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엘보우

 

[image]
수근 신전근이 집중적으로 분포, 부착된다.
1. 개요
2. 원인
3. 진단
4. 치료
5. 예방


1. 개요


Tennis elbow/Lateral epicondylitis
팔꿈치 바깥측의 압통과 운동통을 유발하는 손목 신전근 건의 손상과 외상과염. 명칭의 유래는 테니스에서 비롯됐지만 배드민턴, 골프 등 다른 운동에서도 발생한다.

2. 원인


이름은 테니스 엘보우이지만 외 다른 운동, 근로 작업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훨씬 많다. 망치질을 많이 하는 건설 노동 쪽 중년 근로자들은 한번 씩은 걸리는 편. 그 외 사무직 근로자, 주부, 미용사에서도 많이 생긴다.
라켓으로 백 핸드 밀어치기 동작을 하기 위해서 동원되는 손목의 신전근 그룹의 힘줄들이 상완 외상과 부위에 부착되는데, 반복된 동작으로 손상이 누적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반복적 견인 손상과 조직의 변성이 원인이다. 견인 손상이 발생한 후 적절한 관절 및 근육 운동의 제한이 필요한데 그렇지 않을 경우 손상의 누적으로 혈관 및 섬유질의 과다증식, 통각 수용체의 증대로 통증이 악화되고 정상적인 힘줄로의 재생이 차단된다. 즉 만성화의 길을 걷게 되는 것이다.
[image]
관여하는 신전근은 단, 장 요 수근 신전근, 총 수지 신전근, 인지 신전근, 소지 신전근, 주근, 척 수근 신전근이 있다. 이 중 단 요 수근 신전근(ECRB)의 외상과 부착 부위의 힘줄 손상이 주요 원인이다.

3. 진단


손목을 손등으로 저항성 신전을 하면 통증의 악화를 보인다. 중지의 저항성 과신전은 최다 호발 부위인 단 요 수근 신전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의 힘줄의 손상을 적시한다. 만성화된 경우 상기 손상된 부위의 섬유질성 육아 조직에 석회화 변성이 병발해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뼈조각이 생긴 것처럼 나타나기도 한다. MRI로 자세히 병변 범위를 확인할 수 있고 동반 손상이나 유사한 다른 질환의 감별을 해낼 수 있다.

4. 치료


발병 한 달 이내에는 경구 항염증제의 복용과 팔걸이를 한달 가량 사용해서 치료한다. 통증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으면 통증 수용기(통증을 감지하는 말초신경)의 과민도를 낮춰주고 염증 치유 반응을 차단하여 일견 효험이 뛰어난 듯이 보이지만 건전한 건세포 재생이 이뤄지지 않은 채 일상 생활로 복귀하기 때문에 재발되기 쉽다. 따라서 반복적인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와 조기 복귀는 병변의 만성화를 일으키는 지름길이다. 피부의 변색도 생길 수 있다.
통증 조절, 염증 완화를 위해 경우 항염증제, 국소 항염증제('파스', 겔)을 투여하며 유발 요소인 반복적 사용의 제한이 아주 중요하며 권장 재활 기간은 4~6주로 골절 치유에 준한다. 이는 급성기 치료의 원칙이며 완치에 이르는 방법이다.
한 달 이상 되고 급성기가 넘은 경우 연부조직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체외 충격파 치료(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를 수 차례 시도한다. 국소 포도당 주사도 증식 치료(Prolotheraphy)의 일환으로 시도하나 효과는 불확정적이다.
[image]
수술적 치료는 6개월 이상 만성기인 경우 필요하다. 직접 외상과 부위를 절개하여 변성 조직의 제거, 피질골 다발성 천공을 하거나 관절 내시경으로 신전근 건 그룹의 변연 절제 및 피질골 제거를 시행한다. 관절 내시경 수술이 흉도 적고 수술 후 통증도 거의 없지만 시술자의 숙련도가 필요하다.

5. 예방


원인은 힘줄의 견인 손상이 원인이므로 예방 방법은 신전 그룹 근육과 힘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스트레칭이다. 더불어 근 지구력을 기르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다. 일단 통증이 느껴지면 충분한 휴식과 재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스포츠, 직업상 팔꿈치의 통증이 일단 발생하면 전문가에게 빨리 가서 상담을 해야 하며, 이렇게 하지 않으면 일을 키울 수 있으니 유념해야 한다. 물론 발목, 허리, 손목 등 다른 부위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더 이상 정신력 타령이나 근성 운운 하지 말고 과학적, 합리적 사고에 입각한 관리가 일반화돼야 할 것이다.
H2 쿠니미 히로가 돌팔이 의사한테 야구를 계속하면 유리팔이 된다고 선고받은 질환일 가능성이 있다. 물론 소년 야구에서 많은 내측 인대의 부상등 다른 원인[1]의 경우일 수도 있다. 어쨌든 그때문에 1년간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 다른 선수는 적당히 쉬면 낫는다고 그 돌팔이 의사가 과소 진료를 한 탓에 결국 큰 부상으로 이어진다.
테니스 동호인들이 종종 오른팔에 웬 테이프 같은 것을 잔뜩 감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바로 염증을 막기 위한 용도이다.
[1] Little league elbow. 성장기 연령의 투수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부상이다. (1) 내상과의 견인 골단염으로 인한 과소/과다 성장, (2) 내상과의 염증과 분절화(3) 내상과염등 여러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어린 투수에게 몇 게임씩 완투를 시키는 것은 의학적 의미에서도 비윤리적인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