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가

 

[image]
1. 개요
2. 특징
3. 현대


1. 개요


Toga. 고대 로마전통의상. 로마 남자들의 정장이었다. 반달 모양으로 재단한 천을 튜닉(투니카)을 입은 위에 두르는 것이다. 여러 매체에서 '고대 로마'하면 떠오르는 상징적 아이콘이 된 지 오래. 다만 로마에서 시작된 의상은 아니며, 그 시초는 로마 이전에 로마 문명의 기틀이 된 에트루리아의 토니카에서 시작되었으며 옆동네 고대 그리스의 키톤의 영향도 받았다.
딱 봐도 알겠지만 작업복이나 군복은 절대 아니다. 순수 평상복. 그것도 활동적인 것과는 거리가 먼, 어디까지나 '''남자 전용'''의 '''권위를 세우며 품위를 갖추기 위한 옷'''이었다는 점에서 현대인들의 남성용 정장을 넘어서는 예복 수준의 옷이었다고 볼 수 있다. 여자는 토가 대신 스톨라(Stola)라는 별도의 복장을 입었다는 듯. 만일 여자가 토가를 입었다면 매춘부(...)로 여겼다고 한다. 매춘업소에서 옷이 없어서 같이 잔 남자의 옷을 입은 걸로 알 테니.
이 옷은 '''법적으로''' 로마 시민과 귀족 이상 등급만 입을 수 있을 뿐 하층민·노예·타민족 등등에게 그딴 건 없었다. 이들에게는 튜닉만 입거나 그냥 너덜너덜한 천쪼가리만 허용되었다.[1]

2. 특징


원래 토가를 착용하기 전에 내부에 튜닉을 입었기에 의외로 노출도는 많지 않은 편이다. 아니 의외가 아니라 애초에 둘둘 감는 옷이 노출도가 높을 리가 없다. 제대로 고증을 지키는 로마 관련 영화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천을 몸에 몇 번 두르는 복장인지라 위의 그림에 나온 것처럼 천의 넓이가 꽤 크고 아름답다.[2] 그리고 단순하게 천을 감으면 끝이 아니라, 착용법이 따로 있으며 토가에 주름을 주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지켜야 할 에티켓이 있다. 따라서 혼자는 못 입는다고 보면 정상이고, 옷시중을 들 사람이 반드시 필요했다.
이 동영상을 보면 토가에 쓰이는 천이 생각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잘 알 수가 있다. 절대로 혼자서 입을 수 있는 옷이 아니다. 멋을 부리는 것을 좋아하는 귀족의 경우, 멋지게 주름만 잡아주는 노예를 따로 두기도 했다. 주름 잡는 실력이 뛰어난 노예는 꽤 비쌌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0EyStjkII-Y
해당 동영상은 고대사 전공 교수가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토가 입는 법
여기에 더해서 천을 고정하는 곳이 하나도 없다. 그래서 옷을 고정하기 위해 왼팔에 천의 끝단을 둘러싼 후, 왼팔을 살짝 구부려서 고정한다. 당연히 이렇게 하면 왼팔은 살짝 굽힌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급하게 움직이면 옷이 저절로 벗겨진다.[3] 따라서 토가를 입은 상태에서는 잘 해봐야 오른팔만 사용할 수 있으며, 무거운 짐을 들거나 빠르게 달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물론 토가를 입는 로마 지배층 남성은 평소에 무거운 짐을 들거나 빠르게 달릴 일 자체가 없다.
설상가상으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운 복장이다. 천을 둘둘 감으니 습기가 많고 무더운 로마의 여름에는 지옥이 따로 없게 되고, 겨울에는 의외로 통기구가 많기 때문에 찬 바람이 술술 들어온다. 물론 돈이 많으면 여름용 얇은 천과 겨울용 양모 등으로 토가의 천을 바꾸면 어느 정도 해결되지만, 완전한 해결은 불가능했다. 사실 시대를 막론하고 위엄을 갖추기 위해 입는 복장은 다 그렇다. 고대 로마인만 특이했던 것이 아니다.
이렇게 불편한 복장을 하게 된 이유는, 토가를 입으면 자연스럽게 똑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 천천히 걸어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위엄있게 보인다는 것 때문이었다. 하지만 명예와 위엄을 중시한다는 로마 귀족들도 토가의 불편함에는 진저리를 치던 상태였는지라, 토가는 공식행사용·대외업무용·손님접대용 정도로만 사용하고, 집에 돌아오면 토가를 벗고 편하게 지내는 것을 선호했다. 그러나 기억해야 될 점은 고대 로마는 현대처럼 바깥에서의 공적 생활과 집안에서의 사생활이 엄격히 분리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로마 엘리트들의 주택은 집 안에도 공적 영역을 위한 공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이들은 집안에서 매일 정해진 시간에 클리엔테스들을 접견하고, 수시로 가내 종교의례를 거행해야 했다. 그외에도 정치활동의 상당부분은 집안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집안에서도 토가를 입고 지내는 시간이 상당히 많았다.
이렇게 해서 토가는 점점 일상용의 지위에서 천천히 벗어나기 시작했고, 고대 로마의 멸망과 함께 자취를 감추게 된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했듯이 로마를 상징하는 옷이라서 샤를마뉴처럼 자신이 로마의 권위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예식용으로 잠깐 토가를 착용하는 사례가 있긴 했다.

3. 현대


서양의 대학가에서는 토가를 입고 술마시며 노는 일명 '토가 파티'가 있다. 하지만 이들이 입는 토가는 정식 오리지널 버전 토가가 아니라, 그냥 '천 쪼가리를 대충 몸에다가 '''붙여놓은''' 듯한 형태를 하고 있다. 요는 한복과 개량한복 정도의 차이...라면 비유 치곤 부족하려나? 사실 말만 토가 파티일 뿐, 광란의 파티를 벌여 온통 더러워져도 괜찮도록 옷 대신 침대보 따위의 1회용(?) 복장을 입고 즐기는 것이다. 술을 마시면서 옷에 이것저것 흘리거나 술을 쏟아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공감할 듯. 재미있는 것은 고대 로마 시절에도 만찬용 토가는 식사 시간에 양팔을 모두 써야 하므로 정장용 토가와는 달리 약간 입기 쉽고 움직이기 편하게 구성되었으며, 토가가 없는 사람을 위해서 간이형 토가를 빌려주기도 했다는 점이다.

[1] 켈트족이 로마인과 구별되는 가장 큰 부분이 바지를 입고 있다는 점이다. 로마인은 바지를 야만족의 상징이라며 폄하했다.[2] 비슷한 컨셉의 옷으로 인도의 전통의상인 사리가 있는데, 이는 여성용 옷이고 천이 직사각형 형태이다.[3] 물론 튜닉을 먼저 입는 형식이니까 알몸이 되는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