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카(세븐나이츠)
나이트 크로우 '''타카'''
2017년 9월 28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영웅. 일본서버는 2018년 4월 26일 출시. 성우는 민승우 / 스기야마 노리아키[1]
[image]
과거의 사황인 태오가 몰락시킨 반(反) 태오 세력 우두머리의 아들로, 태오의 눈에 띄어 재능을 인정받아 독자적으로 자신만의 쌍검술을 개발한다. 태오를 아버지, 오를리를 어머니라고 부른다.[2] 태오와 오를리도 양아들로 둔것인지 호칭에 대해 뭐라고 안한다. 둘을 부모처럼 따르는듯하다. 파괴의 전쟁땐 용병으로 활약했으며, 이후엔 칼 헤론과 우정을 쌓고 태오와 비밀 대결 이후 그와 함께 나이트 크로우에 입단한다.
각성이 동시에 출시된 영웅들이 그렇듯이 각성 전에는 성능이 별로다.
리부트 이후 회복량 감소 수치가 줄고, 무효화가 기민함 효과로 바뀌었다.
과거 6성 영웅들의 평가는 그대로 남겨둠.
과거 6성 영웅들의 평가는 그대로 남겨둠.
'''쌍검의 명수 타카(4성)'''
태오가 몰락시킨 반태오 연합 맹주의 양아들. 오를리를 친부모처럼 따른다. 재능을 인정받아 태오에게 잠시 검을 배운 뒤, 독자적인 쌍검술을 개발한다.
'''전장의 처형인 타카(5성)'''
파괴의 전쟁 중 전장을 떠돌며 강자만을 상대하는 용병으로 이름을 떨친다. 전쟁이 끝난 뒤, 승부를 내지 못한 칼 헤론과 친구가 되어 동행한다.
'''나이트 크로우 타카(6성)'''
태오와 비공개 대결을 한 뒤, 칼 헤론과 함께 나이트 크로우에 들어간다. 하지만 둥지를 지키라는 것 이외의 명령은 받지 못한다.
[image]
문서 참고.
[image]
[image]
'''격이 다르다는 걸 알거라.'''
1. 개요
2017년 9월 28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영웅. 일본서버는 2018년 4월 26일 출시. 성우는 민승우 / 스기야마 노리아키[1]
2. 배경설정 및 스토리
[image]
과거의 사황인 태오가 몰락시킨 반(反) 태오 세력 우두머리의 아들로, 태오의 눈에 띄어 재능을 인정받아 독자적으로 자신만의 쌍검술을 개발한다. 태오를 아버지, 오를리를 어머니라고 부른다.[2] 태오와 오를리도 양아들로 둔것인지 호칭에 대해 뭐라고 안한다. 둘을 부모처럼 따르는듯하다. 파괴의 전쟁땐 용병으로 활약했으며, 이후엔 칼 헤론과 우정을 쌓고 태오와 비밀 대결 이후 그와 함께 나이트 크로우에 입단한다.
3. 게임 내 성능
각성이 동시에 출시된 영웅들이 그렇듯이 각성 전에는 성능이 별로다.
3.1. 스킬
3.1.1. 고유지속효과 - 매의 발톱
리부트 이후 회복량 감소 수치가 줄고, 무효화가 기민함 효과로 바뀌었다.
3.1.2. 죽음의 무도
리부트 이후 딜러저격이 삭제되고 '''전방 영웅''' 우선 타격으로 바뀌어서 진짜 트롤 스킬이 되어버렸다.'''「고통은 순간일 뿐.」'''
3.1.3. 바람의 칼날
리부트 이후 2회 타격에서 단타로, 생추뎀 수치는 줄어들었다.'''「너의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3.2. 컨텐츠 별 평가
과거 6성 영웅들의 평가는 그대로 남겨둠.
3.3. 추천 장비
과거 6성 영웅들의 평가는 그대로 남겨둠.
4. 진화
'''쌍검의 명수 타카(4성)'''
태오가 몰락시킨 반태오 연합 맹주의 양아들. 오를리를 친부모처럼 따른다. 재능을 인정받아 태오에게 잠시 검을 배운 뒤, 독자적인 쌍검술을 개발한다.
'''전장의 처형인 타카(5성)'''
파괴의 전쟁 중 전장을 떠돌며 강자만을 상대하는 용병으로 이름을 떨친다. 전쟁이 끝난 뒤, 승부를 내지 못한 칼 헤론과 친구가 되어 동행한다.
'''나이트 크로우 타카(6성)'''
태오와 비공개 대결을 한 뒤, 칼 헤론과 함께 나이트 크로우에 들어간다. 하지만 둥지를 지키라는 것 이외의 명령은 받지 못한다.
5. 각성
[image]
문서 참고.
6. 기타
- 4~6성과 각성상태의 초상화와 디자인 퀄리티가 심하게 차이가 난다. 각성 초상화는 명암이 확실히 들어가있어 확실히 잘 만들었다는 느낌을 주지만 각성전엔 명암도 없어서 밋밋한데다가 디자인도 심하게 괴랄해 타카가 아닌 그냥 필드 잡몹같은 느낌을 준다. 각성을 먼저 만든후 각성전은 어차피 쓰지도 않으니 대충 만든티가 확연히 난다.
7. 코스튬
7.1. 푸른 날개
[image]
7.2. 길드 수호자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