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상

 



1. 개요


아시아의 전통의상
[image]
[image]
[image]
중국 한족: 한푸
한민족권(대한민국, 북한): 한복[1]
일본: 기모노[2]
[image]
[image]
[image]
중국 만주족: 치파오[3]
몽골:
베트남: 아오자이
유럽의 전통의상
[image]
[image]
[image]
스코틀랜드: 킬트
독일 바이에른: 디른들(여), 레더호젠(남)
네덜란드
[image]
[image]
[image]
프랑스
스페인 안달루시아
이탈리아 나폴리: 타란텔라 의상
[image]
[image]
러시아: 사라판(여), 루바슈카(남)
그리스: 푸스타넬라
말 그대로 전통이 담긴 들을 뜻하며, 간단하게 의미하자면 옛날 고유의 문화에서 입어와 현재까지 내려오는 고대의 옷들이다.
문화에 역사가 깃든 옷들이기 때문에 나라별로 시대별로 고유의 아름다움이 담겨져 있으며 당연히 문화 유산 중 하나이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변화함에 따라 멋의 기준은 달라지며, 의상은 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흔히 말하는 '촌스러움' 때문에 현대 일상 생활에서 전통 의상을 입는 경우는 세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다만 그 정도에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가령 한국의 한복은 일상적으로는 양장에 자리를 내주고 대부분 특별한 날에 입지만 아랍 몇몇 나라나 미얀마처럼 길거리에 보이는 사람 중 전통의상 입은 사람이 절반쯤은 되는 곳도 있다. 가장 큰 예외는 바로 자국의 전통의상을 전세계에 정장으로 정착시킨 영국.
대부분의 전통 의상은 날씨에 영향을 받았던 옛 시대의 특징 때문에 대부분 현대인의 복식보다 길다. 허나 산업혁명 이후로는 인간들이 자연에 맞서서 냉난방이나 옷감의 개량 등으로 대응하기 시작하며 옷의 길이를 길게 늘일 필요가 없어졌고, 오히려 일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인식에 의해 활동성을 중히 여기게 되면서 옷들은 점점 짧아져 갔다. 또한, 간편성 역시 중요시 되어 겹겹을 입는 대부분의 전통 의상은 귀찮다고 기피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대부분 20세기 이후로의 전통의상에 대한 인식은 촌스럽다, 귀찮다가 대세. 하지만 전통의상 역시 문화의 귀중한 한 부분인 까닭에 보존해야 함은 당연하며, 전통의상들은 나름의 고유적인 기품과 멋, 그리고 나라별의 역사가 담겨져 있다. 때문에 전통의상 덕후들이 많으며 전통의상 덕후들이 역덕을 겸하기도 한다. 그리고 전통의상도 디자인하기 나름이기에, 만들 때 신경을 쓰면 그다지 촌스럽지 않다. 오히려 세련되고 예쁘다. 2000년대 이전과 2010년 쯤에 나온 사극의 한복을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시대별로도 전통의상은 많은 변화를 겪었는데, 세계적으로 현대인이 생각하는 전통의상은 서구화 직전의 형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한국의 경우는 구한말 ~ 일제강점기의 양식과 그것의 개량형이 전형적인 한복의 이미지로 인식된다. 그 이전 시대의 형태에 대해서는 인식이 희미한 편이고 아예 한복이 아니라고 생각해버리는 사태도 있다. 한국에선 신라시대 양식 한복을 입었다가 경복궁 한복 착용시 무료입장 제도 적용을 거부당한 사건이 있었고 중국에서도 중국의 전통의상이라고 하면 청나라 시대의 치파오를 주로 떠올리기 때문에 2006년엔 베이징대 역사학과 학생들이 명나라 이전 시기 양식 한푸를 복원해 홍보한답시고 한푸를 입고 시민들과 만났으나, 정작 시민들은 당시 대장금의 인기와 한류의 영향에 의한 한복의 인지도 상승 등으로 한푸를 한복 또는 대장금 옷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상당수였다고 하며, 2010년 청두에서는 한푸를 입고 돌아다니는 소녀를 보고 일본 기모노를 입고 다닌다고 착각하고 반일감정이 불타올라 옷을 빼앗아 불태우는 사건도 있었다. 서양의 경우도 그리스이탈리아의 전통의상이 고대에 입던 토가라고 생각하는 외국인이 종종 있지만, 토가는 따로 토가 파티 할 때 입고 가릴 곳 다 가린 근대 시기 복식을 전통의상으로 보는 편이다.
20세기 이후로는 전통의상은 특별한 날(명절)에나 입는다는 의식이 강해졌다. 특히 이는 역사가 긴 동양권에서 부각된다. 그러나 전통적인 경우가 아니더라도 축제에 기모노를 입고 가는[4] 일본을 보건대, 명절 이외에도 전통의상의 대중화는 가능할 듯하다. 실용성은 둘째치고서라도.
세계적으로 대체로 여성이 남성보다 전통의상을 입는 경우가 훨씬 많은 편이다. 이슬람권처럼 강요하는 지역을 제외하더라도 한국이나 일본만 봐도... 여기서 얼마 안 되는 예외가 미얀마[5], 그리고 전통의상을 남성정장으로 세계로 퍼뜨린 영국과 카우보이 복장이 전통의상인 미국 정도.

