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타카제급 구축함

 


[image]
[image]
[image]
'''はたかぜ型護衛艦'''
1. 제원
2. 본문
3. 1980년대: 일본 호황기 시절의 아시아 최강군함
4. 함선 목록
5. 기타
6. 관련 항목


1. 제원


하타카제급의 제원
건조 시작
1983년 ~ 1988년
취역
1986년 3월 27일
기준 배수량
4,600 톤[1]
만재 배수량
5,900 톤
길이
150 m (492 ft 2 in)

16.4 m (53 ft 10 in)
흘수
4.8 m (15 ft 9 in)
완성
2 척
운용
2 척
속력
30 노트
승무원
260 명
무장
대함 미사일
RGM-84 하푼 SSM x 8기
대공 미사일
SM MR SAM(40발 적재)
함포
2 × 5인치/54 구경 Mark 42 함포
CIWS
2 × 20 mm 팰렁스
대잠
2 × Type 68 3연장 어뢰 발사관
ASROC(아스록) 대잠 미사일

2. 본문


하타카제급(はたかぜ型護衛艦)은 타치카제급을 개량한 해상자위대의 구축함이다. 하타카제함은 일본해상자위대가 보유하고 있는 제 2 세대급 방공유도구축함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또한 영문표기에서 구축함인 DDG로 호칭하고 있다. 이것은 건조될 당시 보다 진보된 방공 구축함으로 주목 받았다. 이것은 타치카제급을 기반으로 함의 구조를 개선하고 전자 장비를 업그레이드 시킨 수상함이다. Mk.13 스탠다드 단장 미사일 발사대를 설치하여 사거리 37km의 SM-1MR 미사일 등을 발사할 수 있다. 하타카제급과 타치카제급은 구별되는 점 중 하나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mk.13 스탠다드 미사일 발사대의 위치다. 타치카제는 그 발사대를 후방에 배치하였으나 하타카제는 전방에 배치하였다. 하타카제급은 무장으로 사용하는 SM-1MR은 1970년 ~ 1980년대 미국의 주력방공체계인 Tar-tar체계인 동시에 스탠다드 초기형의 방공미사일체계였다. 이것은 하타카제급에 40여발 장비되어 있으나 VLS 같이 빠르고 동시에 운용하기에는 불가능한 체계이다. Mk.13 단장 발사기는 기본적으로 한발 한발씩 적재, 장전하여 발사하는 시스템이기에 그렇다. 주포로 사용하는 127mm 급 단장포는 2문장비되어 있으며 CIWS팰렁스 20MM 발칸포가 2문 장착되어 있다. 대함 미사일은 서방체계인 RGM-84 하푼 미사일을 8기 장착하였다.
현재는 매우 노후화 된 함급으로 신규 이지스함인 마야급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1번함 하타카제는 2020년, TV-3520으로 개번되어 훈련함으로 용도 변경되었다.#

3. 1980년대: 일본 호황기 시절의 아시아 최강군함


하타카제급이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전투함으로 등재된 시절도 있었다. 그 시기는 1980년대로 아시아 국가들이 전체적으로 해상전력뿐 아니라 경제력까지 약한 시기였다. 이 함의 자매함으로는 시마카제함이 존재한다. 하타카제는 공고급 이지스 구축함이 도입된 후에는 2선으로 밀려난 구형 전투함이 되었다. 1980년대에 일본은 하타카제급 뿐만 아니라 4,000톤급 하츠유키급 12척[2]과 7,200톤 시라네급 헬기 구축함을 2척, 4,900톤 아사기리급(DD-151 ~ DD-154)4척, 5,900톤 하타카제급 방공함 2척 등도 도입한 시기였다. 이 기간 일본은 거품경제시기로 불어난 경제력을 바탕으로 해군력을 폭발적으로 증강시켰다. 1980년대는 해상자위대가 아시아에서 선두권 해상 무력집단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매우 중요했던 시기라 할 수 있다.

4. 함선 목록


함번
함명
DDG-171 → TV-3520[3]
하타카제
DDG-172
시마카제

5. 기타


  • 2012년에 출간된 영상노트의 " 한일전쟁 " 에서 한국공군이 발사한 하푼에 얻어 맞아 대파된 1번함 하타카제가 출현한다.
  • 2014년 1척분의 보수 예산이 올라온 움직임을 보면 10년쯤 더 운용할 가능성이 보인다.

6. 관련 항목



[1] http://ja.wikipedia.org/wiki/%E3%81%AF%E3%81%9F%E3%81%8B%E3%81%9C%E5%9E%8B%E8%AD%B7%E8%A1%9B%E8%89%A6[2] http://en.wikipedia.org/wiki/Hatsuyuki_class_destroyer[3] 훈련함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