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

 



[image]

1. 개요
2. 특징
3. 현황 및 평가
4. 동형함 목록


1. 개요



'''はやぶさがたミサイルてい'''
''Hayabusa''-class guided missile patrol boat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
일본 해상자위대고속정.
1999년, 일본에 충격을 준 노토 반도 괴선박 사건 당시 공고급 이지스함인 묘코를 포함한 함대가 추적 함에도 괴선박의 도주를 허용했고, 2001년 12월 22일 큐슈 해안에서 발생한 북한 공작선 출현 사건 당시에는 해상자위대의 대형 호위함들은 복잡한 발포 절차[1]와 강제 진압수단의 부재로 인해 해상보안청 순시선의 20mm 기관포 사격으로 저지를 시도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미 과거에 고속선박이나 잠수함에 의해 자국민들이 납치당한 경험이 있던 일본정부는 고속 소형 선박을 통한 게릴라 침투 시도를 저지하기 위한 고속정 개발에 나서게 된다. 고속정의 경우 이전에도 1991년에 착공한 1호형 미사일정이 있었지만, 46노트의 빠른 속도에 비해 50톤의 소형 함정이라 악천후에 약하고, 대함공격에만 특화된데다 무엇보다 내구성과 장거리 항속능력이 안 좋은 평가를 받아 3척만 건조하고 종료되었다. 때문에 방위성은 이번에는 괴선박을 추격할 수 있는 장거리 순항능력과, 괴선박보다 빠른 속력으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무장과 방어력을 갖춘 함선을 12척 건조하기로 결정한다. 단가는 94억엔. 약 1천억이었다.
2022년 초도함부터 퇴역이 시작될 예정이다. 초계 임무는 새로 건조될 1000+톤급 초계함이 승계하게 된다.

2. 특징


설계는 미쓰비시가 담당하게 되었다. 1999년 등장했던 괴선박의 속도를 무조건 상회해야 했기에 계획 당시 40노트였던 최대 속도는 44노트까지 올라갔다. 이에 처음에는 가스터빈 엔진 2기를 장착하려던 계획을 변경하고 LM500-G07 가스터빈 엔진3기를 탑재하여 16,200마력을 내게 되었고, 각각의 엔진을 독립적으로 워터제트에 연결하는 구조를 도입해 속도를 높였다.
함선의 선형은 쌍동선과 활주선형을 비교한 끝에 고속 항행에 유리한 활주선형으로 만들기로 결정하고, 함체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선체와 상부구조물에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44노트의 속도를 갖추게 되었으며, 평시 추격임무시 게릴라의 RPG-7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방탄 설계와 함께 대함임무 등 전시작전시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스텔스성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무장은 오토멜라라사의 함포를 도입해 일본이 자체적인 개량을 거쳐 분당 발사속도가 80발에서 100발로 향상되고 스텔스 실드를 갖춘 76mm 컴팩트 포 1기와, SSM-1B대함미사일 2연장 2기를 장착하고 있고 그 외 12.7mm 기관총 2기를 장착하였다. 센서는 대수상 감시용의 OPS-18-3레이더와 괴선박 탐지용인 OAX-2 적외선 감시 장치, 사격 통제 레이더인 FPS-2-31 레이더가 장착되었고, 네트워크 교전을 위한 MOF와 위성 통신 장치가 있다. 또한 선박의 임검을 의한 보병무장과 작업정을 탑재하고 있다.

