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부산)
춘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장산에서 발원하여 수영만과 합류하는 하천이며 해운대 신시가지를 관통하는 하천이다.
이름은 춘천(春川)이지만, 강원도 춘천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춘천천(春川川)'''으로 표기하고 있다.
옛부터 해운대해수욕장의 모래를 공급하던 곳 중 하나였으나[1] 장산대천공원 조성과 하천이 복개되어 모래공급이 불가능해졌다. 이 때문에 해운대해수욕장의 규모가 축소되어 부산시에서는 매 년 모래를 외부에서 구입해 뿌리고 있다.
1959년부터 하류를 중심으로 조금씩 복개되기 시작했다.
춘천 상류지점은 1990년대 해운대 신시가지가 조성되기 이전에는 53사단 주둔지로 민간인통제구역이 존재해 춘천에 접근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 해운대신시가지와 대천공원 조성이 이루어져 현재는 주민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공원이다.
중류부터 하류까지 복개되어 있다. 복개구간은 중동삼정그린코아~해운대로~해운대해변로~동백섬 구간이다.
과거에는 복개구간, 미복개구간 가릴 것 없이 오,폐수가 흘러들어 수질이 매우나빴지만 해운대구청이 상류를 중심으로 정비를 벌인결과 수질이 매우 좋아졌으며 하천변을 따라 식물이 많이 심어져있고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주민들에게 휴식처가 되어주고 있다.
하지만 상류와 중류지점만 수질이 개선되었을 뿐 복개된 하류지점은 수질이 매우 나쁜 상황이다. 특히 동백섬 미복개지점에는 악취가 매우 심하게 나고 있으며 더운 여름철에는 상상 그 이상의 냄새가 날 정도. 부산시에서는 해마다 준설작업을 하고 있으나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의 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관광객들의 동백섬과 해운대의 이미지를 망치고 있는 상황. 그런데 해운대구청은 춘천의 악취를 놓고 부서끼리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으며 부산환경공단은 춘천 수계지역에 분류식 하수관거를 설치하는 사업을 2035년에 완료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 한동안 악취와 수질오염은 계속될듯하다.
1. 개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장산에서 발원하여 수영만과 합류하는 하천이며 해운대 신시가지를 관통하는 하천이다.
이름은 춘천(春川)이지만, 강원도 춘천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춘천천(春川川)'''으로 표기하고 있다.
2. 상세
옛부터 해운대해수욕장의 모래를 공급하던 곳 중 하나였으나[1] 장산대천공원 조성과 하천이 복개되어 모래공급이 불가능해졌다. 이 때문에 해운대해수욕장의 규모가 축소되어 부산시에서는 매 년 모래를 외부에서 구입해 뿌리고 있다.
1959년부터 하류를 중심으로 조금씩 복개되기 시작했다.
춘천 상류지점은 1990년대 해운대 신시가지가 조성되기 이전에는 53사단 주둔지로 민간인통제구역이 존재해 춘천에 접근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 해운대신시가지와 대천공원 조성이 이루어져 현재는 주민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공원이다.
중류부터 하류까지 복개되어 있다. 복개구간은 중동삼정그린코아~해운대로~해운대해변로~동백섬 구간이다.
과거에는 복개구간, 미복개구간 가릴 것 없이 오,폐수가 흘러들어 수질이 매우나빴지만 해운대구청이 상류를 중심으로 정비를 벌인결과 수질이 매우 좋아졌으며 하천변을 따라 식물이 많이 심어져있고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주민들에게 휴식처가 되어주고 있다.
하지만 상류와 중류지점만 수질이 개선되었을 뿐 복개된 하류지점은 수질이 매우 나쁜 상황이다. 특히 동백섬 미복개지점에는 악취가 매우 심하게 나고 있으며 더운 여름철에는 상상 그 이상의 냄새가 날 정도. 부산시에서는 해마다 준설작업을 하고 있으나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의 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관광객들의 동백섬과 해운대의 이미지를 망치고 있는 상황. 그런데 해운대구청은 춘천의 악취를 놓고 부서끼리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으며 부산환경공단은 춘천 수계지역에 분류식 하수관거를 설치하는 사업을 2035년에 완료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어 한동안 악취와 수질오염은 계속될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