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하

 


1. 개요
2. 특징
2.1. 새우 종류 구별법


1. 개요


[image]
[image]
생이새우큰 사진은 여기로
줄새우
한국에서 서식하며 식용으로 사용되는 민물새우류들의 총칭. 주로 저수지에서 많이 잡히며 생이 한 종류만을 말하는 경우도 있고 줄새우, 새뱅이[1] 등 작은 민물새우를 싸잡아 토하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단 단어 자체의 뜻은 ''Paratya compressa'' 한 종류만을 의미한다.

2. 특징


환경파괴로 양이 줄어들어 시장에서 볼 수 없게 되었으나 정부의 노력으로 다시 잡아다가 팔 정도의 개체수는 회복한 모양. 젓갈로 만들어서 많이 파는 모양이다. 가격은 2020년 겨울 생물을 기준으로 1 kg에 25만 원. 조정래태백산맥에 의하면 토하 알만 모아 따로 담근 토하 알젓이 있다는데, 토하가 비교적 흔한 편이던 과거에도 이 토하 알젓은 대지주들이, 그것도 젓가락 끝으로 살짝 찍어 밥에 발라 먹던 귀한 진미 중 진미라고 나온다.
같은 새우의 이름을 붙이고 있지만 사실상 민물 새우 쪽이 새우 특유의 풍미와 향이 바다새우보다 훨씬 강하다. 새우탕으로 끓였을 때도 그렇고 튀기면 정말 새우깡 그 자체와도 같은 강렬한 새우향이 일품. 물론 바다새우처럼 속살을 따로 발라먹을 생각은 버려야 한다. 민물 새우에 맛들인 사람은 이쪽을 즐겨 찾게 된다.
겨울철에 전통 어시장에 가면 놀고 있는 논에 민물새우를 양식해서 팔기도 한다. 새우 종류는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잘 나오지 않는다.
이렇게 판매되는 것에는 생이새우와 줄새우, 새뱅이 등 민물새우가 섞였는데, 보통 낚시 미끼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지에서는 잘 구분하지 않는다. 그리고 구분하려면 경험자가 한 마리씩 매의 눈으로 쳐다보고 골라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족관에 풀어놓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자란 모습을 본 후에나 구분할 수 있으므로, 꼭 구분해야 한다면 새우를 구입한 당사자가 직접 하곤 한다.
어차피 같이 먹을 거 굳이 왜 구분하는 수고를 벌이는지 궁금할 것이다. 취미로 수족관이나 어항을 운영하면서 투입하려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민물새우를 관상용으로나 이끼제거용으로 물고기와 함께 키우려는 경우가 꽤 있다. 줄새우는 가재와 닮아 약간 덩치가 크고 성격이 난폭하며 적극적으로 사냥을 하는 습성이 있어서, 구피 같은 작은 물고기와 같이 키우면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민물새우는 물론이거니와 물고기까지 전멸하는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냥 민물새우와 관상어류의 가격차를 고려해본다면 엄청난 대손해다.[2] 이에 반해 생이나 새뱅이는 물고기가 먹다 남은 사료나 이끼를 주로 먹고, 몸집이 작아 오히려 물고기의 밥이 되는 경우는 있어도[3] 물고기를 해치지는 않으므로 유용하다. 만약 시장에서 구입했거나 저수지에서 채집한 뒤 민물새우를 바로 수족관에 풀어놓으면 줄새우를 걸러내기 위해 생고생을 할 수도 있으므로 사전에 새우 골라내기 작업은 필수다.
사실 관상을 목적으로 시장에서 파는 민물새우를 사서 그 중 생이 새우를 걸러내는 작업은 거의 무의미한 짓이다. 2kg[4]에 가까운 양을 사도 그 중 생이새우는 100마리 중 대여섯 마리도 되지 않으며, 그나마도 대부분 사망한 상태다. 채반에 담겨서도 벌떡거리며 살아있는 녀석들은 대부분 물 밖에서도 장시간 생존이 가능한 징거미류인 줄새우들이다.

2.1. 새우 종류 구별법


  • 생이새우 - 몸색깔은 흰색에 가깝고 불투명하며 몸에 가로줄무늬가 거의 없다. 아종들 중 특이한 색을 가졌거나 해외의 브리더들을 통해 붉은 색이나 푸른 색, 노란 색 등 다양한 색으로 개량된 새우들, 혹은 이끼제거에 특화된 새우 등 몇몇 종들은 수족관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육되기도 한다. 만약 다른 대표적 관상용 새우인 체리새우와 생이새우를 함께 합사할 경우 서로 번식하여 후손은 수수하게 생긴 생이 2세가 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한다...
  • 새뱅이새우 - 생이와 비슷하며 실제로 친척 관계지만 몸 색깔은 갈색이나 검은색에 가깝다. 등 쪽에 일자 줄무늬와 가지로 뻗은 가로줄무늬가 있다. 다만 먹이에 따라 몸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에 색깔이 옅은 경우에는 생이와 구별하기 어렵다. 충청북도향토음식 중 하나인 새뱅이찌개가 바로 이 새뱅이를 넣고 끓인 찌개를 말한다.[5]
  • 줄새우 - 몸은 투명하고 등이 굽어 있으며 꼽추처럼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다. 머리가 크고 눈이 양 옆으로 툭 튀어 나와 있다. 몸 전체에 가로줄무늬가 있고 잘 살펴보면 앞다리에 확연히 큰 집게가 달렸다. 분류상으로는 징거미새우과에 속한다.

[1] 생이와 새뱅이는 새우의 고어에서 나온 말이다. 순경음 ㅂ은 현대에서는 음가가 ㅇ으로 바뀐 경우가 많다.[2] 관상어 먹이로 듬뿍 넣어준 새우들이 물고기를 린치하다 먹어버렸다는 이야기도 있다.[3] 죽어가는 물고기를 뜯어먹는 경우를 제외하면.[4] 2020년 겨울 기준 15,000원. 벌써 상단에서 설명했던 젖갈용 양식 생이새우와 가격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난다.[5] 충청북도는 대한민국 중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없다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민물요리가 발달해 있다. 새뱅이찌개 또한 그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