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성

 


1. 사전적 의미
2. 근성가이들과 근성녀들
2.1. 실존 인물
2.2. 가상 인물
4. 김성모 만화의 테마
5. 관련 문서


1. 사전적 의미


근성()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어떤 사람이 본래 갖고 있는 성질. 마음가짐. 혹은 특유의 성질.
2. 매사를 끝까지 해내는 억센 정신.
한국어로서[1], 어원은 불교 용어인 기근(機根).
1번의 의미는 그다지 좋은 뜻으로 사용되지는 않으며 '~~의 근성'이라는 식으로 사용되어야 확실한 의미 전달이 된다(ex. 노예 근성, 거지 근성).
2번 의미는 실제 사전에 명시된 뜻은 아니고 1번 뜻에서 파생된 뜻이다. 한국어의 '끈기' 혹은 '근기(根氣)'와 동일한 뜻. 좀 속되지만 순수 한국어로 말하자면 '깡'이나 '깡다구'도 있다. 뚝심과도 통하는 편이다. 나이든 어른들은 아직도 일본식 발음인 '곤조'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 끈기라는 뜻은 우직하게 버티고 추진하는 것을 잘하거나 혹은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지위나 직업, 상태 등의 근성을 갖고 임한다는 말에서 나왔다. 'ㅇㅇ 근성으로 밀고 나가라', 'ㅁㅁ 근성으로 버티다' 등. 여기서 근성 자체에 끈기라는 뜻이 있는 것으로 오해하고 주체가 되는 단어를 빼면서 근성에 끈기라는 뜻이 깃들었으나, 표준어로서는 그런 뜻은 없다.
이것이 지나치게 강조/강요되면, 의지드립으로 진화한다.
핵무기도 만들 수 있다(물론 근성 가지고는 안된다).
한국에선 고딩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다.


2. 근성가이들과 근성녀들



2.1. 실존 인물



2.2. 가상 인물


근성물의 주인공들은 다 이에 해당하기는 한다.

3. 포켓몬의 특성


포켓몬스터/특성#s-2.2 참고.

4. 김성모 만화의 테마


[image]
김성모의 청소년용 만화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테마. 김성모 본인은 근성을 "내 몸이 하고 싶지 않아하는 것을, 내 마음이 하고 싶어하는 것을 그 반대로 억제하는 힘"이라고 정의했다.
보통 격투만화가 가지는 '연약한 주인공이 강한 적을 쓰러뜨리면서 강해진다' 라는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서 우정, 노력, 행운, 정의, 사랑, 지혜 등을 내세운다. 하지만 김성모는 "그냥 근성이 최고다" 라는 생각으로 초반 작품의 모든 주인공들을 근성배(...)로 만들어버렸다.
대표적으로 럭키짱의 강건마는 삼단 컴보도 막히고 108계단 40컴보도 막히는 등 자신이 보유한 모든 필살기가 막히는데다 상대에 비해 스펙도 점점 떨어지지만 끊임없이 두들겨 맞으면서도 근성 하나로 버티고 일어서서 모든 적을 물리치는 근성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2]
초기에는 김성모의 만화를 까는 사람들이 까기 위한 요소였다. 하지만 문희준과 맞먹는 집중포화를 맞고도 끄떡없던 김성모의 대인배스런 모습에 까들이 점점 빠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근성체, 근성가이, 근성모 등 점점 바리에이션이 늘어났다.
다만 성인극화 같은 경우는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선지 근성을 강조하는 부분이 적으며 근성형 캐릭터는 그다지 좋은 취급을 받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
육체는 단명하나 이건 영원하다고 한다.
돌아온 럭키짱에서는 강건마의 93화 대사로 인해 근성이 다시 메인테마로 돌아왔다. 또한 209화에서 다시 한 번 강건마의 메인 테마로 되돌아왔다.

5. 관련 문서


[1] 일본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다. 1492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시문집을 편찬한 동문선에 '근성이 작아...'란 대목이 있다. 그리고 조선 정조 때 간행된 홍재전서의 무인기문에는 '그의 충의의 근성은 평소에 온축된 것', 화평귀주 치제문에 '효우근성(효성과 우애가 타고난 천성)'이란 기록이 있고. 최소 5백 년이 넘게 이 땅에서 사용된 단어[2] 사실 이런 구도의 줄거리는 헐리우드의 전설적인 스포츠 영화인 록키 시리즈에서 이미 선보인바 있다. 록키 시리즈의 주인공인 록키도 자신보다 체격과 기술에서 우수한 적수와 링 위에서 맞붙으면 초반에는 실컷 얻어 맞지만 근성으로 계속 버티면서 나중에는 적수를 물리치는 방식으로 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