. 여담


강릉 사람들은 자동차를 구입한 뒤 대관령 밑에서, 또는 자동차가 대관령을 바라보게 하고 무사안전을 빌며 고사를 지내기도 한다. 하필 대관령인 이유는 대관령을 넘는 차로가 주요도로이며, 큰 사고가 나기 쉬운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관령 산신에게 잘 보여서 차의 안정을 보장받으려는 것.
강원도 영동지방 고등학생들은 대학 갈 때 1차 목표가 바로 이 '''대관령'''을 넘어가는 것이다. 궁금하면 영동지방 4년제 대학과 영서지방 4년제 대학 개수를 비교해 볼 것.
강릉시에 있는 학교 교가의 상당수가 '''가사의 첫 시작이 대관령이다.''' 암튼 이래저래 강릉시 시민 및 영동지방 주민들의 애환이 서린 고개다.
백두대간상에 위치한 점과 아흔아홉굽이로 상징되는 험준한 고개라는 인식 때문에 서울-강릉 사이의 가장 높은 고개가 대관령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횡성군평창군사이에 위치한 '''양구두미재가 해발 980 m로 대관령(832 m)보다 훨씬 높으며,''' 양구두미재 밑을 뚫은 구 영동고속도로 영동1터널[9]조차 해발 890 m로 대관령보다 높다.
1980년대 후반부터 전파된 '''야호 나는 대관령이 좋아'''란 유행어 덕분에 당시 어린이들을 중심으로 인지도가 급속도로 상승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이 주변 지역의 기후는 태백시와 대동소이하다.''' 오히려 태백시의 상위호환급이 대관령이라 칭할 수 있을 정도. 사시사철 꾸준히 시원하고 춥기 때문에 겨울은 물론이고 한여름밤에도 난방을 틀어야 한다. 기상관측 사상 단 한 번도 열대야가 없었다. 원래 태백도 관측사상 한 번도 열대야가 없었는데 2013년 8월에 열대야가 나타나며 열대야가 없는 기상관측소의 명성은 대관령만 유일하게 됐다.
그래서인지 대관령마을휴게소(옛 대관령휴게소)가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강원일보 기사
대관령휴게소 북쪽 능선에 강원항공무선표지소가 있어서 일본이나 미주로 가는 비행기들이 위로 지나간다. 일본 동남부로 가는 비행기들은 이 곳에서 우선회하여 동해시 상공에서 바다로 진출하고, 일본 북부나 미주행 비행기들은 니가타 방향으로 직진한다.
넥슨의 게임 카트라이더에서 이 지역을 소재로 한 맵을 만들었다. 이름은 '포레스트 대관령'
도암면이 대관령면으로 개칭되면서 '횡계IC'의 이름이 대관령IC로 변경되었다.
목장들도 많은데, 주로 양떼를 키우는 낙농업 목장들이다. 삼양식품이 운영하는 대관령 목장이 있으며 그외 여러 목장이 있다. 야사에 따르면,거지왕 "왕초" 김춘삼과 그를 따르던 부랑인들이 해당 지역 목장 개발에 노동인력으로 동원되었다는 설도 있다. 하여튼 이러한 목장은 풍력발전단지를 끼고있어서 꽤 장관이다.
다찌마와 리(리부트)에서는 같은 대관령 목장을 찍어놓고, 겨울에 찍은 건 스위스 일대라고 해놓고, 봄과 가을에 찍은 건 켄터키 목장 인근이라고 퉁쳤다(...)
천하제일상 거상에서 특수지형으로 등장하는데 이때 나오는 배경 테마곡이 거상의 옛 전투음이었다.
K리그1 2020시즌 공식 인트로에 강원 FC의 로고와 일명 강웅이 동상과 같이 강원을 상징하는걸로 풍력발전소와 같이 등장했다.

[1] 자음동화(유음화)가 일어나므로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의해 음운 변동을 반영한다.[2] 신사임당은 아직 시부모님이 건강해서, 임신해서 등등의 까닭을 들며 혼인해서도 강릉 친정집인 오죽헌에 살았고, 덕분에 신사임당은 인생의 대부분을 강릉에서 지냈다.[3] 사실 첫 기획안은 기존 고갯길을 넓히기만 하는 괴상한 기획이었다. 이것을 알아챈 강릉 시민들의 여론이 험악해지자 지금의 S자형 코스로 바뀐 것이다.[4] 제동구간의 바닥을 자갈과 흙, 타이어로 깔아 제동효과를 발휘하며 마지막에 모래 언덕으로써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브레이크가 망가진 차량은 이 시설로 대피하면 마찰력 증대 및 차단 효과로 탑승자 안전을 최대한 보호하면서도 차량을 순식간에 멈추게 할 수 있어서 다른 차량과 충돌 및 낭떠러지로 떨어지는 대형참사를 막는 중요한 안전보호기능을 맡는다.[5] 노르웨이오슬로와 비슷하다. 참고로 오슬로는 '''북위 60도'''선이 시내 위쪽을 통과한다.[6] 이 날 최저기온은 '''-24.4 ℃''', 평균기온 '''-21.9 ℃'''였다.[7] 1~2월에는 -30 °C 근처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아주 뜬금없는 기록은 아니다. 대관령 1월 역대 최저기온 -28.9 °C에 비하면 27.2 °C나 높은 온도이다.[8] 870.5 mm[9] 현재는 평창군도로 격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