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샤바 조약기구

 


[image]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어'''
Układ o Przyjaźni, Współpracy i Pomocy Wzajemnej(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 Pakt Warszawski(바르샤바 조약), Układ Warszawski(바르샤바 기구)
러시아어
Организация Варшавского договора(ОВД), Варшавский договор, Организации Варшавского догоаора
독일어
Warschauer Vertragsorganisation(Warschauer Pakt)
루마니아어
Pactul de la Varșovia(Tratatul de prietenie, cooperare și asistență mutuală), Tratatul de la Varșovia
불가리아어
Варшавски договор
슬로바키아어
Varšavská zmluva, Varšavský pakt, Organizácia Varšavskej zmluvy
에스페란토어
Traktato pri Amikeco, Kunlaboro kaj Reciproka Subteno(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 Varsovia Traktato(바르샤바 조약)
영어
Warsaw Treaty Organization(Warsaw Pact)
체코어
Varšavská smlouva, Smlouva o přátelství, spolupráci a vzájemné pomoci
헝가리어
Varsói Szerződés

NATO and the Warsaw Pact 1973
1. 개요
2. 설명
3. 가입국
4.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노래
5.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빨간색으로 칠해진 국가가 바르샤바 조약 가맹국이다.
정식명칭은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영어로는 통상적으로 바르샤바 조약(WP, Warsaw Pact)으로 불린다. NATO와 비슷한 성격의 기구로 소련과 위성국간의 군사동맹이라고 할 수 있다. 1955년 서독이 NATO에 가입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2. 설명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조약은 소련이 1954년 유럽의 안보에 이바지하고 싶다며 NATO 가입을 신청했던[1]바로 다음 해에 체결되었다.[2] 이는 1950년대에도 유럽에 동서간 대립이 본격적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예로, 유럽 냉전의 첨예한 두 국가였던 서독과 동독이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여섯 차례의 동/하계 올림픽에 독일 연합팀으로 참가했고, 처음으로 경쟁 상대로 분리 출전한 것이 1968년 동계올림픽이었다. 당시의 표면적인 이유는 1966년 서독의 1972년 뮌헨올림픽 유치였다. 이런 상황은 1950년 이후 5년간 미뤄졌던 서독의 가입이 승인된 1955년부터 돌변했다. 결국 같은 해 5월 소련이 WP 결성으로 맞받아쳤다. NOP와 비슷하게 NATO 가입국과 가까운 WTO 가입국에는 소련의 MRBM이 배치되었다.
NATO의 가맹국들은 영국, 미국, 프랑스[3], 서독 등 다들 잘 나가는 나라들이었던 반면, 동유럽소련을 제외하고는 미국/서유럽 강대국에 밀리는 국가들이었다.
단, 공산권 아니랄까봐 이쪽도 군사력에만 몰빵하던 동네였다. 즉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이 쪽, 정확히는 NSWP(Non Soviet WP)도 12,000대 이상의 전차로 대표되는 전력을 갖추고 있었다. 장기전으로 가면 분명 경제력이 호구인 NSWP가 불리하긴 하겠지만 적어도 소련 없이는 NATO 털끝도 못 건드린다는 인식과는 확실히 다르다. 실제로 당연히 질은 NATO가 우위겠지만 NSWP의 전차 수는 NATO 전체와 그리 크게 차이는 안 났다 양 쪽 다 일부는 빼고 해야겠지만... 게다가 집단안보체제는 명목뿐이며 사실상 동유럽의 군대를 소련군이 통제하는 형태였다. 각 국가의 군통수권을 소련군이 장악하여 운영했고 특히 동독은 이것이 가장 심했다. 당장 폴란드 인민군만 하더라도 초기에는 국방장관들이 '''소련군 장성들이었다.''' 건실한 서독이나 영국, 프랑스가 자체적으로 다양한 무기체계들을 개발해 운용하고 있을 때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은 기술부족으로 무기체계 대부분이 소련제 일색이었다.[4] 경제적 요건+지리적 요건으로 인해 이들은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수준의 강력한 해군을 육성할 수도 없었고 핵무장 또는 소련군과의 핵무기 공유는 꿈도 꿀 수 없었다. 물론 폴란드는 일본에서 몰래 지원을 받아서 핵개발을 추진했다가 소련에게 조인트를 까였다. 거기다가 제2의 헝가리 혁명이나 프라하의 봄을 대비해 회원국들은 서로를 견제해야 했으며 한쪽에서 혁명이 발생하면 다른 회원국의 군대들이 소련군과 함께 밀고 들어가 혁명을 진압해야 했다. 여러모로 소련군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안보 형태. 그래도 적어도 당시 2류 국가였던 대한민국이나 병력수만 120만으로 불어난 북한군 그리고 문화대혁명 등의 영향으로 맛이 갔던 당시 중국인민해방군 보다는 전부대가 기계화된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군이 확실히 우위였다.
1991년 소련 해체와 거의 동시에 바르샤바 조약기구도 해체되었다. 이후 21세기 초에 옛 바르샤바 조약기구 가맹국들 중 '''폴란드, 체코'''를 시작으로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와 같은 나머지 국가들마저 NATO에 가입하면서 동유럽에서의 러시아의 영향력이 거의 없어졌다. 심지어 우크라이나마저 NATO 가입을 신청하려 했다. 폴란드를 비롯한 러시아를 직접 맞상대하는 최전선 국가들은 찬성했지만 실세인 서유럽이 가스값 오른다며 반대했고, 우크라이나 내부의 정치적 대립으로 결국 흐지부지되었다. 다만 소련 붕괴 시 미국은 러시아가 원하는 대로 동유럽을 NATO로 무작정 끌어들이지 않겠다고 약속했는데,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2000년대 들어 동유럽 국가들을 NATO로 무작정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블라디미르 푸틴의 집권 이후 러시아의 상황이 괜찮아져서 옛 위성국들을 다시 러시아의 손아귀로 돌아오게 하기 위해 여러 방책을 쓰고 있는 상황이라서, 아직 상황은 유동적이다.
의외로 NATO와 조약간의 전면전이 일어나기가 힘든 상황이어서 그런지 게임 등의 매체물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거나 등장해도 조약의 맹주인 소련만이 부각되었다. 단순히 소련만이 아닌 바르샤바 조약기구 전체가 개입되는 게임은 워게임: 유러피안 에스컬레이션, 워게임: 에어랜드 배틀워게임: 레드 드래곤이다. 사실 그나마도 그 중 군사강국인 소련, 동독, 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까지만 등장한다. 그후에 유고슬라비아와 친소 중립국인 핀란드가 공산군으로 추가되었다.
Workers & Resources: Soviet Republic에선 교역 가능한 진영으로 나온다.