3. 현황 및 평가


초도함인 하야부사는 설계를 시작한지 3년만인 2002년에 취역하게 되는데, 이후 5척이 2004년까지 건조되어 마이즈루 지방대와 사세보 지방대에 3척씩 총 6척이 배치된 상황에서 추가건조가 중단되었다.
하야부사급은 빠른 속력과 균형 잡힌 성능으로 초기 등장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먼저 괴선박을 적당히 제압할 수 있을만한 30~40mm 구경의 화기를 탑재하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2] 76mm 함포는 우수했지만 한 발만 명중해도 치명적이라 괴선박에 대한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하야부사급은 원래부터 수상한 선박을 임검하며 정선명령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선박을 추격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지 정규 해전용으로 도입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76mm 함포와 90식 대함미사일은 '''경고사격'''을 통해 괴선박에 적당한 손상만을 입혀 세운 후 나포하기에는 지나치게 위력이 강했다. 그나마 12.7mm 기관총은 RPG 사거리 밖에서 괴선박을 격침시키지 않을 정도의 위력을 갖추고 있지만 문제는 RPG 사거리 밖에서 발포시 저지 능력이 매우 부족했다.괴선박 즉,불심선에 대해서는 왠만해서는 격침보다는 나포에 더 비중을 두는 세계 각국의 해상치안조직들의 경비함정들의 무장이 강해봐야 기관포 정도인 이유도 이와 같다. 물론 개중에 우리 해경의 5천톤급 이청호함이나 미 해안경비대와 같이 76mm 함포를 장비하고 운영되는 극소수 예외가 있기도 하지만, 우리 해경도 이청호함을 제외한 대한민국 해경측의 다른 함정의 주포들은 40mm 기관포나 20mm 기관포를 사용 중이다,거기에다가 당시 일본 해상 자위대처럼 노토 괴선박 출현사건을 겪은 조직인 일본 해상 보안청의 경우에는 괴선박 대응 차원에서 20~40mm 구경장 기관포들을 구경장별로 구매해서 신형 순시선 등에 장착[3]하는 식으로 대응한 걸 감안하면 이러한 결정이 얼마나 잘못 되었는 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거기에다가 탑재한 OPS-18 레이더는 근거리에서 FRP선박을 탐지하지 못하여 어선을 침몰시킨 아타고급 이지스 구축함에 장착된 OPS-28과 비슷한 구조이기에, 괴선박이 FRP구조의 선박이라면 원활한 추적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며[4] 거기에 44노트이라는 엄청난 속력을 달성하게 한 가스터빈 엔진 3기는 고속 주행시에는 분명히 탁월한 성능을 자랑하나 저속 순항시 연비가 재앙 수준으로 안 좋기에 항속거리와 시간에서 상당한 약점을 갖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당 함정을 정규 해전용으로 투입하자니 이미 강력한 대형 함선들로 가득한 호위함대, 잠수함대, 100여 대에 달하는 P-3C 해상초계기 세력까지 잔뜩 있었고, 의미있는 수준의 대함 공격력을 갖추기 위한 함선 숫자조차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에 예산낭비라고 판단한 방위성에 의해 6척으로 종료되었고, 결국 20년만 운용하고 퇴역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4. 동형함 목록


함번
함명
PG-824
하야부사
PG-825
와카타카
PG-826
오오타카
PG-827
쿠마타카
PG-828
우미타카
PG-829
시라타카

[1] 2001년에는 1999년보다 상대적으로 그러한 제약이 덜했으나, 적어도 해상보안청보다 심각한 수준의 제약이 있었다고 한다.[2] 이러한 문제는 대한민국 해군검독수리급 고속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 바 있다. 그래도 검독수리급 쪽은 북한 해군과의 전면전을 상정한 함선이었기에, 괴선박 대응용인데도 적함에 적당히 손상을 준 후 나포하기 위한 경고사격에 쓰일 보조무장이 충분치 못 해서 개발 목적에 부합하지 못 하였던 하야부사급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까이는 편이다.[3] 물론 특정 기관포를 지정하지 않고 마구잡이에 가깝게 구매하다보니 수리하기도 복잡하고 운영 유지비나 도입 비용 등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나 적어도 괴선박 대처라는 임무에 적합한 기관포들을 갖추고 있다.[4] 반잠수정이나 밀수용 보트 등의 구조 상당수가 FRP 구조로 된 일반 선박을 개조한 형태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