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1. 개요
공작기계인 CNC선반가공과 머시닝센터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공하는 것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고용노동부가 관장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국가 기술 자격증이다. 보통 전문대학(2,3년제) 관련학과 졸업자들과 기능경기대회 수상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취득하는 자격증으로 과정형평가과정과 기계가공으로 종사하는 분들도 많이 취득하는 편이다. 시험응시 및 관련 정보는 큐넷 홈페이지를 참조.
응시가능종목확인(참조) - http://www.q-net.or.kr/myp011.do?id=myp01106&gSite=Q&gId=
응시자격자가진단(참조) - http://www.q-net.or.kr/myp011.do?id=myp01101&gSite=Q&gId=
과정형평가가 실시되는 곳도 있다.
2. 필기
필기과목은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컴퓨터응용가공,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에서 출제된다. 총 80문제에서 60점이상 득점하면 합격이다. 다만, 기능사가 아닌 엄연한 산업기사 자격증이기 때문에 다른 산업기사와 마찬가지로 과목당 40점 미만은 과락이니 주의할 것 2021년부터는 CBT로 필기시험을 보기때문에 일반적인 기능사 자격증 중에 필기시험내용과 섞어서 출제하기 때문에 관련학과 졸업자들이 오히려 유리하다.
그러나 비관련학과 졸업자들은 컴퓨터응용가공 자체가 영 어렵기 때문에 가능한 한달에서 다섯달까지 잡는게 더 좋다. [1] 기출문제만 반복해서 공부하고 이론도같이 보는 것을 추천한다.
3. 실기
CNC선반과 머시닝센터 작업 2과제로 진행된다. 시간은 프로그램 작성 1시간, 범용밀링가공 1시간, 머시닝센터 가공 1시간으로 총 3시간이며, 남는 시간을 다른 과제 시간으로 넘길 수 없으니 주의하자. 두 종류의 재료[2] 로 범용밀링에서 외곽과 배면 홈을 가공하고 머시닝센터에서 상면의 모양과 홀을 가공한다. 공작 방법과 프로그램, 기계가 시험장마다 판이하기 때문에 실기접수 전 큐넷홈페이지에 게시된 시험장에 설치된 공작기계의 제조사를 확인하고 자신이 연습한 공작기계와 맞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프로그램도 마찬가지. 시험장에 자신이 연습한 프로그램이 없다면 미리 가서 사정을 이야기하고 정품 프로그램을 설치해 두던가 정품 프로그램이 설치된 노트북, 그게 안되면 데스크탑이라도 가져가야 한다. 그리고 사실 정품이 아니더라도 정품이라고 하면 넘어간다. 어디까지나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저작권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정품여부를 묻는 것이라...
2019년 부터는 개인 지참 컴퓨터는 원서 접수 시 반드시 지참여부에 체크를 해야 하며, 시험장에 따라서는 CAD/CAM 소프트웨어와 시뮬레이터 소프트웨어, PDF 소프트웨어 등 기본적인 것 외에 다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면 응시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해야 된다.
설비가 필요한 만큼 충분하지 않은 곳이 많고, 컴퓨터실-범용공작실-머시닝센터로 시험장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2개조로 나누어 시험을 치는 경우가 많다. 보통 한 조는 프로그램 작성-범용공작-머시닝센터로 시험을 치르고 다른 조는 범용공작-프로그램작성-머시닝센터로 시험을 치른다.
머시닝센터가 항상 맨 뒤에 오는 이유는 CNC선반가공이 끝나야 머시닝센터에서 세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시험 시작시 CNC선반 가공용 도면과 머시닝센터 가공용 도면 총 2개를 받게되는데 머시닝센터가공을 한면을 180도 돌렸을때의 모습이 범용밀링가공을 한 면의 도면과 일치 해야한다, 무슨 말이냐면 두개의 도면을 도면이 보인상태로 두개를 겹친다음 한도면을 본상태로 뒤집을때 보이는 모습으로 가공을 해야 한다는 소리다.
3.1. 프로그램작성
지급된 도면을 참조하여 Mastercam, Edgecam, 인벤터 CAM, Power-MILL, SolidCam, UG NX, Catia 등을 활용하여 G코드를 작성한다. 수기로 작성할 경우 Pro-view, V-CNC를 이용해 G코드를 가상으로 돌려본다. 과거 전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가공기능사1급, 생산기계산업기사 시절 중에는 G코드를 수기로 작성하였지만 지금은 CAD/CAM 작업(!)으로 대체되었다. 프로그램 작성시 적절한 절삭속도와 절삭깊이를 입력하지 않으면 엔드밀이 부러지거나 오작품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실격에 해당된다.
