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르 야노시
[image]
카다르 야노시 (Kádár János) [1]
1912년 5월 26일 ~ 1989년 7월 6일
1. 개요
헝가리의 사회노동당 서기장 겸 장관회의 주석. 두 차례에 걸쳐 헝가리 총리를 지내기도 했다.
다만 공산주의자임에도 불구하고 '''시장 경제 요소를''' 도입하는 등 소위 굴라쉬 공산주의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실용적이고 개방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이 덕분에 공산주의 붕괴 이후에도 헝가리가 체제 전환을 순조롭게 하여 동구권 내에서도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성과와는 별개로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민주화 운동을 이끌던 너지 임레의 처형에 관여했다는 점'''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2. 초기 생애
1912년 당시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지방 도시인 피우메[2] 에서 태어났다. 1928년 경부터 엥겔스의 서적을 접하면서부터 공산주의에 경도되기 시작했으며 1931년 공산당에 입당한다. 이후 호르티 미클로시 정권 하에서 당국에 의해 여러번 체포되기를 반복하던 카다르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에 점령당한 헝가리가 1946년 스탈린의 지원을 받은 라코시 마차시(Rákosi Mátyás)에 의해 공산화되자 조직력을 인정받아 내무부 간부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개혁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었던 카다르는 철저한 스탈린주의자였던 라코시 마차시에 의해 강력한 탄압을 받으며 종신형을 선고받기도 했지만 스탈린 사망 직후 너지 임레가 총리 자리에 오르자 사면받고 부다페스트의 지역 당 서기장 자리에 오르게 된다.
3. 헝가리 혁명
1956년에 발생한 헝가리 혁명 당시 카다르가 보인 행적에 대해서는 지금도 논란이 많다. 혁명이 한창 진행중이던 10월 25일 카다르가 신정부에 의해 당 서기장에 오르고 너지 임레의 내각 구성에도 참여하는 등 개혁 작업에 참여한 적도 있지만 11월 4일 소련군이 부다페스트에 진입해 혁명이 실패로 끝나자 곧바로 소련에 협조적인 모습을 보이며 혁명 주동자 체포에도 관여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적으로 인해 배신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당시에는 카다르가 소련의 지지를 등에 업고 권력을 장악해나가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비판을 공개적으로 할 수는 없었으며 카다르가 사망하고 민주화 작업이 진행되던 1989년에 이르러서야 공개적인 비판이 나오기 시작한다.
4. 개혁 정책
권력을 안정적으로 굳힌 카다르는 이후 곧바로 경제 개혁 작업에 착수한다. 이 경제 계획은 주로 시장 경제 요소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는데에 주 안점을 두었으며 경공업 육성을 통한 소비재 생산 증가 및 부분적인 이윤 추구 허용도 신 경제 계획에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서방권 문화도 부분적으로 허용되었다. 다만 급격한 개혁을 추진했다 처형당한 너지 임레와는 달리 카다르는 '''소련을 의식하고 매우 조심스럽게 개혁을 추진해 나갔으며'''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에도 헝가리 군을 바르샤바 조약기구 소속 진압군의 일원을 참여시키는 등 친소 노선을 밟아갔다. 이러한 개혁 정책과 부분적 문화 개방 정책은 꽤 성과를 거두어 헝가리는 동구권 국가들 중에서 가장 삶의 질이 높은 국가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고, 동 시기 유고슬라비아 등 일부를 제외한 타 공산권 국가들처럼 물품이 일찍 동이 나거나 제한적 배급을 해서 줄을 길게 서야된다거나 하는 일어나는 일은 좀체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다만 카다르가 이 같은 개혁 정책을 1970년대 들어서 더 급진적으로 시행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공산당 내부에서 반발이 잇달아 충돌을 빚기도 했으며 이 같은 경제적 성과들이 상당수 서방의 외채에 의존하였기에 오일 쇼크에 따른 전세계적인 경제 위기가 벌어지자 헝가리도 빚더미에 오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혁 정책은 계속 이행되어 헝가리는 1982년 IMF에 가입하게 된다. 이러한 헝가리의 개혁 정책은 중국의 덩샤오핑이 시행한 개혁 개방 정책보다도 20여년 가까이 일찍 이루어진 것이며 198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 고르바초프 집권의 영향으로 소련을 포함한 타 동구권 국가들도 이를 따라하게 된다.
5. 말년
경제 위기가 동구권을 강타하고 민주화 열망이 점점 높아져가던 1988년 봄 카다르는 경제 위기에 따른 책임 의식과 건강 악화를 이유로 당 서기장 직에서 사임한다. 이후 경제적 개혁 작업 뿐만 아니라 정치 개혁 작업도 속도를 내게 되어 1989년 초부터 헝가리내 민주화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게 되니 이것이 바로 폴란드의 솔리다르노시치 승인과 함께 1989년 동유럽 혁명의 첫 막을 열게 된다. 사임 이후 자택에 은거하던 카다르는 사망 직전 자신이 너지 임레의 처형에 관여했다는 고백을 하게 된다. 너지 임레의 국장이 31년만에 이루어져 헝가리 혁명이 민주화 운동으로 공식적인 재평가를 받은 지 20일이 지난 7월 6일 카다르 야노시는 부다페스트에서 77세를 일기로 사망한다.
6. 여담
사망 직후 한동안은 헝가리 혁명에서의 행적 때문에 온 헝가리인들의 증오를 한 몸에 받았지만 헝가리의 순조로운 체제 전환과 동구권 내 입지 강화의 초석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았고 2007년에는 가장 능력있었던 헝가리인 정치인 중 3위에 오르기도 했고, 헝가리 경제가 잠시 막장을 달리던 2000년대 후반에는 카다르 정권 시절에 대한 향수가 더욱 깊어져서 헝가리인들의 과반 이상이 공산주의 시절이 가장 행복했던 시절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을 정도였다. 하지만 당시 집권 여당이 공산당의 후신 사회당이었고, 사회당 정권에서 사회복지축소 등의 긴축정책을 펼쳤기 때문에, 정작 당시 만연했던 카다르 야노시에 대한 향수를 잘 이용한 인물이 우파 피데스 소속의 오르반 빅토르였고[3] , 2010년 총선에서 피데스가 압승한 이후로 사회당은 극우정당 요빅과 2-3당을 다투는 안습한 신세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헝가리 내에서는 그를 증오하는 여론이 상당히 있으며 2007년 5월 2일에는 부다페스트에 위치한 그의 묘가 파괴되어 유해가 도난당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