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결제원

 

金融決濟院
Korea Financial Telecommunications & Clearings Institute


홈페이지
EXK 홈페이지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


은행 간 소액 지급결제 인프라인 금융공동망을 운영하고, 은행/보험/신용카드용의 개인용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와 금융인증서 발급 및 관리를 수행하는 비영리단체로 후술하겠지만 공공기관이 아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2 (역삼동) 소재.[1]
본래 어음을 교환하는 전국어음교환관리소와 지로를 관리하는 은행지로관리소가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1986년민법 제32조에 의해 출범된 사단법인이다. 왠지 공공기관일 것 같지만, '''공공기관은 아니다.'''[2] 하지만, 한국은행이 매년 회비의 절반 정도를 납부하고 있어 권한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공기업 성향이 짙다.[3] 때문에 사실상 정부에서도 사실상 공기업으로 분류한다.
대국민 업무가 적기 때문에 인지도가 낮지만 복수의 은행의 자금흐름을 중개하는 중요도가 높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국가기반 시설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업무로는 은행 간 자금 흐름을 중개하는 전자금융 공동망, CD 공동망, 타행환 공동망, 인터넷 지로, 공인인증, 전자수입인지 등이 있다. 간혹 소규모 신용카드 가맹점에서는 금융결제원을 VAN사로 쓰기도 한다. 그리고 UbiTouch뱅크월렛를 주관하고 있으며, 직불카드 전산망과 K-Cash를 관리하는 곳도 여기다.
국제현금카드용 해외 ATM망인 '''EXK'''를 금융결제원에서 주관하긴 하는데, 문제는 EXK가 존재감이 영 없는 데다가 EXK를 지원하는 은행과 서비스 지역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 미국,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에서만 EXK의 인출망을 사용할 수 있지만, '''EXK는 네트워크 수수료를 안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EXK는 신한은행, 우리은행, 한국씨티은행, KEB하나은행에서만 지원하며, 그 중 신한은행한국씨티은행[4]에서만 EXK 현금카드가 나오고 우리은행우리카드의 "우리BC 체크카드 국제ATM"에 EXK가 달려서 나온다. 나머지 은행들은 시스템 구축 비용과 제휴 비용을 이유로 EXK 제휴를 꺼리고 있다. EXK가 아이템인 대표적인 통화가 수수료가 꽤 큰 편인 베트남 동.
금융덕들에게는 지점 코드를 조회하는 곳으로 유명하며, 예전에 영업했다가 폐쇄한 지점의 코드와 주소도 나온다. 금융결제원 홈페이지에서 금융공동망 코드를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특이한 계좌번호를 얻고 싶다면 여기 방문이 필수. 하지만 2015년 3월부터 이놈의 대포통장 때문에 계좌개설 조건이 까다로워지면서, 주소지 인근 지점이 아니면 발급해 주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 짓은 하기가 어렵게 됐다.
Bankpay라는 계좌이체 플러그인을 개발하여 주관하고 있으며, 몇몇 사이트에서 계좌이체할 때 이 플러그인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곳이 코버스와 코레일)

2. 관련 문서


  • 금융공동망
  • 계좌이체
  • 오픈뱅킹 : Non-ActiveX 멀티브라우저 지원 인터넷뱅킹과는 다른 서비스이다. 해당 문서를 참조할 것.
  • : 부동산과 관련해서는 아파트투유라는 사이트를 운영을 하는데, 대한민국 모든 분양사업은 이 아파트투유 사이트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 고시(2019-460호)」에 의거하여 주택청약 업무가 금융결제원에서 한국감정원으로 이관됨에 따라 APT2you 홈페이지 서비스가 2020년 1월 31일(금) 자로 종료되었다.

[1] 한국은행 강남본부와 같은 건물을 쓰며, 이 곳에는 한은 본점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대한민국 원화 발권을 담당하는 한은 발권국도 입주해 있다.[2] 다만, 사단법인들 중에도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곳이 없지는 않다.[3] 연방준비제도를 생각하면 된다.[4] 반드시 신청서에 "EXK"를 체크해야 한다. 발급 수수료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