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
[image]
'''정식 명칭'''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영문 명칭'''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설립일'''
1975년 12월 24일
'''설립목적'''
국가표준기본법에 의한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1]으로서 국가표준제도의 확립 및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보급함으로써 국가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 함
'''대표자'''
박현민
'''주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관 구분'''
기타공공기관
'''비전'''
'''국민의 행복과 미래를 선도하는 세계최고 측정표준과학 연구기관'''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67
'''관련 웹사이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공식 SNS'''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식 블로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식 유튜브'''
'''관련 전화번호'''
대표전화: '''042-868-5114'''
1. 개요
2. 연혁
3. 주요부서 및 분야
4. 여담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문'''[2]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연구기관이다.
국가측정표준 확립 및 유지·향상,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 측정표준 보급 및 서비스를 주요 임무로 한다. 영문약칭은 KRISS이며, 일반적으로 표준연이라는 약칭을 사용한다.
대전 시내에서 대덕대로를 따라 북상하다가(또는 북대전 IC에서 남하하다가) 연구단지네거리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가정로를 따라간다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연구원이기도 하다. [3]
간판에 ‘표준’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에 걸맞게 우리나라 모든 분야의 측정에 관한 표준을 갖춘 곳이며, 단위 재정의 이전까지 사용되던 각종 원기들과 표준시계를 보유한 곳이다.

2. 연혁


출처
  • 1970년대
    • 1975.12.24 - 국가표준기관으로 한국표준연구소 설립
    • 1978.12.30 - 국가교정업무 시행
  • 1980년대
    • 1984.11.19 - 한국표준주파수국(HLA) 개국
  • 1990년대
    • 1988.10.11 -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자문위원회 회원기관 피선
    • 1991.10.1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으로 기관 명칭 변경
    • 1999.02.08 - '국가표준기본법'에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으로 명문화
  • 2000년대
    • 2004.10.23 - 과학기술부 소속 공공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으로 변경
    • 2008.03.25 - 교육과학기술부 소속 기초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으로 변경
  • 2010년대
    • 2013.03.23 - 미래창조과학부 소속 기초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으로 변경
    • 2014.06.30 - 미래창조과학부 소속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으로 변경
    • 2017.07.26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연구기관으로 변경              

3. 주요부서 및 분야


  • 물리표준본부
모든 첨단연구, 제품 생산과 상거래 질서 유지의 근간이 되는 국제단위계의 기본단위뿐만 아니라 유도단위의 국가표준을 확립하고 유지·향상시키며, 교정#s-4 서비스를 통하여 보급하고 있다.
  • 화학바이오표준본부
환경, 의료, 보건, 식품 분야의 측정표준을 확립하고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국제적 수준의 측정 능력을 활용하여 인증표준물질, 시험·교정#s-4 서비스 등을 규제 및 산업현장에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 첨단측정장비연구소
KRISS의 측정기술을 장비화하여 외부 수요에 대응하고 있으며, 각종 측정기술 및 아이디어의 장비화 지원, 장비용 공통 플랫폼 개발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양자기술연구소
신개념의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스핀소자 등 새로운 측정표준 분야를 대표하는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양자기술 분야의 핵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차세대 국가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 소재융합측정연구소
국가 주력산업 및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을 위한 차세대 측정기술을 개발하여 미래 신산업 개척 및 산업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 안전측정연구소
모든 국민이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건강한 삶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나노 및 보건의료, 수소인프라를 포함한 시설안전, 원전폐기물/온실가스 등 환경 관련 측정표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4. 여담


이름에 ‘표준’이 들어가므로 KS(한국산업표준)와 관련이 큰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간혹 있으나,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주 역할은 ‘측정표준’의 확립, 보급과 측정기술의 연구다.[4]
2020년 대전광역시 정무부시장이 과학부시장으로 변경된 이후 초대 과학부시장으로 임명된 김명수 부시장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연구활동 및 원장직을 역임한 이력이 있다.
신용현 전 국회의원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출신이다.

5. 관련 문서



[1]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제도량형위원회 상호인정협약(CIPM MRA)에 참여하여 서로 다른 나라들의 국가표준과 측정결과가 동등함을 확인한 후 이를 상호인정해주는 체계에 포함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국내에 보급하는 각 측정표준은 위 협약에 속한 다른나라의 측정표준과 동일함을 인정받는다.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자. #[2] 정문 양 옆의 서로 다른 7개의 기둥들은 각각 SI 단위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3] 이어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G생활건강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이 나온다.[4] ‘표준’에는 다양한 개념이 포함되므로 다음 링크들을 살펴보면 각 표준의 의미와 소관 부처를 알 수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