2. 나라 별 전통의상



2.1. 아시아




2.1.1. 동아시아


치파오 위에 청나라국기가 있고 한푸 위에 중화인민공화국의 오성홍기가 있냐고 의아할 수 있지만, 치파오는 만주족의 의상이고 한푸는 한족의 의상이다. 따라서 오성홍기 밑에 치파오와 한푸를 둘다 놓는 것은 매우 잘못되었으며, 치파오는 만주족의 나라인 청나라 밑에 두고 한푸는 한족의 나라인 중화인민공화국 밑에 두어야 바람직하다.[6]

2.1.2. 동남아시아



2.1.3. 남아시아



2.1.4. 서남아시아


  • 터키 - 페스, 터번[8], 카프탄, 돌라만, 엔타리, 굄렉(gömlek), 옐렉(yelek), 샬바르(şalvar), 쿠샥(kuşak)
  • 아랍 국가들 - 히잡, 아바야, 차도르, 터번, 카피예, 싸웁, 젤라비야(혹은 젤라바), 간도라
  • 이란 - 차르샤프(차도르를 가리키는 현지어), 카프탄
  • 이스라엘 - 키파[9]

2.2. 유럽


중세부터 근현대까지의 의상을 기록해 놓은 자료들을 보면, 중세시대에는 대체로 프랑크 왕국고딕 양식을, 르네상스 시대에는 남유럽의 양식을 절대왕정 시대에는 프랑스의 양식을 따르다가 산업 혁명기 이후로는 영국에서 유래된 정장을 입는다.

2.3. 아메리카



2.3.1. 중남미



2.3.2. 북미



2.4. 아프리카



2.5. 오세아니아



[1] 위 사진은 현대에 생긴 장식띠인 '말기대'를 착용했다.[2] 사진 속 여성이 입고 있는 기모노는, 미혼 여성의 예복인 후리소데이다.[3] 사실 치파오는 만주족의 전통의상이 아니라 이를 한족들이 개량한 것이다.[4] 정확히는 욕의에서 비롯된, 명주 등으로 만든 여름용 홑옷인 유카타이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기모노와 같다.[5] 양곤의 다운타운 소핑몰에 가도 현지 남성들 10명중 5~6명은 치마 형태 론지를 입고 있다.[6] 다만 청나라 국기와 오성홍기를 '만주족'과 '한족'을 상징하는 것이 아닌 '시대'를 상징하는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시대'에 어울리는 복장은 다름아닌 인민복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정작 이 인민복은 중국에서는 중산장(中山裝)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다 입었던 옷이라 애매하다. 양국의 공통 국부인 쑨원이 디자인한 것이기 때문이다.[7] 일본 국내에서는 주로 和服(わふく, 와후쿠)라 칭한다.[8] 터키뿐만 아니라 인도나 서아시아 지역의 전통 모자이다.[9] 유대인들의 전통 모자.[10] Χιτών이라 쓰고 현대 그리스어로 히똔 가깝게 읽힌다. 남녀 공용 의상이 였지만 남자의 것은 보통 여자의 것보다 조금 짧았다. 아이오니아식 키톤과 도리스식 키톤 두 가지로 나뉘었다.[11] πέπλος. 여성들이 입는 복장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