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암 금동관

 

[image]
사진 출처 : 조선일보 "국보급 신라 금동관 파손"
1. 개요
2. 내용
3. 파손 사건


1. 개요


5세기 경 신라에서 제작된 한국의 금동관. 원래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삼성미술관 리움으로 이관된 상태다.

2. 내용


전체 높이 20.6㎝.
지금으로부터 1,600여년 전 신라에서 제작된 한국의 금동관이다. 출(出)자형 입식 3개와 하트형 장식 두 개를 늘어뜨렸으며, 한국에서 그동안 발견된 금동관 중 보존 상태가 가장 뛰어나 장식성이 빼어난 국보급 문화재로 평가받았다.

3. 파손 사건


1998년 국립중앙박물관(당시 관장 정양모)이 민관박물관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호암미술관으로부터 금동관을 대여받아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한국실 개관 특별기념전에 이 유물을 내놓았다가 관리상의 실수로 박살이 났다. 그리고 이 당시 금동관의 이송을 책임졌던 국립중앙박물관은 사건이 벌어지자 이를 은폐하다가 걸리는 막장 상황이 벌어졌었다.
훗날 2013년에 다시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금동미륵반가사유상 등 국보 12점, 보물 14점을 포함하는 특별기획전 ‘황금의 나라, 신라’전을 열기로 계약을 맺자, 전국의 수많은 학자, 연구자, 전문가들이 이 때의 사건을 거론하며 전시회를 거세게 반대하는 등 십수년이 지난 후에도 한국 고고학계와 역사학계에는 크나큰 충격과 아픔으로 남아있다.한겨레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83호’ 뉴욕 가나 못가나, 한겨레 : [논쟁] 국보 83호 뉴욕 나들이 괜찮나, 매일경제 : [世智園] 國寶 뉴욕 나들이, 명분 잃은 금동미륵반가사유상 미국행 - 문화재청, 반가사유상 반출 금지 왜 번복했나
최초 문화재청은 이 사건의 내막에 대해 알게된 후 학계 및 전문가들의 반대 의견에 동의했었으나, 결국 문체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의 압박에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국외 전시를 허용하는 것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하지만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토우장식 장경호는 시민들의 반대로 끝내 전시회에 나가지 못했다. 이는 한국 역사인들에게 이 금동관 파손 사건이 얼마나 큰 트라우마인지를 잘 보여준 사건이었다.
국가에 유물을 빌려주었다가 호되게 데인 호암미술관은 이때 이후로 금동관을 철저히 외부에 보이지 않고 있다. 때문에 오랫동안 이 금동관을 찍은 사진은 전시회 출발 당시 찍었던 저 위의 사진 1점 뿐이었다.
[image]
본 금동관이 호암미술관에서 삼성미술관 리움으로 이관된 후에는 다시 시민들에게 공개되고 있다.[1]

[1] 두 미술관 모두 삼성그룹 소유라 가능한 일이다.