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네우모데스무스

 

[image]
'''프네우모데스무스'''
''' ''Pneumodesmus newmani'' ''' Wilson & Anderson, 2004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배각강(Diplopoda)
상목
†아르키폴리포다상목(Archipolypoda)

†프네우모데스무스속(''Pneumodesmus'')
''''''
†''P. newmani''(모식종)
[image]
복원도
1. 개요
2. 상세
3.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육상 동물이다. 고생대에 살았던 다지류의 일종이자 '''몸통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육지 동물'''로,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로 '숨쉬는 띠'라는 의미다.

2. 상세


스코틀랜드 애버딘셔 주에서 1cm 남짓한 몸통 일부의 화석이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졌으며, 길고 가느다란 다리들과 몸 윗부분을 감싸고 있는 배판 등을 고려한 결과 원시 노래기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배판의 큐티클층에서 숨구멍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녀석이 지구 역사상 최초로 공기 중에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기관계를 가진 육상동물이었음을 시사한다. 간단히 말하면 이미 이 시점에 절지동물은 육상생활에 충분히 적응한 몸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1]
발견 당시에는 실루리아기 후기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졌으나, 2017년에 이 녀석이 사실은 데본기 전기에 살았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제기된지라 정확한 생존 연대는 아직 미지수인 상황. 사실 쿡소니아로 대표되는 원시 식물들이 이미 실루리아기 전기에 육상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진핵생물에 한정하여 '최초의 육상 생물'이라고 하면 대개 식물을 먼저 떠올리곤 하는데, 화석상의 증거로 따지면 이미 오르도비스기 후기에 육상에서 다지류가 활동했음을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바 있다. 몸통 화석으로 증명할 수 있는 최초의 사례는 프네우모데스무스가 맞지만, 그 외 화석까지 종합한다면 무척추동물이 처음 육상에 진출한 시기는 육상식물의 경우보다도 한참이나 거슬러 올라가야하는 수준이라는 것. 여담으로 최초의 육상 척추동물인 틱타알릭이 나타난 시기는 데본기 후기인데, 이는 프네우모데스무스가 살았던 시점에서 4억 년 가량 흐른 뒤.

3. 등장 매체


2010년 방영된 BBC다큐멘터리 시리즈 'First Life'의 2번째 에피소드에서 육상 절지류의 일종으로 언급된 바 있다.

[1] 육상으로 진출할 때 사실 절지동물이 척추동물보다 더 유리한 것이, 뭍으로 나와도 단단한 외골격이 몸을 보호해줄뿐더러 내부기관도 크게 바꿀 필요가 없다. 갑각류나 수서곤충 등이 좋은 예시. 이와 같이 생물종들이 환경이 바뀌기 이전에 이미 우연히도 적합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을 전적응이라고 한다. 반면 척추동물은 육지로 나오려면 내부 호흡기관부터 몸 구조까지 대대적인 개조를 거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