내부 포켓가공을 하는 경우 엔드밀은 드릴구멍에 진입후 절삭을 시작하게 작성하도록 한다. 시뮬레이션상에는 가공이 가능하지만 엔드밀은 기본적으로 측면절삭에 사용하는 공구[3] 이다. 램프(경사가공)진입을 이용하면 구멍을 뚫지 않고도 포켓가공이 가능하다. 프로그램마다 다르지만 보통 CAM프로그램에 [포켓가공] 하위 메뉴 진입/복귀 ==> [램프] 특히 2날 엔드밀의 경우에는 엔드밀 중심부에 날이 있어서 문제가 없지만, 날 수가 4날 이상인 엔드밀 중에는 날 중심부에 센터구멍이 있는 형태의 엔드밀이 있는데 이런 엔드밀로 막힌 부분에 수직으로 내리게 되면 바로 엔드밀 파손이므로 주의하자.
다음 선반가공(CNC선반가공)은 하위자격인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의 거의 동일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를 참조하자.(좌표 X, Z를 이용할것)
3.2. 머시닝센터 가공
작성해 두었던 가공 프로그램을 머시닝센터에 입력하여 가공을 진행한다. 가공루트는 이미 프로그램에서 다 되어 있기 때문에 큰 하자가 없다면 무난하게 끝나지만 프로그램을 잘못 짰다면 여기서 손도 못 대보고 실격하는 걸 지켜보고 있어야 한다. G코드에 능숙하다면 머시닝센터의 컨트롤러를 가지고 프로그램의 하자를 다시 한 번 확인해 볼 수도 있겠지만, 그런 실력을 가진 사람이 기능사를 볼 가능성은 높지 않다.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몇 번이고 매의 눈으로 확인을 하는 수 밖에. 먼저, X축 , Y축 , Z축의 원점을 잡고, 공구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 이때 공구보정은 '엔드밀' 을 기준으로 하는경우가 많다. 위의 작업이 끝나면 공작물을 바이스에 고정시켜야되는데 이때 직각이 맞게 '정확하게' 고정시켜야한다 치수가 제대로 나온다고 한들, 직각이 맞지않으면 실격이다. (이는 범용밀링 작업에서도 동일하다.)
3가지의 작업형 중에선 가장 난이도가 낮다는 평이 주를 이루며, 가로 70mm 에 세로 70mm 로 공작물을 세팅하여 머시닝센터를 작동시켜야 한다. 도면에 가로세로 방향이 적혀있으니 가장 만만한 작업이라고 대충보고 바이스에 고정시키지 말고 끝까지 긴장하면서 도면을 보고 또 보면서 맞게 고정시켰나 확인해야한다. 참고로, 가공용 큰 보형물(플라스틱 or SM20C)을 깎는다.
4. 취득후
기계가공업체에 취업할때 도움이 되는 편이다. 다만 기계가공계열 자격증은 전기기사, 에너지관리기사와 같이 필수 자격증이 아니고 기계가공업체의 인력난이 심각한 편이므로 자격증이 취업에 필수 조건은 아니다. 다만 하위 자격증(기능사)을(를) 취득할 경우 이 기술이 기본이 되므로 기능사 자격증[4] 과 같이 공부해놓는 것이 좋다.
[1] 다만 한쪽을 최종합격하면 다른 한쪽(기계설계산업기사)이 필기 과목면제가 되므로 해당자격을 최종합격한 자신이 시간을 절약하고 싶다면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하나만 먼저 취득하자. 2년 내에 합격하기만 하면 필기는 과목면제다. 순서는 응용가공 기계설계 상관없음. 당연하지만 컴퓨터응용가공 필기에 합격했다면 컴퓨터응용가공 실기를 쳐야하고 기계설계 필기에 합격했다면 기계설계 실기를 쳐야한다. 그러나 2022년부터는 과목면제가 없어진다 서두를것!![2] CNC선반가공 - 연강, 머시닝센터 - SM20C[3] 구멍을 뚫는 공구는 드릴이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구멍 바닥 조도를 개선하기 위해 엔드밀로 구멍을 뚫기도 하고, 측면절삭 시 엔드밀이 휘기 때문에 직각도 등이 중요한 홈은 수직으로 내려 앞날로 황삭을 하고 마지막 정삭을 옆날로 하는 경우도 있다.[4]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