3. 가입국


  • 소련 - 맹주. 소련군 장성이 바르샤바 조약군 총사령관 겸 소련 제1국방차관을 겸임했다.[5]
[image]
폴란드 인민군 T-72 전차

1970년대 폴란드 인민군 훈련 영상.
  • 폴란드 인민 공화국 - 3개 군구를 보유한 조약군의 탱커. 1970년대 까지만 해도 폴란드군은 최강의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군이었으나 80년대 이후 경제가 맛이 가버려 대부분의 장비들이 노후화되어 버렸다. 주 역할은 후방의 수적으로 강력한 예비대로 전시에는 서독과 스웨덴, 덴마크를 침공할 계획이었다.
  • 독일민주공화국 - 제파식 전술의 선봉, 바르샤바 조약군 지상군의 최정예 부대. 군규모 자체는 폴란드군보다는 적지만 질적으로 폴란드군을 앞서고 있으며 비소련 바르샤바 조약군 중 가장 먼저 T-72 전차를 수령할 정도였다. 서독 북부와 중앙지역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소련군의 선봉부대 역할을 맡고 있었다.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2개 군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서유럽과 전면전을 벌일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던 마지막 국가. 건실한 무기 기술력을 지닌 국가 답게 Vz.58OT-64과 같은 자국산 장비들도 개발했으며 면허생산한 T-72는 본가 소련제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들었다. 주로 서독 남부 지역을 담당했다.
  • - 1968년 9월 13일 탈퇴. 탈퇴 전까지 유고슬라비아 압박 및 아드리아 해에 이탈리아군 견제. 1968년 소련이 프라하의 봄 강제 진압한 것에 항의하는 의미로 탈퇴하였다.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나 헝가리 인민 공화국과는 다르게 딱히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에 개입하지 않았다. 사실 개입하고 싶어도 프라하의 봄 때문에 소련의 이미지가 가뜩이나 나빠졌고, 아무리 엔베르 호자 정권이 공산권에서 돋보일 정도로 꼴통으로 악명이 높았음에도 알바니아에 개입하려면 제3세계에서 꽤나 힘쓰던 국가인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와 또는 흑해와 보스포러스 해협, 지중해 등을 거쳐 터키, 그리스의 영토, 영해를 지나야 하기에 유고슬라비아, 터키, 그리스와의 마찰과 이로인한 외교적-군사적 타격을 감수해야하는데다가 나름대로 경제력이 있었던 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6]와 다르게 경제력도 형편이 없었기에 소련 입장에서는 굳이 개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알바니아의 탈퇴를 용인했다.
옵저버 국가
  • 몽골 인민 공화국 - 소련의 오랜 위성국으로 본래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가입 의사를 내비쳤지만 중소 갈등 문제로 인해 옵저버 국가로 남게 되었다.

