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서명/목록
1. 1년
1.1.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저장 공간: 일반 저장 공간 등
운영: 금융결제원 등
발급: 시중 은행 (카카오뱅크 제외) 등
업체용 범용인증서는 2년 및 3년 발급이 가능하다.
2. 2년
2.1. 카카오톡 지갑
저장 공간: 카카오톡 앱 (TEE/SE)
운영/발급: 카카오
2.2. 카카오페이 인증
저장 공간: 카카오톡 앱 (TEE/SE)
운영/발급: 카카오페이
2.3. 페이코 인증서
저장 공간: 페이코 앱 (TEE/SE)
운영/발급: 페이코
3. 3년
3.1. 금융인증서
저장 공간: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HSM)[1]
운영: 금융결제원
발급: 시중 은행 (일부 제외)
각 은행앱에서 발급하면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에 저장되며, 발급, 재발급, 타행 등록 과정은 공동인증서와 거의 동일하다. 특이사항으로 은행마다 패턴/생체인증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3.2. PASS 인증서
저장 공간: PASS 앱 (TEE/SE)
운영: '''ATON'''
발급: SKT, KT, LG U+
3.3. 뱅크사인
저장 공간: 뱅크사인 앱 (TEE/SE)
운영: 금융결제원
발급: 시중 은행 (한국씨티은행, 카카오뱅크 제외)
3.4. 네이버 인증
저장 공간: 네이버 앱 (TEE/SE), 웨일(PC)
운영: 한컴위드
발급: 네이버
3.5. 삼성 패스 전자서명 인증서
저장 공간: 삼성 패스 앱 (Knox)
운영: 한국정보인증
발급: 삼성 패스
4. 무기한
4.1. 토스인증서
저장 공간: 토스 앱 (TEE/SE)
발급: 토스
토스에 가입하면 기본적으로 발급된다.
4.2. 디지털원패스
저장 공간: 디지털원패스 앱 (TEE/SE)[2]
운영/발급: 행정안전부
4.3. KB모바일인증서
저장 공간: KB스타뱅킹 앱 (TEE/SE)
운영/발급: KB국민은행
5. 발급 중단
5.1. 브라우저인증서
저장 공간: 브라우저,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HSM)
운영: 금융결제원
각 은행의 인터넷뱅킹에서 발급하면 브라우저 캐시 또는 금융결제원 클라우드에 저장되며, 발급, 재발급, 타행 등록 과정은 공동인증서와 거의 동일하다.
2020년 12월 10일 부로 발급이 중단되었지만 이미 발급한 인증서는 남은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