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남
1. 개요
아내의 남자 형제를 말하는 호칭. 처남의 아내는 처남댁이라고 한다. 처녀의 반대되는 말이 아니다.
2. 상세
아내의 오빠, 남동생 모두 처남이지만, 남에게 소개나 다수가 함께인 장소에서는 배우자를 기준으로 손윗처남 손아래처남이라 구분한다.그리고 서로 배우자들의 만남에 의해 이루어진 법적 가족이므로 공대하는 것이 예법에 맞다. 형님이란 호칭이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나이가 많고 작음을 나누어 형과 제(동생)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처남 매제 관계에서 처남이 나이가 적다고 한들 공경해주어야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요즘에 처남에게 무조건 부르는 형님의 호칭은 어울리지 않는다. 처남 매제관계에서 나이의 상하가 뒤바뀌지 않는다면 그 손윗처남을 형님아라 부르는것이 더 정겹게 느껴지고 관계가 부드럽기에 좋다라고 윗 어른들 시점에도 거리낌이 없다.
처남이라고 부르는 상대가 있다면, 내 자신은 그 사람의 자형[1] 또는 매제[2] 가 된다. 처남 자체도 상하를 가리지 않는 표현이니 매부는 처남과 반대되는 말이 된다. 다만 애매한 경우가 있다면 아내의 오빠가 있긴 하지만 아내도 그렇고 아내의 오빠도 그렇고 나이가 자신보다 어릴 경우에는 호칭을 지칭하기 애매한데, 이때는 호칭자체를 잘 부르지 않거나 꼭 호칭이 필요할 때만 '처남'이라고 말하면서 상호 간에 경어를 쓰는 대화를 하게 된다. 다만 처남과 친할 경우에는 웃어른들이 없을 때 서로 형 동생 하면서 친밀함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호형호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모호한 기준 덕에 '처갓집 족보는 개족보'라는 말이 생기기도 하였으며, 쓸데없이 복잡해서 그냥 신경 안쓰는 사람들 또한 늘어가고 있다. 정리가 필요한 부분이다.정리하자면
1. 아내의 남동생이 본인보다 나이가 어림(일반적인 경우): 처남이라고 부르고, 반말 사용 가능.하나 공대가 원칙(결혼자는 사회적으로 독립된 가정의 기둥들이므로 )
2. 아내의 남동생이 본인보다 나이가 많음(특이한 경우)[3]
: 처남이라고 부르고, 실질적으로는 상호 간에 경어를 씀.[4]3. 아내의 오빠가 본인보다 나이가 많음(일반적인 경우): 처남이라부르고 족보를 떠나 친근한 관계 유지 형님이라 불러도 무방, 존댓말 써야 함.
4. 아내의 오빠가 본인보다 나이가 어림(특이한 경우): 처남이라고 부르고, 상호 간에 경어를 씀.단 타인에게 소개할때 윗사람으로 소개 내 손윗처남되십니다.라고 소개한다.[5]
5. 아내의 오빠가 본인과 동갑(일반적인 경우): 원칙적으로는 형님이라고 부르고 존댓말을 써야 한다.(왜냐하면 아내의 손윗사람이므로)하지만 상호 합의된 경우엔 반말도 가능.
6. 아내의 남동생이 본인과 동갑(특이한 경우): 처남이라고 부르고 반말 사용 가능하나 공대가 원칙 허나 손아래처남이라 호형호제관계에서 반말은 개인적으로 윗 어른이 없는 곳에서 가능.
참고로 남편의 남동생, 즉 시동생은 도련님(미혼)/서방님(기혼)으로 부른다. 여성계에서는 서로 동등해야 할 결혼관계에서 아내는 남편 손아래형제를 저렇게 높여 부르는 반면, 남편은 아내의 손아래형제를 처남, 처제 이런 식으로 막 부르는 풍습은 성차별적이라는 주장을 해왔다.
