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장

 




1. 개요


군대의 직위. 일반적으로 특수부대 계열 부대 있는 편제인 '지역대'의 지휘관. 지역대가 보통 단위는 중대 수준에 근접한데 정작 인원은 소대 수준이라 사실상 '''소대장 같은 중대장'''이다.
줄여서 지대장이라 하기도 하는데 지대장[1]은 좀 다른 뜻도 있다.

2. 종류



2.1. 특공연대


특공연대에서는 중대장이 곧 지역대장이다. 특공대의 편제상 소대=팀, 중대=지역대인 관계로 특공연대에서 지역대라 함은 곧 중대를 의미한다.

2.2.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에서는 발굴과의 하위 부대인 지역대의 장으로 소령이 보임된다. 주로 발굴 관련 업무(주로 발굴팀장과의 협의나 발굴지역 검토 등의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며, 실질적인 편제인 발굴팀들의 후방 업무를 책임지고, 특수한 경우에는 직접 현장이나 발굴지원부대를 방문하여 지원 업무 협의를 담당하기도 한다.

2.3. 육군특수전사령부


특전사의 지역대는 여러개의 중대를 묶어서 1개의 제대를 만들어 그 제대를 대대에 배속시키기 위함이다. 특전사의 부대특성상 중대와 대대 사이의 부대단위가 된다. 이 부대의 지휘관이 지역대장이다. 팀 단위로 운영되는 특전사에서 자신에게 속해있는 팀을 지휘하여 대대 전술에 이바지하기 위한 중간지휘관으로서 지역대장이 존재한다.
과거 특전사가 진급에 필수요소일 적에는 장기복무장교들은 출세를 위해 이 보직을 거치는 경우가 많았다. 중대와 대대의 중간단위 부대의 지휘관인 관계로 특전사에서 지역대장은 소령이다.

2.4. 예비군


대략 2005~6년을 전후로 하여 향토사단에 하나 둘씩 생기고 있다. 기존에는 예비군 관리대대가 있고 그 예하에 지역 예비군중대가 있는 형태로 운영되었는데, 대대의 자원관리업무를 위임하여 대대 밑에 지역대를 새로 창설하여 예비군중대를 지휘토록 함으로써 대대의 임무를 덜어주고자 한 것이다. 특수부대의 지역대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제대이다. 보통 동대장 중 업무성과가 우수하고 짬이 높은 사람들이 이 직책을 맡으며, 계급은 5급으로 동대장과 동일하다.

2.5. 카투사


카투사들은 배속된 미군 캠프의 위치에 따라 Area 1,2,3,4로 나누어져서 관리되는데 해당 Area를 담당하는 지역대장이 한명씩 존재한다. 이러한 지역대장은 해당 지역대의 모든 카투사들을 관리하며, 이러한 관리는 아래에 지원대장과 지원반장[2]들을 통하여 이뤄진다. 지역대장은 대대장급 지휘관으로 중령 계급이 배속되며 지원대장의 경우는 소령~대위 계급이, 지원반장에는 일반적으로 상사, 간혹 원사~중사 계급이 배속된다.

[1] 어떤 부대는 군의관을 지대장이라고 한다.[2] 지역대장은 각 Area 책임자, 지원대장은 지역대 산하의 여단/연대/대대급 부대 지원반의 책임자, 지원반장은 대대/중대급 부대 지원반의 책임자이다. 지휘자에 해당하지 않기에 녹견을 착용하지 않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