4.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노래


Песня объединённых армий (연합군의 노래)
1958년작. B.A.알렉산드로프 작곡. L.I.오샤닌 작사
1~3절 가창. 1절은 개정 전 가사로, 2~3절은 개정된 가사로 부른다.

러시아어
한국어 비공식 번역
1
Мы не хотим войны, но снова
Коль враг нарушит наш покой,
За мир и счастье мы готовы
На грозный бой, на правый бой.
Мы на удар в ответ ударим
Советский воин и мадьяр,[7]
Поляк и чех, румын, болгарин -
Попробуй нас пересчитай![8]
우리는 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이 또다시 평온을 어지럽힌다면
평화와 행복을 지키기 위하여
정의로운 전투에 목숨을 바치리라.
공격에는 공격으로 맞설 것이다.
소련에서, 헝가리에서
폴란드, 체코, 루마니아, 불가리아에서
전사들은 어떤 공격에도 맞서 싸우리라!
2
Пусть грозен атом их проклятый,
Он не доставит им побед.[9]
Труда и разума солдаты,
На всë умеем мы ответ!
Пусть грозен атом их коварный,[10]
Но знаем мы наверняка.
Живое сердце больше значит,
Огнëм командует рука!
설령 가공할 원자폭탄을 앞세운다 하더라도
은 승리하지 못한다.
노동자지식인들이 전사가 되어
우리의 승리를 쟁취할 것이다.
원자폭탄의 공포는 서서히 저들 사이로 퍼져갈 것이다.
우리는 확신한다.
장대한 은 결국 무너질 것이다.
불과 같은 우리 군세 앞에!
3
Наш край с огнями трудовыми
Пусть только тронет подлый враг -
Пол-человечества поднимет
Свой бронированный кулак!
Мы в битвах на любом плацдарме
Мы как один пойдëм вперëд,[11]
Единство наших братских армий
Ещё раз жизнь Земле спасёт!
등불처럼 밝게 타오르는 노동자의 존엄함
비열한 적들은 손끝하나 대지 못하게 하리라.
인류의 절반
기갑의 철권을 휘두를 것이다.
우리는 지상의 모든 거점으로부터
불타는 전장 속으로 진격할 것이다.
형제군의 단결이
또 다시 지구의 민중을 구하리라!
후렴
Друзья, друзья,
Сухим держите порох.
Друзья, друзья,
Равняйте крепкий строй!
За детский смех
На солнечных просторах,
За вольный труд, за вольный труд
Готовы мы на бой!
동지여, 동지여
화약을 잘 말려두어라.
동지여, 동지여,
대오를 굳건히 다져라.
햇빛이 내리는 곳에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위하여,
자유로운 노동을 위하여, 자유로운 노동을 위하여
우리는 전투 태세를 늦추지 않는다.

5. 관련 문서




[1] 당시 회원국 간 격론 끝에 거절[2] 1953년 최고권력자 스탈린이 사망하자 말렌코프를 중심으로 한 집단지도체제가 들어섰고, 이들은 미국과의 대결상태를 종식하고 2차대전 시대와 같은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일단 북한,중국을 압박해서 서둘러 한국전 휴전협정을 체결하게 했고 나토 가입 의사를 내비치는 등 여러모로 미국에 화해의 손짓을 보냈다. 하지만 아이젠하워 정권이 냉담하게 반응하면서 무산되었고, 이는 지도부에도 타격이 되어서 말렌코프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는 무너지고, 흐루쇼프의 1인독재가 다시 들어선다.[3] 핵보유 문제로 영-미와 충돌하면서 탈퇴는 했지만 일종의 준가맹국으로 인정받음.[4] 물론 체코슬로바키아에선 Vz.58OT-64, ShKH vz.77 Dana, L-39를 개발하기도 했지만[5] 당시 소련은 국방장관 밑에 3명의 제1국방차관(소련군 총참모장/바르샤바조약군 총사령관/군수공업국장 겸임), 그리고 5명의 국방차관(육군/해군/공군/방공군/전략로켓군 사령관 겸임)이 있었다.[6] 실제로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는 동구권 국가 중 국민 개개인의 생활 수준이 서유럽과 큰 차이가 나지 않던 국가였다. 특히 체코의 경우 군사력도 바르샤바 조약기구 내에서 폴란드 다음 갔을 정도.[7] 개정 전에는 Страна Советов и Китай(조국인 소련과 중국),[8] 개정 전에는 Ответят на любой удар!(우리의 숫자를 세어 보아랴!)[9] 개정 전에 1~2행은 Враги надеются на атом, Но он не даст врагам побед.(적들은 그들의 원자폭탄이 그들에게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다.) [10] 개정 전에는 Коварен атом их незрячий,(겁쟁이 같은 적들이 핵무기를 가지도록 내버려두어라.)[11] 원래는 В огонь и смерть пойдём вперёд(화염과 죽음을 향하여 전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