조선시대 후반에는 7년 전쟁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남성의 비율이 비교적 낮았다. 한 사회에서 양성 인구의 불규칙이 발생하게 되면 인구수가 적은 성별이 상대적으로 사회 권력의 우위를 가지게 된다. 호칭이 변화된 이유는 전쟁으로 인한 남성 인구 부족으로 인한 성 권력 불균형과 공명첩 등의 수단으로 인해 야매 양반들이 생겨나면서 이들이 귀동냥으로 어설프게 주워들은 유교 지식과 기존의 성리학이 혼재되면서 유교적 성관념이 왜곡된 것이 그 이유다. 거기다 일제 시대로 인해 권위주의가 유입되면서 이런 현상이 강화된 것이다. ★가정언어 <처남/되렴/처제/아가씨> 및 <-님>에 대하여 시대가 지남에 따라 남편의 동생을 부를 때 ‘도련님’이나 ‘서방님’ ‘아가씨’라는 호칭 대신 각자의 판단에 따라 이름을 불러도 된다는 국립국어원의 언어예절 안내서가 발간됐다. #
알아둘 것은 예법상 처남과 자형, 매제 사이는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이것은 달리 말해 서로 간에 격식을 차리는 사이라는 말이다. 아내보다 윗사람인지 아랫사람인지를 따지며, 자기보다 어리더라도 아내의 오빠 즉 손위처남이라면 윗사람 대접을 해야 한다.[6] 물론 손아래처남이라도 함부로 하대하거나 너너 했다가는 큰일난다.[7] 호칭은 조금 애매해서, 손위처남은 손아래 매제에게 ~서방이라 호칭하고 ~하시게 체를 쓰고 손아래처남은 누나의 남편에게 매형[8] 이라 부르고 높임말을 쓴다. 손아래처남은 손위 매형[9] 에게 매형(자형)이라고 부르고 존대하고, 매형은 처남에게 처남, 자네 라고 호칭하며 ~하시게 체를 쓴다. 이것도 엄밀히 말해 이런 것이지 옛날 시골에서는 서로 간에 호칭을 생략하는 방법으로 내외하며 서로 존대했다는 이야기도 있다.(매형: 어떻게 감히 처가 사람에게 함부로... 처남 : 누나의 남편인데 어찌 감히... 이런 느낌.)
최근에는 격식이 많이 없어졌고, 형제가 많지 않으므로 나이로 편하게 대하는 경우도 있으나 어른들이 엄하시거나 어려운 손위어른이 계시면 함부로 그랬다가 큰일난다. 특히나 처남이나 매부를 함부로 야야 하고 부르거나 이름 불렀다간...
물론 옛날 어른들의 경우에도 어릴 때부터 한 동네에 자라 혼인하거나 한 경우 처남이나 매형을 자기 친형제처럼 여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대하는 경우가 있긴 하다. 특히 처남 쪽이 많이 어리면 매부가 형 비슷한 존재가 되는 경우도 있고, 역사 속에서도 처남매부관계로 맺어진 경우도 많고...[10]
현실이나 인터넷에서 남자들끼리만 있을 때는 예쁜 누나나 여동생이 있는 남자에게 장난삼아 처남이라 부르기도 한다. "허허 동생이 예쁘네, 처남" 같은 식.
[1] 姉兄. 손윗누이(누나)의 남편. 매형(妹兄)이라고 부르거나 새언니처럼 새형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다. 한자로 여자형제를 나타낼 때 손위 아래 구분 없이 보통 '누이 매'를 사용하기 때문인 듯. 남매는 오빠와 여동생만이 아닌 누나와 남동생도 포함되는 말이다.[2] 妹弟. 손아랫누이(여동생)의 남편[3] 여자가 연상인 경우가 드물지 않은 요즘은 그리 특이한 경우도 아니다.[4] 물론 아내쪽이 나이가 한참어린 시동생들에게 (심하면 반말까지 들어가면서)존댓말을 쓰는 것을 감안하면 완전히 관계를 파탄낼 생각이 아닌 이상은 존댓말을 쓴다. 아니 족보관계가 거의 사라진 요즘 시대에는 '''무조건 써야한다.'''[5] 1992년 표준화법해설, 2011년 표준언어예절, 국립국어원[6] 혼인으로 인해 맺어졌을 뿐 그 집안의 그 세대 항렬에 함께 섞이는 것이 아니므로 자기 나이가 기준이 될 수 없다. 어디까지나 배우자와 같은 위치를 인정해주는 것이며 이것은 여자도 마찬가지. 다만, 윗사람 대접을 한다는 말이 호칭을 '형님'으로 한정하는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처남' 자체가 위아래를 구분하는 표현이 아니기 때문이다.[7] 동등하다는 것, 격식을 차린다는 것은 달리 말해 서로 '''남의 집 사람'''이라는 뜻이다.[8] 형이나 형님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한다. 자신과 같은 집안의 같은 항렬 사람이 아니므로 형이라고 단독 호칭할 수 없다는 것.[9] 자형이라고도 한다. 사실 한자로 풀이하면 자형이 맞으나 매형이 더 보편적으로 쓰인다. 자형은 영남권에서 주로 쓰인다.[10] 대표적인 예로는 김유신과 김춘추. 근데 그 시기 신라는 근친혼이 매우 흔했기 때문에, 따지면 둘은 처남매부도 되고 장인사위도 되고 사돈관계도 되는 엄청 복잡한 관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